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교상식 정리
▣ 사찰의 문
1.일주문
* 절 입구에 양쪽 하나씩의 기둥으로 세워진 건물
* 일주문을 경계로 문밖을 속계, 문안을 진계라 부름
2.천왕문
* 부처님의 세계를 지키는 사천왕을 모신 문 : 일명 봉황문
* 동쪽에 지국천왕-비파 가짐
* 서쪽에 광목천왕-여의주, 새끼줄 가짐
* 남쪽에 증장천왕-보검 가짐
* 북쪽에 다문천왕-보탑을 가짐
* 금강력사(인왕)-절의 어귀나 문 양쪽에 모신 수문장(반나체 모습)
3.해탈문
* 모든 번뇌와 망상을 벗어나 깨달음을 얻는 문
4.불이문
* 중생과 부처, 선과 악, 유와 무, 공과 색 상대적 개념에 의한 모든
대상이 둘이 아니라는 불교진리의 불이사상을 나타내는 문
▣ 사찰의 전
대웅전
* 석가모니 부처님을 주불로 봉안한 불전(금당)
대적광전
* 법신 비로자나 부처님을 주불로 봉안한 불전(대광명전)-화엄종 주불
* 주불이 아닐 경우는 비로전이라 부름
* 삼존불일 경우 석가모니불(화신)/비로자나불(법신)/노사나불(응신)
극락전
* 아미타부처님을 봉안한 주불전-주불전이 아닐 경우 미타전
* 아미타경, 무량수경, 관무량수경의 미타 3부경에서 유래함
약사전
* 약사여래부처님을 모신 불전-만월전으로도 부름
미륵전
* 미륵부처님이나 미륵보살을 모신 불전-용화전으로도 부름
원통전
* 관세음보살을 주불로 모신 불전-부속 전각일 때는 관음전이라 부름
지장전 (명부전)
* 지장보살을 모신 전각-염라대왕 등 10왕을 함께 모시면 시왕전
응진전
* 부처님의 제자 16나한을 모신 전각-500나한을 모신 나한전
팔상전
* 부처님의 일대기를 8장면으로 도해한 그림이나 조각을 모신 전각
영산전
* 석가모니 부처님의 영산회상도를 모신 전각-영취산 설법모임 그림
칠성전
* 치성전여래를 모신 전각 또는 북두칠성을 부처님화한 전각
산신각
* 산신(주로 호랑이)을 모신 전각-삼성각은 산신,칠성,독성을 모심
각 (주불전-부처님을 모신 불전 : 일명 금당)
▣ 불상의 존칭
석가모니불
* 대웅전의 주불로 봉안
* 응진전, 나한전, 영산전, 팔상전에도 주불로 봉안 됨
* 협시보살로 좌측에 문수보살과 우측에 보현보살
좌측에 관음보살과 우측에 허공장보살 또는
좌측에 관음보살과 우측에 미륵보살로 배치함
비로자나불
* 대일여래부처님으로 법신 또는 진신의 부처님
* 협시보살로 좌측에 문수보살과 우측에 보현보살 배치함
* 삼존불일 경우 좌측-보신 노사나불과 우측-응신 석가모니불 모심
아미타불
* 서방극락 정토세계의 부처님
* 형식적 특징은 수인인데 아미타 정인과 9품인을 하는 것이 원칙
* 협시보살로 좌측에 관음보살과 우측에 대세지보살 또는 지장보살
약사여래불
* 약사유리광여래 또는 대의왕불로도 부름
* 일광보살과 월광보살 또는 약사 12지신상을 거느림
* 의식주와 무병장수의 깨달음을 주시는 부처님-손에 약합을 든 계인
노사나불
* 삼신불의 한분인 보신불
* 깨달음을 얻기 위해 수행의 공덕으로 나타나신 부처님
미 륵 불
* 메시아로 알려진 미래(석가모니불 열반56억7천만년 이후)의 부처님
* 석가모니부처님이 미처 제도하지 못한 중생들을 구제할 부처님
연 등 불
* 정광여래, 정광불-석가모니에게 미래세 성불할 수기를 주신 부처님
▣ 보살의 존칭
관음보살
* 관자재보살 또는 관세음보살로 석가모니불의 협시보살
* 손에는 감로수의 정병 또는 연꽃을 잡음-대자대비로 중생을 제도함
* 머리의 보관 중앙에는 반드시 아미타불의 화신인 화불을 나타냄
대세지보살
* 아미타부처님의 오른쪽에 위치-지혜의 문으로 중생을 제도함
* 머리의 보관내에 보배병을 나타냄-손에는 연꽃을 들거나 합장 모습
문수보살
* 문수사리보살로 석가모니부처님의 대지혜를 상징하며 협시보살
* 오른손에 지혜의 칼을 쥐거나 푸른 연꽃을 지니고 좌대는 연화대를
이용하거나 청사자를 타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기도 함
보현보살
* 석가모니부처님의 대행을 상징하며 협시보살로 왼쪽에 위치함
