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정의
무정전전원장치(UPS)란 정전상태에서도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라 한다.
이 장치의 내부구성은 순변환부 (정류부와 충전부) , 역변환부(인버터부) ,그리고 에너지부 (배터리,발전기등) 로 나누어지는데,
평상시 순변환부에서 한전전원 (교류)을 안정된 직류성분으로 변환하여 배터리충전 및
인터부의 전기적에너지를 공급한다.
역변환부에서는 직류성분을 안정적 교류(CVCF)로 변환시켜준다.
즉,UPS는 평상시는 AVR(자동전압조정기)기능을 수행하며,
정전시에는 무순단 (최고 4msec 이내)으로 배터리의 성능으로 교류를 공급하여 주는 장치이다.
UPS의 종류에는
On-Line, OFF-Line Line interactive방식등으로 나뉘어 지는데,
ON-LINE :상시 인버터 방식 ----중,대용량 (3~5K이상에서 적용유리)
OFF-LINE: 비상시 인버터 방식 ----소용량 ( 3K이하에서 적용유리)
LINE-INTERRACTIVE:AVR+비상시 인버터 방식 ---- (3K이하에서 적용유리)
에너지부에서는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주로 사용하는데, UPS용량과 배터리용량은 별개이며,
UPS용량은 부하용량, 배터리용량은 정전보상시간을 의미한다.
대용량UPS에서는 배터리 용량이 엄청 커져야 하므로, 배터리 대신 엔진발전기를 채택한
다이나믹 UPS를 사용하기도 한다.
UPS의 변천사
CVCF (CONSTANT VOLTAGE CONSTANT FREQENCY) --정전시 보상이 없슴
⇒
AVR (AUTO VOTAGE REQULATER) ---정전시 보상이 없슴
⇒
UPS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 AVR + 정전보상
또다른 언어로는 CPS라고도 한다.(영국에선 )
CPS (CONTINEW POWER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