[철강 중소형업체]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4.27% 상승세이다. 신스틸
+22.80%, 금강철강 +22.01%, 대동스틸 +20.55%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철강 중소형업체 철강산업내 시총 상위 10개 아래 기업? 국내 철강주 실적 중국 철강가격과 동행? '24년 철강 업황 점진적 회복 전망 철강 중소형업체는 철강산업 내 시가총액 상위 10개 아래 기업.철강은 산업의 '쌀'로 불리며 자동차와 건축, 가전 등 다양한 산업에 중간재로 활용.철강 제조방식은 크게 고로와 전기로 나뉨. 고로는 용광로에서 철광석을 녹여 철을 만드는 방법. 이는 대용량 설비로 생산하므로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높음. 판재류를 주로 생산하며 자동차, 조선, 가전 등에 사용. 전기로와 비교하면 마진이 높으나, 높은 건설비와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많다는 단점이 있음. 국내에서는 POSCO와 현대제철이 고로로 철강을 생산.전기로는 전기로 열을 발생시켜 쇠를 녹이는 가열로를 뜻함. 주로 스테인리스강, 도구강 등 특수한 용도에 쓰이는 철강 생산. 고로 방식 대비 비교적 적은 투자비(약 5000억~1조원)와 공간이 사용되며 공정시간이 짧아 생산대응에 유리. 다만 상대적으로 고부가가치 강종 생산이 어렵고, 전기료가 많이 들어간다는 점이 단점. 국내에서 현대제철, 동국제강, 한국철강 등이 주로 전기로 사용.주요 국가에서는 전기로 전환이 강조되고 있음. 산업고도화에 따른 효율성 때문. 전방산업의 성장이 둔화로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기 어려운 가운데 전기로는 투자규모가 적고 생산 대응에 유리하기 때문. 또한 전기로의 원재료는 재활용된 철스크랩(고철)으로 오염물질 배출이 적어 친환경적. Mysteel에 따르면 전기로가 고로보다 많게는 이산화황가스(SO2) 배출량이 98% 적게 배출.국내 철강업종의 주가는 실적보다 중국 철강가격과 동행. 실적이 중국 철강가격에 후행하기 때문(출처: 키움증권).2023년 중국 철강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으나, 중국 부동산 시장이 회복하지 않으면서 철강 시황은 약세를 보였음. 2024년에도 급진적인 회복 보다는 점진적인 해소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 상반기까지는 미국의 고금리 지속과 중국의 더딘 경기 회복 등이 예상. 하반기부터 미국 금리인하 및 중국 부양책의 실질 효과 발생 등이 나타날 것으로 추정(출처: 삼성증권). 세계철강협회는 전세계 철강수요가 2023년 18억2000만톤에서 2024년 18억5000만 톤으로 1.9% 상승할 것으로 전망. 한편, 정부는 2021년부터 미국과 철강 232조 해결을 위한 조속한 협상 개시를 지속 요구 중. 232조는 외국산 수입 제품이 미 국가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되면 긴급하게 수입을 제한하거나 고율 관세를 매길 수 있도록 한 조항. 향후 이 조치가 완화되면 대미 수출길이 넓어질 수 있는 것으로 기대.