* 연화대 위에서 합장하는 모습으로 손에는 연꽃을 쥐고 있음
* 문수보살이 사자를 타는데 대해 보현보살은 코끼리를 타고 나타남
지장보살
* 육도윤회에 끝없이 방황하는 중생을 구제
* 석가모니부처님이 입멸 후 미륵부처님 출현시까지 중생을 교화함
* 형상은 민머리거나 특수한 가운형 두건을 쓰고 가사를 입고 연꽃을
들고 있으며 바른손에 보배구슬 혹은 석장을 짚은 모습을 나타냄
* 명부를 주재하는 지옥 10왕을 거느림
◈ 부처님의 名呼(명호)
☞부처님께서 갖추신 공덕을 10가지 면으로 존칭한 이름
여 래 * 진리를 몸으로 나타내신 분
응 공 * 세상의 존경과 공양을 받을 만한 분
정변지 * 올바른 깨달음을 얻으신 분
명행족 * 지혜와 행동이 완전하신 분
선 서 * 훌륭한 일을 완성하고 가신 분
세간해 * 세상일을 완전히 깨달으신 분
무상사 * 인간 중에서 더없이 높으신 분
조어장부 * 사람을 다스리는데 위대한 능력을 가지신 분
천인사 * 하늘과 인간의 스승이 되시는 분
불세존 * 세상에서 가장 높으신 스승
◈ 부처님의 십대제자
사리불 지혜제일(智慧弟一) 우바리 지계제일(持戒弟一)
목건련 신통제일(神通弟一) 부루나 설법제일(設法弟一)
마하가섭 두타제일(頭陀弟一) 수보리 해공제일(解空弟一)
아나율 천안제일(天眼弟一) 가전연 논의제일(論議弟一)
아 난 다문제일(多聞弟一) 라후라 밀행제일(密行弟一)
◈ 불교의 4대 성지
부처님의 탄생지 카필라국 룸비니 동산
부처님의 성도지 마갈타국 부다가야
최초의 설법지 바라나시 녹야원
부처님의 열반지 쿠(구)시나가라
◈ 불교의 5대 명절
석탄절 음력 4월 8일
출가절 음력 2월 8일
성도절 음력12월 8일
열반절 음력 2월15일
우란분절 음력 7월15일
전통사찰을 참배할 때 : 입구-산문-해탈문(교)-일주문-천왕문-금강문-불이문-탑-
삼보사찰(三寶寺刹)
1. 佛寶(불보)사찰 - 경남 양산 영축산 통도사
2. 法寶(법보)사찰 - 경남 합천 가야산 해인사
3. 僧寶(승보)사찰 - 전남 승주 조계산 송광사
5대 적멸보궁(부처님 진신사리)
1. 양산 영축산 통도사 2. 정선 태백산 정암사
3. 영월 사자산 법흥사 4. 평창 오대산 상원사
5. 양양 설악산 봉정암
조계종 5대 총림
1. 양산 통도사 영축총림 2. 합천 해인사 해인총림
3. 승주 송광사 조계총림 4. 예산 수덕사 덕숭총림
5. 장성 백양사 고불총림
육법공양
1. 향(해탈향) - 지계 2. 등(반야등) - 지혜
3. 차(감로다) - 보시 4. 꽃(만행화) - 인욕
5. 과일(보리과)-선정 6. 쌀(선열미) - 정진
육바라밀
1. 보시바라밀-조건 없이 베풀고 2. 지계바라밀-어김없이 지키며
3. 인욕바라밀-어려움을 참고 4. 정진바라밀-끊임없이 노력하며
5. 선정바라밀-고요히 생각하여 6. 지혜바라밀-수행으로 반야를 득
육도윤회
1. 지옥 2. 아귀 3.축생 4. 아수라 5.인간 6.천상도로
돌고 돌아 태어나고 죽음을 반복함을 말함
사성제(四聖諦)
1. 고성제(苦聖諦) - 모든 존재는 고통스러운 것 -결과
2. 집성제(集聖諦) - 이 고통은 어디서 일어나는가? -원인
3. 멸성제(滅聖諦) - 무명과 갈애를 제거하여 멸한 상태-해탈
4. 도성제(道聖諦) - 멸에 이르기 위한 방법 -수행
팔정도(八正道)
* 사성제를 이루기 위한 8가지의 올바른 길(수행방법)
1.正見 2.正思惟 3.正語 4.正業 5.正命 6.正精進 7.正念 8.正定
삼법인(三法印)
1. 諸行無常 2. 諸法無我 3. 涅槃寂靜
(제행무상) (제법무아) (열반적정)
삼학(三學)
1. 계 - 불살생 불투도 불음행 불망어 불음주
2. 정 - 마음을 한 곳으로 집중시키는 법을 닦는 선정
3. 혜 - 사성제를 관하여 번뇌를 끊은 무루의 경지
天上天下 唯我獨尊“하늘과 땅 사이에서 오직 나만이 홀로 존귀하다”의 참 뜻은
이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것이 곧 뭇 생명이며 그 생명체들은 각기 보배로운 불성을
지니고 있는 존귀한 존재라는 깊은 뜻을 한마디로 압축, 표현된 말로 이해해야 합니다.
