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진포(花津浦) 관광지 봄을 맞아 화진포를 다녀왔다. 다녀와서 바로 글을 올렸어야 하는데 여기저기 묘를 다녀온 곳이 많아 차일피일 미루다보니 이제서야 올린다. 화진포는 최북방에 위치하여 통일전망대가 유명하지만 시간이 촉박하여 화진포관광지가 밀집된 화진포호 주위 관광지만 둘러보고 왔다. 사진으로 소개한다. |
화진포(花津浦) 동해 연안에 형성된 석호(潟湖) 가운데 하나로서 경관이 아름다워 강원도 기념물 제10호로 지정되었다. 동해안의 호수 가운데 최대 규모로서, 면적은 2.39㎢이고, 호수의 둘레는 16㎞에 달한다. 석호는 바닷가에 사주가 발달함에 따라 만이 바다에서 분리됨으로써 생기는 호수이며, 화진포는 전형적인 석호 지형으로 훌륭한 해수욕장이 발달하였다. 호수와 바다 사이의 백사장이 화진포해수욕장에 해당된다. 호수 주변에는 다양한 식물이 서식하며 낚시터로도 유명하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인용> 화진포의 성(김일성별장) -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화진포길 280 (거진읍) 김일성은 1948년부터 50년까지 처 김정숙, 아들 김정일, 딸 김경희 등 가족과 함께 하계휴양지로 화진포를 찾았다. 48년 8월 당시 6살이던 김정일이 소련군 정치사령관 레베제프 소장의 아들과 별장입구에서 어깨동무를 하고 찍은 사진이 이를 입증하고 있다. 화진포의 성은 당초 선교사 셔우드 홀 부부에 의해 1938년 독일망명 건축가 베버가 건축하였다. 지하 1층, 지상 2층의 석조 건물로 지어져 당시 건축물로는 제법 화려함이 엿보인다. 화진포의 성에는 옛 별장의 모습을 담은 사진자료를 비롯해 김일성 가족이 사용했던 응접 세트 등 각종 유품이 모형물로 만들어져 전시 되었다. 해안가 산기슭에 위치한 화진포의 성은 광복 직후 건립, 한국전쟁 이전까지 김일성이 아들 김정일, 딸 김경희와 함께 수시로 이용했던 곳으로 본래 지하 1층, 지상 2층의 석조물이었으나 전쟁 중 크게 훼손되어 64년 육군이 본래 건물을 철거하고 지금의 1층 건물로 재건축 했었다. 새롭게 단장된 화진포의 성은 내부에 김일성의 정체, 독재체제 구축과정, 한국전쟁 도발, 그리고 정전협정 이후 북한의 도발만행 등 북한관련 자료를 판넬식으로 게시하고 있으며 김정일과 김경희가 어린시절 이 곳에서 찍은 사진 등 관련자료사진도 전시하고 있다. 화진포의 성의 절경 중 빼놓을 수 없는 곳은 마주 보이는 금구도라 불리는 바위섬으로 화진포 해변에서 3백여m 떨어진 금구도는 거북 모양을 닮은데다 가을철이면 이 섬에서 자라는 대나무 숲이 노랗게 변해 섬 전체가 황금빛으로 물든다. 여름에는 사람들이 배를 타고 건너가 해초, 전복 등을 따며 해수욕을 즐기고 겨울철에는 천연기념물 201호인 고니를 비롯한 철새가 군무를 펼친다. 화진포의 성이 동해가 내려다 보이는 해안 언덕에 위치한 것과 달리 이승만 별장은 바다는 보이지 않고 화진포 호수만 내려다 보이는 곳으로 서로 3km 정도 떨어져 자리하고 있다. <대한민국구석구석에서 인용> 이기붕별장 -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화진포길 300-1 (거진읍) 이승만과 김일성 별장 사이 호숫가에 위치해 있다. 이기붕 별장은 1920년대에 외국인 선교사들에 의해 건축되어 현재까지 보존된 건물로서 해방 이후에 북한공산당 간부 휴양소로 사용되어 오다가 휴전 후에 부통령이었던 이기붕의 처 박마리아가 개인별장으로 사용하였다. 박마리아는 생전에 인근 고성군 대진읍에 대진교회를 세우고 자주 이 곳을 찾았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별장 내 집무실과 응접실 등이 갖춰져 있으며, 주전자, 촛대, 문갑 등이 보관돼 있다. 위치는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명호리, 북위 38도 35분으로 7번 국도를 타고 통일전망대 방향으로 달리다 화진포콘도 군휴양지 입구에서 우회전해 2㎞쯤 들어가면 된다. <대한민국구석구석에서 인용> 화진포 생태박물관 -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화포리 59-2 화진포호는 송지호와 함께 강 하구와 바다가 만나 형성된 석호이자 담염호이다. 화진포호에는 국내 8개 석호 중 가장 많은 생물개체가 서식하고 있으며, 둘레가 16km에 달하는 동해안의 최대규모의 호수다. 화진포 생태박물관은 주변의 해양박물관, 송지호 철새관망타워 등과 함께 고성군 핵심 생태전시장으로 환경보전을 위한 교육 박물관이다. 