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초록색 표지는 출판사의 실수로 바뀐 표지입니다.
무슨 역사 책도 아닌데 말입니다.....ㅠㅠ
'베스트 셀러를 꿈꾸며 만든 책'
金旻载的
《韩国语能力考试辅导教材“韩国语语法200例”》
2010년 3월 연변대학출판사발행
-- 이 책의 특징 --
★ 한국어능력시험에 출제되는 문법의 90%가 척척 풀리도록 했습니다.
★ 한달 수업 20일 기준으로 하루에 15문제 풀고 연습문제를 풀도록 했습니다.
★ 설명하기 까다롭고 여기저기 뒤져도 문법 설명이 없는 것을 보완했습니다.
★ 여러 사전을 찾지 않도록 했습니다.
★ 목록 부분(찾아보기)에 핵심 설명을 넣어서 한번 배운 것을 다시 찾을 때
연상효과가 나도록 하였습니다. (비공식: 문법책 역사상 최초의 아이디어)
★ 한국어로 먼저 친절히 설명한 후 중국어로 번역했습니다.(중국에서 발행된
대부분의 책은 한국어 설명이 없어서 한국인 교사가 한자를 모르면 이해하기 어려움)
★ 기출문제와 연습문제의 정답표가 없어서 학생들은 선생님을 자주 찾아서 겸손하게
물어봐야 합니다.^___^ 그러므로 선생님의 역할이 커집니다.
#이 책의 정답표는www.topikkim.com 에다가 출판 과정에서 빼놓은 것들과 같이 따로 설명해 두었습니다,
중국 학생을 위해서만 만든 홈페이지이지만 방문하셔도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능력시험(topik) 합격을 위한 한국어 문법 200 문형
한국어능력시험 교재
topik 문법교재
这本书的5个特征
1. 주요 핵심 문법 200 문형
200个主要核心文法句型
2.자주 틀리는 기출문제 309 문제 수록
收纳经常错的基础题309道
3.향상 연습문제 93개
向上练习题93道
4.자주 틀리는 문형 비교 분석 30개
30个经常错的句型比较分析
5.암기용 핵심내용 표시목록 수록
收纳要背的核心内容的表示目录
안녕하세요.
중국에서 6여 년의 경험을 바탕으로 문법책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가장 큰 계기는 "한국어교실"에서 활동한 후부터입니다.
우선 박숙영 주인장님을 비롯한 朴志庸 운영진님 그리고 모든 회원님들의 성원 덕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좀 더 숙성 기간을 거쳐 만들어야 함을 알고 있지만 무한정 중국에 있을 순
없는지라 부족한 줄 알면서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을 만들면서 어려웠던 점은 저의 의도를 출판사 측에 이해시키는 점이
가장 큰 난제였습니다. 예를 들자면 책의 제목을 정할 때 저의 주장은
한국어능력시험을 위한 "한국어 핵심문법 200 문형" 이었습니다만
"핵심","문형"이란 단어가 번역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ㅠㅠ
그래서 이래저래 출판만 한없이 늦어지는 것 같아 어지간한 건 양보에
양보를 거듭하여 책이 출판되었지만 마지막에 표지가 바뀌는 사태가 벌어지고
말았습니다.
겨우 제 이름 석자만 달랑 들어간 채 말입니다.
다행히 내용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디자인, 편집 부분에서 많은 아쉬움을 극복하지
못한 채 지난 3월 초에 출판되었습니다.
결국 출판사 측에서 사과를 하고 재판을 하기로 했지만 이미 인쇄된 책은
중국 전역의 서점에서 팔리고 있습니다.
저의 애초의 출판 목표는 베스트셀러(중국에서^__^)를 꿈꾸며 만들었습니다.
한국어능력시험을 가르치실 때 시행착오를 줄이시는 데 도움이 되리라 확신합니다.
---- 번역 형태를 소개합니다.---
198. 피동과 사동
被动和使动
[1] 피동: 주어가 남이 행하는 행위나 동작에 의해 영향을 입는 것.
表示主语被他人的行为受到影响。
► 접미피동법: 타동사에 피동 접사를 붙여 피동문을 만든다.
接尾被动法: 他动词与被动词尾一起构成被动句。
► 피동접사: ‐이, ‐히, ‐리, ‐기
被动后缀: ‐이, ‐히, ‐리, ‐기
◘ 피동의 특징 (1) ~ (5)
(1) ‘‐이‐’ : 주로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이거나 받침이 ‘ㄱ, ㅎ’인 동사들이다.
예: 보이다, 쓰이다, 놓이다, 쌓이다, 섞이다, 묶이다…….
“‐이‐”主要使用于以元音结束的动词或以“ㄱ、ㅎ”为收音的动词。
例: 보이다、쓰이다、놓이다、쌓이다、섞이다、묶이다……。
(2) ‘‐히‐’: ‘ㄱ, ㄷ, ㅂ, ㅈ, ㅊ’ 등을 받침으로 갖는 동사들이다.
예: 먹히다, 닫히다, 뽑히다, 얹히다…….
“‐히‐”只要使用于以“ㄱ、ㄷ、ㅂ、ㅈ、ㅊ”为收音的动词。
例: 먹히다、닫히다、뽑히다、얹히다……。
(3) ‘‐리‐’: ‘ㄹ’받침을 갖는 동사와 ‘걷다, 듣다’와 같은 ‘ㄷ’ 불규칙 동사, 그리고 ‘누르다,
자르다’와 같이 어간의 마지막 음절이 ‘르’인 동사들이다.
예: 눌리다, 잘리다, 걸리다, 들리다, 빨리다…….
“‐리‐”使用于以“ㄹ”为收音的动词和像“걷다、듣다”一样的“ㄷ”不规则动词,还有像“누르 다、
자르다”一样的语干最后音节为“르”的动词。
例:눌리다、잘리다、걸리다、들리다、빨리다……。
(4) ‘‐기‐’: 받침이 유성자음(ㄴ, ㅁ)이거나 ‘ㅅ’인 동사들이다.
예: 안기다, 끊기다, 감기다, 빼앗기다, 씻기다…….
“‐기‐”用于收音为浊音(ㄴ、ㅁ)或“ㅅ”的动词。
例:안기다、끊기다、감기다、빼앗기다、씻기다……。
(5) 사동사와 피동사의 접사가 같이 쓰여 구분하기 어려울 때는 목적어가 있는지를 보고 판단한다.
목적어가 있으면 사동사이다.
同时作为使动词和被动词的词缀,而难以区分时,看动词是否接宾语。接宾语的话,便是使动 词。
①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어요.
小偷被警察抓到了。(被动)
---------------------------------------------------------------------
[비교‐24] ‐셈이다 : ‐편이다
|
속하다
属于 |
가정의 의미
有假定的意思 |
시제
时态 |
순서
顺序 |
셈이다 |
× |
〇 |
과거 미래
过去,将来 |
비교→평가→결과를 나타냄
比较→评价→表示结果 |
편이다 |
〇 |
× |
과거 현재
过去,现在 |
비교→ 말하는 이의 주관적 판단
比较→说话者的主观判断 |
-------------- 책의 일부 내용입니다.---------------------------------
인터넷 주문(중국) http://www.bjbb.com/product/detail.php?catalog=1&id=3437046
중국 대표 포털 사이트 http://www.baidu.com에서 '金旻载'를 치셔도 책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