▣ 석가모니부처님의 팔상성도(八相成道=팔상도) 보는 순서
1.도솔내의상(兜率來儀相) - 도솔천에서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오심(兜 거둘 두)
2.비람강생상(毘藍降生相) - 룸비니동산에서 마야부인의 몸을 통해 태어나심
3.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 - 생, 노, 병, 사의 괴로움을 보고 출가를 결심
4.유성출가상(諭城出家相) - 한밤중에 카필라밧투성을 떠나 출가수행자가 됨
5.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 - 출가수행자로 히말라야 산속에서 6년간 수도하심
6.수하항마상(樹下降魔相) - 보리수 아래서 마구니의 항복을 받고 우주와 인생의
최고 진리인 중도를 깨닫고 부처님이 되심
7.녹원전법상(鹿苑轉法相) - 녹야원에서 다섯 비구에게 최초의 설법을 하심
8.쌍림열반상(雙林涅槃相) - 쿠시니라의 두 그루 사라나무 아래서 입멸(열반)하심
▣ 보시(布施)
0 보시란 남에게 무엇을 베푸는 것을 말하며, 보시중의 으뜸은 무주상 보시입니다.
0 보시에는 세 가지 형태의 법시(法施), 재시(財施), 무외시(無畏施)가 있습니다.
1. 법시(法施) - 진리를 모르고 무명 속에 방황하는 사람들에게 부처님의 가르침, 즉 말 씀을 전하는 보시를 말함
2. 재시(財施) -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보시의 개념인 물질적인 것을 남에게 베푸 는 보시를 말함
3.무외시(無畏施) - 다른 사람에게 정신적 불안이나 공포를 주지 않는 것을 말함
▣ 무재칠시(無財七施)
0 물질(재물)을 가지지 않고도 7가지의 보시를 베풀 수 있다는 것을 말 합니다.
1. 화안시(和顔施) - 부드럽고 편안한 눈빛으로 사람들을 대(對)함
2. 화안열색시(和顔悅色施) - 자비롭고 미소 띤 얼굴로 사람들을 대(對)함
3. 언사시(言辭施) - 공손하고 아름다운 말로 사람들을 대(對)함
4. 신시(身施) - 내 몸을 수고롭게 하여 남들을 도움(助力)
5. 심시(心施) - 착하고 어진마음을 가지고 사람들을 대(對)함
6. 상좌시(床座施) - 다른 사람에게 기쁜 마음으로 자리를 양보함
7. 방사시(房舍施) -잠자리가 없는 사람에게 방을 내어주고 친절히 대함
불단 앞에 나아가 향을 올릴 때는 반배한 후 오른손으로 향을 촛불에 붙인 다음 왼손
을 받쳐 이마 위로 약간 올렸다가 향로에 꽂고 반배한 다음 물러나 예배를 드립니다.
▣ 불교의 맥을 이은 계보
본사 석가모니불(本師 釋迦牟尼佛)
1대 마하가섭(摩詞迦葉) 26대 불여밀다(不如蜜多) 50대 응암담화(應庵曇華)
2대 아난타(阿難陀) 27대 반야다라(般若多羅) 51대 밀암감찬(蜜庵減儏)
3대 상나화수(尙那和修) 28대 달마(達磨) 52대 파암조선(破庵祖先)
4대 우바굽다(優婆毬多) 初祖↔28대까지 인도스님 53대 무준원조(無準圓照)
5대 제다가(提多迦) 29대 二祖 慧可(혜가) 54대설암혜랑(雪岩慧郞)
6대 미차가(彌遮迦) 30대 三祖 僧燦(승찬) 55대급암종신(及庵宗信)
7대 바수밀다(婆修蜜多) 31대 四祖 道信(도신) 56대석옥청기(石屋淸琪)
8대 불타난제(佛陀難提) 32대 五祖 弘忍(홍인) 以上 中國支那스님
9대 불타밀다(佛陀蜜多) 33대 六祖 慧能(혜능) 57대태고보우(太古普愚)
10대 협(脇) 34대 남악회양(南嶽懷讓) 58대환암혼수(幻庵混修)
11대 부나야사(富那夜奢) 35대 마조도일(馬祖道一) 59대귀곡각운(龜谷覺雲)
12대 마명(馬鳴) 36대 백장회해(百丈懷海) 60대벽계정심(碧溪正心)
13대 가비마라(迦毘摩羅) 37대 황벽희윤(黃檗希運) 61대벽송지암(碧送智岩)
