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로시험기를 이용하여 트랜지스터와 같은 소자의 양부를 검사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것을 이용하여 정밀한 특성을 알 수는 없지만 부품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인지 아닌지 정도는 판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에 소개하는 내용은 주관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절대적이라 할 수는 없습니다. 본인 스스로 실제로 해보므로서 자기만의 노하우를 터득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http://www.ehtec.com/
| ||
DIODE CHECK |
다이오드의 극성을 잘 모르거나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다이오드는 양극으로부터 음극으로 전류가 흐르며 그 반대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하여 순방향과 역방향의 저항을 측정하면 다이오드의 이상유무나 극성을 알 수 있습니다. 테스터를 저항계로 사용하는 경우 마이너스 단자(흑색 리드봉)에서 플러스 단자(적색 리드봉)로 전류가 흐른 다는 것을 염두해 두고 있어야 합나다. (디지탈은 반대로 되어 있음)
| |
TRANSISTOR CHECK |
트랜지스터는 두 개의 다이오드를 접속한 것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를 검사하는 것은 두 개의 다이오드를 검사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다이오드 두 개를 접속해서 트랜지스터로 사용하실분은 안계시리 믿습니다. 그렇지만 트랜지스터의 핀하나를 자르고 다이오드로 사용할 수는 있습니다. NPN TRANSISTOR
| |
|
| |
CDS & PHOTO TR |
|
|
|
R1~R100 레인지로 측정하면 중간정도 움직이며 빛을 비추거나 그림자가 생기게 하여 저항값이 가변되면 양품이며 저항값은 소자마다 다르게 측정됩니다. CDS는 무극성이나 포토 트랜지스터는 극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
PUT CHECK |
|
|
|
R1 레인지로 에노드와 게이트를 그림과 같이 측정하면 500옴 정도 측정되며 역으로하면 바늘이 움직이지 않습니다. |
R1 레인지로 에노드와 캐소드를 그림과 같이 측정하면 500옴 정도 측정되며 흑색 리드봉을 움직여서 에노드와 게이트를 쇼트시키면 에노드와 캐소드사이에 순간적인 전류가 흘러서 테스터의 바늘이 제로옴근처까지 갔다가 돌아옵니다. |
SCR CHECK |
|
|
|
레인지를 R1로 하고 그림과 같이 게이트에 흑색, 캐소드에 적색 프로브를 접속하면 다이오드의 순방향 특성이 나타나며 역으로하면 바늘이 움직이지 않아야 정상 입니다. |
레인지를 R1로하고 그림과 같이 프로브를 접속하면 바늘이 움직이지 않지만 흑색 프로브를 에노드와 게이트에 동시에 접속하면 도통상태가 되며 흑색 프로브를 조심스럽게 이동하여 게이트에서 분리하여도 도통상태를 유지해야 양품입니다. |
UJT CHECK |
|
|
|
레인지를 R100으로하고 그림과 같이 에미터와 베이스를 체크하면 베이스1, 베이스2 모두 순방향 특성이 나타나며 에미터-베이스2 보다 에미터-베이스1에서 바늘이 조금 더움직입니다. 즉 에미터-베이스1간 저항이 조금 작습니다. 역으로는 바늘이 움직이지 않아야 정상입니다.
|
그림과 같이 베이스1과 베이스2간 저항을 측정하여 수kΩ (대게는 5~6kΩ) 정도 측정되면 양품이며 너무작게 나오거나 바늘이 움직이지 않는다면 불량입니다. |
FET CHECK |
|
|
|
|
|
첫댓글 오~땡쓰~~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