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역사의 블랙박스를 찾아서
 
 
 
카페 게시글
삼국사(신라) Re:Re:基臨尼今紀(기림니금기) (A.D.364 - A.D.370:재위7년) - 해석
정성일 추천 0 조회 124 10.04.23 19:09 댓글 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0.04.24 21:42

    첫댓글 次는 동사라니까요.. 于앞에는 대개 동사가 옵니다.

  • 10.04.24 21:41

    帝次于牛頭州= 왕이 다음으로 우두주(牛頭州)에 가서. 여기 문장에 '가다' 라는 뜻을 가진 글자가 없잖습니까?

  • 10.04.24 22:00

    잘 봐요. 帝(주어)+ 次(자동사) + 于牛頭州(at 牛頭州, at+ 장소). 이렇게 문장이 구성되어 있단 말입니다. 次(자동사) 뒤에 목적어가 오지 않으므로.. 次는 타동사가 아니라..자동사입니다. 그니까..이 문장은 목적어가 없는거죠.

  • 10.04.24 21:59

    엠파스 삼국사기 원문과 해석문을 가져와 봅시다.

    三月 至牛頭州 望祭太白山 樂浪·帶方兩國歸服
    = 3월에 우두주(牛頭州)에 이르러 태백산에 망제(望祭)를 지냈다. 낙랑과 대방 두 나라가 와서 항복하였다.

  • 10.04.24 22:11

    至牛頭州= 우두주(牛頭州)에 이르러.
    이렇게 해석해 놨잖아요. 그러니.. 帝次于牛頭州 에서 次가 의미하는 것은 삼국사기에 나오는 至의 뜻입니다.
    그래서, 次를 daum사전에 찾아 보면.. 적당한 뜻이 두가지인데..

    ㉭머무르다, 묵다 ㉭이르다, 도달하다(到達--)

    옥편을 찾아 보면..
    (11) 묵다. 유숙함.
    [예문] 王次于河朔〈書經〉
    [예문] 其行次且〈易經〉
    (12) 자리에 오르다. 지위에 나아감.
    [예문] 執書以次位常〈周禮〉
    (13) 이르다. 도달함.
    [예문] 外寬內深次骨〈史記〉

    옥편에서도 똑같은 뜻으로 나옵니다.
    삼국사기에 至라는 표현이 나오므로, 기림니금기에서 次는 至의 뜻을 나타내는 것입니

  • 10.04.24 22:07

    그러므로, 기림니금기를 해석하면,

    帝次于牛頭州
    = 제는 우두주에 이르렀다.

    이렇게 해석하면 정답입니다.
    반드시 해석을 수정해야 해요. 그래야 욕을 안 먹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