14대 용수(龍樹) 38대 임제의현(臨濟義玄) 62대부용영관(芙蓉靈觀)
15대 가나제바(迦那提婆) 39대 흥화존장(興化存獎) 63대청허휴정(淸虛休靜)
16대 나후라다(羅喉羅多) 40대 남원도옹(南阮道顒) 64대편양언기(鞭羊彦機)
17대 승가난제(僧迦難提) 41대 풍혈연소(風穴延沼)
18대 가야사다(伽耶舍多) 42대 수산성념(首山省念)
19대 구마라다(鳩摩羅多) 43대남양선소(南陽善昭)
20대 사야다(奢夜多) 44대자명초원(慈明楚圓)
21대 바수반두(婆修盤頭) 45대양기방회(揚岐方會)
22대 마라나(摩羅那) 46대자운수단(自雲守端)
23대 학륵나(鶴勒那) 47대오조법연(五祖法演)
24대 사자(師子) 48대원오극근(園悟克勤)
25대 가사사다(伽舍斯多) 49대호구소융(虎丘紹隆)
◈ 고승(高僧)의 호칭
호칭의 의미
祖師(조사) * 석가모니부처님의 정통 법맥을 이어 받은 덕이 높은 스님
禪師(선사) * 오랫동안 선을 수행하여 선의 이치에 통달한 분
宗師(종사) * 한 종파를 일으켜 세운 학식이 깊은 스님
律師(율사) * 계율을 전문적으로 연구했거나 계행이 철저한 스님
法師(법사) * 경전에 통달하여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선양하는 스님
和尙(화상) * 평생 가르침을 받는 은사스님
師門(사문) * 인도말로 쉬라마나 즉, 출가수행자
大德(대덕) * 덕이 높은 큰 스님
大師(대사) * 큰 스님
국사,왕사,제사 * 한나라의 정신적 지도자의 명칭으로 황제나 국왕이 명한 직책
◈ 사찰에서의 스님의 호칭
호칭의 의미
회주(會主)스님 * 법회를 주관하는 법사, 하나의 모임을 이끌러 가는 큰 어른
법주(法主)스님 * 불법을 잘 알아서 불사나 회상의 높은 어른으로 추대된 스님
조실(祖室)스님 * 선으로 일가를 이루어서 한 파의 정신적 지도자로 모셔진 스님
* 원래는 조사의 내실을 의미하며, 스님이 주요사찰에 주재함을 의미
방장(方丈)스님 * 총림의 조실스님/원래는 사방 1장인 방으로 선사의 주지가 쓰는 거실
도감(都監)스님 * 사찰에서 돈이나 곡식 같은 것을 맡아보는 일이나 그 사람을 말함
부전(副殿)스님 * 불당을 맡아 시봉하는 소임을 말하며, 예식 불공 등의 의식집전 스님
지전(知殿)스님 * 殿主(전주)스님-불전에 대한 청결, 향, 등 등의 일체를 맡은 스님
* 대웅전이나 다른 법당을 맡은 스님을 노전스님이라 함
주지(住持)스님 * 사찰의 일을 주관하는 스님-사찰의 전권을 행사하는 총책임자 스님
원주(院主)스님 * 사찰의 사무를 주재하는 스님-監寺, 監阮으로 살림살이를 맡는 스님
강사(講師)스님 * 강원에서 경론(經論)을 가르치는 스님(講伯스님)
칠직(七職)스님 * 7가지 직책의 스님-포교,기획,호법,총무,재무,교무,사회 각 국장스님
◈ 불교교단의 구성원
명칭과 설명(7부대중)
비 구 * 출가한 성년의 남자스님(인도어 비크슈)-250계의 구족계 수지
비구니 * 출가한 성년의 여자스님(인도어 비크슈니)-348계의 구족계 수지
사 미 *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지 않은 20세 미만의 남자-10계를 지님
사미니 *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지 않은 18세 미만의 여자-10계를 지님
식차마나 * 18세-20세 사이의 여성출가자(정학녀)-6법계를 지님
우바새 * 재가의 남자신자(청신사)-인도어 우파사카
우바이 * 재가의 여자신자(청신녀)-인도어 우피시카
사부대중 -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를 합친 모두를 말함
◈ 불교의 대표적인 경전
※ 경은 뜻을 잘 알고 열심히 염불, 염송, 독송을 함으로서 공덕을 쌓아야 하는 것입니다.