관련 종목
종목등락률종목설명신스틸+22.80%가전제품의 외장재, 건축자재로 주로 사용되는 컬러강판 등을 가공·판매.금강철강+22.01%포스코 판매점으로서 전량 포스코로부터 원재료(코일)을 공급받아 냉연강판 및 아연도금강판을 가공하여 판매. 주요 고객사는 한국지엠과 기아자동차로 알려짐.대동스틸+20.55%포스코의 지정판매점으로, 토목, 건설, 자동차, 조선 등에 사용되는 열연제품·후판을 가공·판매. 서울을 비롯한 중부권, 영남권, 충청권이 주요 사업영역.문배철강+14.26%포스코의 지정 판매점으로 스켈프, 강판, 형강, 후판, 코일, 박판 등 1차 형태의 철강재 및 표면처리강재를 생산.부국철강+12.33%포스코 열연제품을 매입해여 가공한 후 자동차, 가전 및 건설사 등에 판매.경남스틸+12.03%포스코에서 생산한 냉연 및 열연 철강재를 공급받아 자동차에 주로 사용되는 신세코일(PO)과 가정용품에 주로 활용되는 냉연강판(CR) 등을 가공·판매. NI스틸+8.07%1차금속 부문의 강건재 철강성형제품 제조.한일철강+6.79%철판류, 형강류 등의 철강제품을 가공·판매. 주로 자동차, 선박기계에 사용되는 열연제품을 주력으로 생산.삼현철강+5.93%포스코의 열연제품과 후판 등을 매입하여 가공 및 판매. 아울러 현대제철 형강지정 판매점으로 현대제철에서 생산되는 형강제품 유통사업도 영위. TCC스틸+4.52%식·음료 및 산업 포장용기와 전자제품에 쓰이는 전기주석도금강판·전기동도금강판 등을 생산하는 표면처리강판 제조.동양에스텍+3.53%포스코가 생산하는 열연강판, 후판 등을 가공해 판매. 현대비앤지스틸+3.50%국내외(중국·일본 등) 원재사에서 철강을 매입해 가전제품, 자동차, 의료기기용 등 스테인리스 강판 생산.동국산업+3.08%자동차, 산업기계에 사용되는 냉연강판 등을 가공·판매.동양철관+2.64%가스관에 주로 사용되는 배관용 강관 및 수도관 제조.세아제강+2.35%세아그룹 계열의 철강업체로 구조·유정·배관·상수도용 강관(탄소강관, STS강관, Ti 특수관)과 건축자재(컬러강판, 아연도강판) 제품 등 제조.DSR제강+2.07%자동차·전기·건설 등에 사용되는 와이어로프 및 경강선 제조.동일철강+2.01%원재료인 빌렛을 열간 압연하여 자동차에 사용되는 봉강과 건설에 필요한 형강을 생산·공급. 황금에스티+1.80%제강사로부터 스테인리스 코일을 공급받아 절단·가공해 판매하는 스테인리스 코일센터 운영.동일제강+1.59%선재(PC강선, 강연선)와 마봉(SUS 마봉) 등을 가공·판매.세아특수강+1.56%자동차, 기계부품, 건설자재 등에 사용되는 냉간압조용 선재와 봉강 등 생산.유에스티+1.17%스테인리스 강판을 주로 생산. 국내 최대규격 16인치 조판기와 대구경 롤벤더, 연속산세설비 등이 기술적 장점으로 꼽힘.한국선재+1.00%포스코, 중국 등에서 원재료인 연·경강 선재를 공급받아 선재류(아연도금철선, 스테인리스강선) 가공·판매.영흥+0.99%와이어로프, 와이어, PC강연선등과 같은 선재 2차 제품 생산.한국특강+0.92%건축·조선·자동차 기자재로 사용되는 형강, 봉강 등 제조·판매.대호특수강+0.62%볼트, 너트, 베아링볼등 철강부품류의 소재인 냉간압조용선(CHQ Wire)과 스테인리스 선재 등 생산.동일산업+0.59%봉강(환봉, 마환봉 및 특수강 등),합금철(합금철 등), 주조(주강 및 특수강 등) 등 생산. 네옴, 포스코, 현대제철, 두산인프라코어 등이 주요 고객사.화인베스틸+0.16%조선용 형강인 인버티드 앵글(길이와 두께가 다른 앵글)을 주력으로 생산.한국주철관+0.16%상하수도용 주철관 및 강관 제조업체. 상하수도용 덕타일주철관과 일반사업에 필요한 부품 또는 소재관련 주물제품 등을 생산. 주요 수요처는 조달청 및 각급 지자체, 수자원공사 등.원일특강0.00%세아창원특수강, 세아베스틸, 한국철강의 대리점을 획득하여 특수강 재가공·판매.제이스코홀딩스0.00%건축자재용 연강선재, BIC이형철근, 보통철선 제조. 만호제강0.00%조선, 건설 업종에 주로 사용되는 와이어로프, 섬유로프 등 생산.디씨엠-0.99%표면처리강판인 LAMINATED 칼라강판, 산업용 FILM 생산.SHD-1.10%각종 CAN의 원료로 사용되는 석도강판 등을 가공·판매.SIMPAC-1.25%양질의 철강을 생산하기 위한 필수 원료인 합금철 생산.대양금속-6.19%스테인리스 Hot 코일을 외부 조달하여 자체 냉간 압연 공정을 거쳐 스테인리스 냉연강판 생산. 주로 가전업체, 자동차 부품 업체 등에 납품.
철강 중소형업체 테마 차트
[이 기사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로봇 기자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