화진포생태박물관은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층에는 화진포 생태 및 전설.디오라마영상(15종84개)을 상영하며, 2층에는 척추 동물의 진화과정의 전시물과 멀티미디어 프로그램(7종224개)이, 3층에는 청정에너지 및 기후변화에 관한 전시물, .화진포 전망, 화석(15종84개)가 전시되어 있다. 또한 옥상에는 전망대와 망안경이 설치되어 있다. (출처 : 강원도청) 이승만별장(고성) -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이승만별장길 33 (현내면) 강원도 고성군 화진포에는 세 명의 옛 정치인의 별장인 김일성별장, 이승만별장, 이기붕별장이 나란히 놓여 있다. 이승만 별장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이 머물렀던 곳으로 1954년에 신축된 뒤 1961년에 폐허가 되었다가 1997년 7월 육군이 재건축하여 1999년 전시관으로 복원되었다. 별장의 외부는 별장답지 않게 아담하고 소박하며 허름하게 보인다. 내부는 침실과 집무실로 쓰이던 방 두 개와 거실로 구분되어 있으며 유족들에게 기증받은 물품들로 전시하여 이승만 대통령이 기거하던 시절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하였다. 단출한 가구와 소박한 물건들 그리고 생전의 사진들로 그 당시의 분위기를 가늠할 수 있다. 이승만별장은 소박하고 단출하지만 별장 안에서 밖을 바라보면 주변의 울창한 송림과 한데 어우러진 화진포 두 개의 호수가 한눈에 보이는 까닭에 화진포의 세 별장 중 가장 경치가 뛰어나다는 평을 받고 있다. 조용히 바깥 풍광을 즐기며 편안하게 쉴 수 있는 평온하고 조용한 별장이다. <대한민국구석구석에서 인용> |
문화재지정 | 강원도 시도기념물 제10호 |
문화재명칭 | 화진포(花津浦) |
소재지 |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화포리 산24-1외 7필지(찻골길 245) |
관리자(연락처) | 고성군청 |
▼ 화진포(花津浦) 관광지 항공지도
▼ 화진포(花津浦)생태박물관에서 바라본 화진포호
▼ 화진포(花津浦) 콘도를 배경으로...
▼ 화진포(花津浦) 해수욕장을 배경으로...
▼ 화진포(花津浦) 성(김일성 별장) 올라가는 길
▼ 화진포(花津浦)의 성 안내문
▼ 화진포(花津浦) 김일성 별장에서 김정일이 찍힌 사진...
▼ 이런 것도 관광상품이 된다.
▼ 화진포(花津浦)에는 소나무숲이 근사하다.
▼ 화진포(花津浦) 김일성 별장 내부
▼ 김일성 별장 내부...
▼ 화진포(花津浦) 김일성 별장에서 바라본 화진포 해수욕장 전경
▼ 화진포(花津浦) 이기붕 별장
▼ 화진포(花津浦) 이기붕 별장 전경
▼ 화진포(花津浦) 이기붕 별장은 보이는 쪽이 면(面)이 되어야 하는데 뒤쪽이 화진포호를 바라보면서 앞쪽이 되었다.
▼ 이기붕 별장 내부
▼ 이기붕 별장에서 바라보이는 화진포호
▼ 화진포(花津浦) 이기붕 별장에서 국군휴양소 숙소로 이어지는 소나무 숲 길
▼ 화진포(花津浦) 생태박물관... 운석 특별 전시를 한다고 해서 기대했는데...
▼ 화진포(花津浦) 생태박물관 전경
▼ 화진포에서 맺은 사랑 노래비
▼ 화진포(花津浦) 생태박물관에서 바라본 화진포호와 뒤로 보이는 백두대간
▼ 화진포(花津浦) 생태박물관 앞
▼ 화진포(花津浦) 생태박물관에서 바라본 화진포해수욕장
▼ 화진포(花津浦) 생태박물관 유리창에 이 지역의 관광지를 새겨 놓았다.
▼ 화진포(花津浦) 생태박물관 내부
▼ 화진포(花津浦) 생태박물관 화석전시장
▼ 화진포(花津浦) 생태박물관 각종 희귀 암석들...
▼ 화진포(花津浦) 생태박물관 원석들...
▼ 화진포(花津浦) 생태박물관에 전시된 운석... 나는 운석이 커다란 크기인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작다. 이정도만 되도 수억을 호가한다.
▼ 화진포(花津浦) 생태박물관에서 바라보는 백두대간은 화진포호와 더불어 장관을 이룬다.
▼ 화진포호 건너편 다리 건너에 이승만 별장이 있다.
▼ 화진포(花津浦) 생태박물관을 나오면서...
▼ 화진포(花津浦)팔경이 소개되어 있다.
▼ 화진포(花津浦) 이승만 별장에는 화진포 역사안보전시관이 있다.
▼ 화진포(花津浦) 이승만 별장
▼ 이승만 별장 내부에 소개된 이승만 약력
▼ 화진포(花津浦) 이승만 별장에 전시된 이승만 부부
▼ 화진포(花津浦) 이승만 별장 내에 전시된 이승만 집무실
▼ 화진포(花津浦) 이승만 별장 침실
▼ 화진포(花津浦) 이승만 별장에서 바라본 화진포 생태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