반야심경 (般若心經)
- 정식 명칭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 600권의 대품반야경의 반야사상을 260자로 압축하여 표현한 경
- 공(空)의 이치와 도리를 설한 가르침
즉, 세상 만물은 인연 따라 발생하는 연기의 관계에 놓여 있으므로 사물들 자체로는 홀로 서지도 못하고 존재할 수도 없다는 이치 그러므로 공의 도리를 깨달아야 함을 설함
금강경 (金剛經)
- 원래 명칭은 금강반야바라밀경 또는 능단금강반야바라밀경
- 선종에서 독송하는 경
- 금강석 같이 견실한 지혜의 배를 타고 생사미혹의 세계에서 깨달음의 세계로 도달하 기 위한 가르침
- 집착이 없는 가르침,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하라는 즉,
“마땅히 머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내라”는 가르침
법화경 (法華經)
- 정식 명칭은 묘법연화경
- 대승경전의 대표적인 경(대승과 소승불교의 갈등을 교리적으로 통일
- 성문, 연각, 보살이 결국에는 부처님의 품에서는 일불승(一佛乘)으로 귀착 된다는 가르침
- 지의 천태대사의 중국 천태종을 창종의 바탕이 된 경
화엄경 (華嚴經)
- 정식 명칭은 대방광불화엄경 (대승경전의 왕이라 할 만한 경)
- 40화엄(보현행원품), 60화엄, 80화엄 3가지가 있음
- 수행과 서원의 가르침으로 아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타행의 실천을 통해서
세상의 실상을 실현하는 것을 설함
- 의상대사의 화엄일승법계도:210자의 법성게를 가지고 도표로 만듬
열반경 (涅槃經)
- 소승열반경 : 부처님의 열반을 중심으로 그 전후의 경과를 서술한 경
- 대승열반경 : 부처님의 열반이 갖는 의미를 밝힌 경 (일명 열반경)
- 대승열반경의 3가지 사상
첫째-부처님은 법신 그 자체로서 영원히 존재한다고 설함
둘째-열반은 상락아정(常樂我淨)이라는 설함
셋째- 일체중생실유불성(一切衆生悉有佛性)이라는 설함
즉, 집착을 경계하라는 중도의 가르침
유마경 (維摩經)
- 원명은 유마힐소설경 또는 불가사의해탈경
- 유마힐거사(유마거사)가 부처님을 대신하여 설법한 경
- 보통의 생활 그대로 불교의 진수인 공의 도리를 체득하여 그것을 실천한
내용으로 상대와 차별을 넘어선 절대평등의 경지인 불이에 대하여 무언 설법을 함
천수경 (千手經)
- 원명은 천수천안관자재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대다라니경
- 84귀절로 된 문장
- 천수천안관세음보살께서 대자대비 심으로 모든 중생이 안락을 얻고 모든 중생이 구하 는 바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부처님의 하락을 얻어 설한 경
아함경 (阿含經)
- 장아함경, 중아함경, 잡아함경, 증일아함경으로 구분
- 모든 경전의 사상의 뿌리로 불리는 경
- 오온 십이처 십팔계 십이연기의 초기 교설
- 보시, 인욕, 바른 지혜, 바른 제도, 바른 도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 가르침을 설함
사십이장경 - 아함경을 비롯한 여러 경전에서 42가지 덕목을 발췌하여 엮은 경전
아미타경 - 정토 3부경중의 하나 (아미타경, 무량수경, 관무량수경)
- 서방정토 극락세계에 상주하는 아미타불을 신앙하여 선근공덕을 닦고 한마음으로 아 미타불을 부르면 극락세계에 왕생한다는 내용 중심
승만경 - 원명은 승만사자후일승대방편방광경
- 일상생활 속에서 불교의 이상을 실현하려는 대승불교의 특색인 재가주의를 분명하게 드러내는 대표적인 경전(승만부인은 아유타국 왕비)
능엄경 - 원명은 대불청여래밀인수증요의재보살만행수능엄경/대불정수능엄경
- 수행방법을 구체적으로 서술한 경전
능가경 - 분별심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부처님을 만나는 길의 가르침
- 名, 相, 分別 등의 5법과 현상계의 자성을 3가지 성질로 구분하여 변계(邊計), 의타(依他), 원성(圓成)의 3성과 8식(八識)에 관하여 설함
원각경 - 원명은 대방광원각수의전요의경
- 문수, 보현 등 12만명의 보살이 차례로 등장하여 부처님께 가르침을 청함
육조단경 - 원명은 육조법보단경/법보단경/단경
- 중국 선종의 6조이신 혜능선사께서 조계산에서 제자들에게 설법한 것을 기록한 자서 전적인 경전
지장경 - 원명은 지장보살본원경
- 대승대진지장십륜경, 점찰선악업보경과 함께 지장 3부경의 하나
- 지장보살의 사상과 그 원력 및 중생의 업보를 점쳐 지장보살에게 참회 함으로써 모든 업장을 소멸케 하는 실천법을 설함
법구경 - 진리의 말씀을 담은 짧은 구절의 가르침(일종의 불교시집)
불유교경 - 부처님께서 열반하시기 직전에 제자들에게 남긴 최후의 설법
본생담(경) - 석가모니부처님의 전생에 관한 이야기
불소행찬경 - 석가모니부처님의 생애에 관한 장편 대서사시
- 불교시인이라 일컫는 마명스님이 서술 함
* 이 밖에 수행과 서원 및 실천에 관한 가르침으로 2,900여종의 경전이 있습니다.
◈ 불교 경전의 분류
내용의 구분 / 경전의 종류
초기 경전
- 숫타니파타, 법구경, 자설경, 여시어경, 장로(니)게경 선생경, 기세인본경, 대반열반경
인연 ․ 설화경전 -본생경, 불본행집경, 출요경, 인과경, 비유경, 현우경, 백유경, 육도집경
삼매 ․ 수행 경전
- 안반수의경, 수행도지경, 반주삼매경, 관불삼매경, 금강삼매경, 능가경, 해심밀경
반야 경전
- 반야심경, 금강경, 팔천송반야경, 문수반야경, 대품반야경, 대승이취육바라밀다경
방등 경전 - 대집경, 대보적경, 대방등여래장경, 유마경, 승만경, 원각경, 능엄경
법화 ․ 화엄 경전 - 법화경, 대승열반경, 십지경, 화엄경
밀교 경전 - 대일경, 금강정경, 유희야경, 천수경
계율 경전 - 우바새계경, 범망경, 보살영락본업경, 보살지지경
신앙 ․ 찬탄 경전
-정토삼부경, 미륵삼부경, 지장보살본원경, 약사여래본원경, 비화경, 금광명경,인왕반야경
교계(敎誡) 경전 - 유교경, 사십이장경, 부모은중경
◈ 부처님의 인상(印相), 수인(手印)
부처님이나 보살의 손가락의 특정한 모습을 印相이라 합니다.
인상명칭 / 취하는 모양
선정인(禪定印)
* 결가부좌일 때 취하는 수인 입니다.
*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해서 배곱 앞에 놓고 오른손도 손바닥을 위로해서 겹쳐놓되 두 엄지손가락은 서로 맞댐
항마촉지인 (降魔觸地印)
* 항마인, 촉지인, 항마촉지인으로 석가모니만이 취하는 수인
* 선정한 오른손을 풀어서 오른쪽 무릎 위에 얹고 손가락을 땅에 댐
전법륜인 (轉法輪印)
* 최초로 설법할 때 취한 손 모양을 말함
* 왼손의 엄지와 검지의 끝을 서로대고 장지, 약지, 소지는 편다,
오른손도 같이 하고 왼쪽 손바닥은 위로하고 약지와 소지의 끝을
오른쪽 손목에 대고 오른손은 손바닥이 밖을 향한 모양 임
시무외인 (施無畏印)
* 이포외인(離怖畏印) 이라고도 함. 서계신 부처님이 주로 취함
* 다섯 손가락을 가지런히 위로 뻗고 손바닥을 밖으로 하여 어깨 높이까지 올린 모양 임
여원인(與願印)
* 시여인, 시원인, 여인이라고도 함. 서계신 부처님이 주로 취함
* 손의 모습은 손바닥을 밖으로 하고 다섯 손가락을 펴서 밑으로 향하고 손 전체를 늘어 뜨리는 모양 임(시무외인과 반대 모습)
지권인(智拳印)
* 대일여래불(비로자나불)이 결하는 수인 입니다.
* 좌우 두손 모두 엄지를 속에 넣고 주먹을 쥔 다음에 온손을 가슴까지 들고 검지를 펴 서 세운 다음 오른손의 소지로서 편 왼손의 첫째 마디를 잡는다. 주먹 속에서는 오른 손 엄지 끝과 왼손 감지 끝을 서로 댄다
미타정인 (彌陀定印)
* 아미타여래인의 수인으로 묘관찰지정인이라고도 함
* 선정인과 같은 모습에서 검지를 세워서 엄지와 서로 끝을 마주 대어 검지의 등이 사로 닿게 하는 모양으로 미타정인에는 9품(九品)이 있음
◈ 사찰의 법구
※ 종을 매단 곳을 종루 또는 종각, 북을 매단 곳을 고루 또는 고각 이라한다.
범종(梵鐘)
* 절에서 사용하는 종으로 지옥의 중생을 깨우기 위해 울린다고 함
* 조석예경이나 기타 법요행사 때 대중에 알리기 위해 사용됨
법고(法鼓)
* 조석예불 때와 의식을 치를 때 치는 북
* 부처님의 가르침이 널리 퍼져나가 참다운 이치를 전하여 줌을 뜻함
* 짐승세계의 중생을 깨우기 위해 울린다고 함
목어(木魚)
* 나무를 잉어모양으로 만들어 속을 비게 파낸 것으로 “방”이라 함
* 조석예불 때와 경전을 읽을 때 두드린다고 함
* 물속에 살고 있는 모든 생물들을 위해 울린다고 함
운판(雲版)
* 청동으로 된 판을 구름모양으로 만든 것을 말함
* 허공에 떠돌아다니는 모든 것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울림
* 참선을 하는 여러 사람들에게 끼니때를 알리기 위해서 울리기도 함
목탁(木鐸)
* 목어에서 발전된 둥근 모양으로 염불, 독경, 예배할 때 두드림
* 어리석음을 깨우친다는 뜻으로 사용됨
다기(茶器)
* 부처님 앞에 청정수를 올리는 그릇(참고 : 아침은 차, 저녁은 향)
염주(念珠)
* 부처님을 생각하기 위한 구슬로 염불의 도구 임
* 부처님께 예배할 때 손에 걸거나 돌리며 부처님을 간절히 생각하며 수를 헤아려 잡념 을 없애고 정신을 한 곳에 집중시키기 위함
* 백팔염주, 천염주 등이 있고 7개,16개,21개의 손목용 단주가 있음
죽비(竹篦)
* 대나무를 두 쪽으로 갈라지게 만든 것으로 손바닥을 쳐서 소리를 냄
* 참선의 입정과 출정을 알리기 위해 사용함 - 각각 3번씩 침
* 장군죽비는 대형 죽비로 대중이 모여 참선할 때 졸음을 쫓는 도구임
요령(搖鈴)
* 의식을 치를 때 오른손으로 잡고 흔드는 놋쇠로 만든 물건
* 의식에서 요령을 잡은 사람이 법주, 목탁을 잡은 사람이 바라지 임
* 요령사용법에는 일자요령, 심자(心字)요령, 상하요령이 있음
◈ 절의 또 다른 이름
0 0 사(寺) * 원래는 “외국의 사신을 접대하는 관사”였으나 스님이 머물면서 유래
도량(道場) * 불법의 도를 닦는 곳 이란 뜻 - 한문으로는 도장(道場)을 음역 함
가람(伽籃) * 승려들이 모여 수행하는 곳 - 범어 한역 “승가람마”의 약자
정사(精舍) * 수행 정진하는 스님들이 계시는 곳 - 범어 “비하라=寺=머무는 집”
선원(禪院) * 스님들께서 참선 수행하시는 곳
사찰(寺刹) * 법당 앞에 세우는 당간(幢竿)을 찰(刹)이라고 하는데서 유래 함
사원(寺院) * 담으로 둘러진 집과 회랑이 있는 집으로 당나라 때 불교건축물에 씀
암자(庵子) * 큰절에 딸린 작은 절이라는 뜻 - 주로 큰절 안에 있음
산림(山林) * 산과 나무가 있는 맑고 깨끗한 청정지역이라는 뜻
총림(叢林) * 선원, 율원, 강원, 염불원을 모두 갖춘 종합도량 - 종합대학 격임
아란야(阿蘭若) * 마을에서 멀리 떨어진 “수행하기 적당한 한적한 숲”이란 뜻
포교당(布敎堂) * 포교원이라고 함 - 불교의 포교를 전문으로 하는 곳을 말함
⚆ 종교란 - 인간의 삶 그 자체를 문제 삼으며 그것을 몸소 해결하여 평화롭고 행복하게 살고자 하는 가르침. 교주. 교리. 교도가 있어야 성립.
⚆ 불교란 -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고 행하는 종교. 모르고 사는 삶을 알고 살아가는 삶으로 바꾸어주는 가르침. 믿음과 수행을 겸비한 수행의 종교, 깨달음의 종교
⚆ 탄생게송 - 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 아당안지
이 세상의 모든 인간과 생명은 평등하고 존귀하다.
세계가 다 고통에 잠겨있으니 내 마땅히 이를 구제하리라.
⚆ 부처님과 가족
국가 : 카필라국 부모 : 정반왕과 마야부인
이름 : 고타마(최상의 소) 싯달타(모든 것을 성취한 자) 석가모니(석가족의 성자)
양모 : 이모 마하파자파티(최초의 비구니-아난의 도움)
부인 : 야쇼다라공주(최고의 비구니)
아들 : 라훌라(족쇄. 장애-밀행제일)
⚆ 4대 성지 및 5대 명절
4.8 - 석탄일 - 룸비니(무우수나무)
2.8 - 출가일- 붓다가야(성도지)
12.8 - 성도절 - 녹야원(초전법륜)
2.15 - 열반일 - 쿠시나가라
7.15 - 우란분절(백중) - 목련존자 (안거 해제시 - 자자)
⚆ 여래십호 ☼아뇩다라삼약삼보리(정변지-무상사)
여래. 응공. 정변지. 명행족. 선서. 세간해. 무상사. 조어장부. 천인사. 불 세존
⚆ 과거칠불의 칠불통계게
제악막작 중선봉행 자정기의 시제불교
(모든 악한 일을 하지 말고, 모든 착한 일을 받들어 행하며, 스스로 그 마음을 깨끗이 하라. 이것이 모든 부처님들의 가르침이니라)
⚆ 삼처전심 : 영산회산 거염화, 다자탑전 반분좌, 쌍림열반 곽시쌍부
☼ 죽림정사 - 최초의 사원, 빔비사라왕, 왕사성
☼ 기원정사 - 가장 오래 머무신 곳, 급고독장자, 사위성
⚆ 우루벨라설법 = 상두산설법
[비구들아, 모든 것이 불타고 있다 ~ ]
☼ 가섭 3형제 귀의시킨 후
☼ 약 1천명의 비구들을 향해
☼ 기독교의 ‘산상수훈’에 비교
⚆ 전도선언 - 제자 60명, 순교이생의 명령
많은 사람의 이익과 안락을 위해 전도의 길을 떠나라~
⚆ 부처님을 슬프게 한 사건
1. 석가족의 멸망 : 코살라국 - 비두닷바(유리왕)
2. 사리불과 목련의 열반
3. 데바닷다의 반역
⚆ 열반유훈 : 자귀의 법귀의, 자등명 법등명
“스스로를 등불로 삼고 진리를 등불로 삼으라. 스스로에 이지하고 진리에 의지하라“
⚆ 여래가 세상에 나올 때의 5가지 일
1. 법의 바퀴를 굴리는 일
2. 부모를 제도하는 일
3. 믿음 없는 사람을 믿음의 땅에 세우는 일
4. 보살의 마음을 내게 하는 일
5. 장래의 일을 예언하는 것
⚆ 부처님만의 특징 : 32상 80종호
⚆ 18불공법 : 십력 + 사무소외 + 삼염주 + 대자비
⚆ 삼신불
법신 = 청정법신 비로자나불(지권인)
보신 = 원만보신 노사나불
화신 = 천백억화신 석가모니불
⚆ 사지 : 성소작지-묘관찰지-평등성지-대원경지
⚆ 삼명육통 : 삼명 ; 천안명, 누진명, 숙명명
육통 : 천안통, 천이통, 타심통, 숙명통, 신족통, 누진통
⚆ 부처님의 교화방법 = 위의교화, 대기설법, 차제설법
⚆ 삼종고 = 고고, 행고, 괴고
⚆ 열반4덕 : 상, 락, 아, 정
⚆ 12연기 (부처님이 깨달으신 법=연기법)
무명-행-식-명색-육입-촉-수-애-취-유-생-노사
→►유전연기(순관) ←◄환멸연기(역관)
☼ 연기를 보는 자 곧 법을 보고, 법을 보는 자 곧 연기를 본다.
그리고 연기를 보는 자는 부처님을 본다.
☼ 애 (괴로움의 원인) = 갈애, 욕애
☼ 삼종외도(세가지 그릇된 견해) = 숙명론, 존우론, 우연론
☸ 상의상관 : 이것이 있음으로 저것이 있고, 저것이 있음으로 이것이 있다.
이것이 없기 때문에 저것이 없고, 이것이 사라짐으로써 저것이 사라진다.
☼ 연기를 가장 잘 설명한 것 - 삼법인
☼ 전변설, 적취설
⚆ 중도 = 극단을 떠난 바른 길(고락중도, 단상중도, 유무중도)
유와 무 어느 한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진실한 도리, 고와 낙의 양쪽을 떠난 올바른 행법, 연기는 곧 중도이며, 중도는 곧 정도이다. 불자들은 중도적 사고와 실천을 삶의 바탕으로 삼아야한다.
생활에서 팔정도를 실천하는 것, 연기적 관점을 갖는 것이 올바르게 살 수 있는 길이다.
☸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길 = 사정제와 팔정도
⚆ 삼법인 = 제행무상, 제법무아, 일체개고(열반적정)
⚆ 팔정도 = 중도의 실천
혜 : 정견, 정사유
계 : 정어, 정업, 정명
정 : 정정진, 정념, 정정
⚆ 3학 = 계학,정학,혜학
⚆ 보살 = 보디사트바(보리살타) = 깨달음을 추구하는 중생
자리이타행의 수행자. 상구보리 하화중생, 보살행=육바라밀, 사무량심, 사섭법
☼ 보살의 원 = 사홍서원
(중생무변서원도, 번뇌무진서원단, 법문무량서원학, 불도무상서원성)
☼ 사섭법 = 보시, 애어, 이행, 동사
⚆ 사념처 = 신념처, 수념처, 심념처, 법념처
⚆ 오정심관 = 부정관,자비관,인연관,계분별관,수식관
⚆ 37조도품(부파불교)
사념처, 사정근, 사여의족, 오근, 오력, 칠각지, 팔정도
⚆ 오온 = 오취온
색(현색,형색,표색,무표색), 수(고,락,사), 상, 행. 식
⚆ 18계 = (육근 + 육경 = 12처) + 육식
⚆ 3계 = 무색계(멸수상정), 색계, 욕계
⚆ 3업 = 사이업 = 신업 (살생, 투도, 사음)
구업 (망어, 기어, 양설, 악구
사 업 = 의업 (탐애, 진에, 치암)
⚆ 업 = 까르마, 의도를 가진 행동
선업을 쌓을수록 삶은 자유로워지고, 깨달음을 향해 나아갈 때 장애가 없어진다. 자신을 구속하는 것도 자유롭게 하는 것도 모두 자기 자신이다.
⚆ 공 : 모든 것이 고정된 실체로서의 자성이 없다. 색즉시공, 공즉시색,
⚆ 계율 : 불자의 생활규범
☼ 계(실라) : 자발적인 도덕적 수행, 벌칙 없다. → 수범수제
- 백장 회해 : 백장청규(일일부작 일일불식)
- 오계 = 불살생, 불토도, 불사음, 불망어, 불음주
☼ 율(비나야) : 타율적 행위규범, 벌칙 있다.
☼ 지범개차
⚆ 사참 : 매일 짓는 죄를 참하는 것
이참 : 죄의 본성을 확실히 깨닫는 것, 진정한 참회
⚆ 아뇩다라삼약삼보리 얻기 위해 → 회향해야 함.
⚆ 기도 : 염불, 주력, 간경(풍경,독송,독경), 절, 참회, 사경, 사불, 정근(명호부르며 정진),
기도(타력), 수행(자력)
⚆ 천도재, 49재, 수륙재, 영산재, 예수재, 개산대재, 우란분재(우란분절)
⚆ 불교의 우주관 = 성, 주, 괴, 공
⚆ 법회 식순
1. 삼귀의례
2. 찬불가
3. 반야심경 봉독
4. 청법가
5. 입정
6. 법문
7. 정근 및 헌공
8. 발원문
9. 사홍서원
⚆ 우리나라 최초의 사찰 : 고구려 375년(소수림왕) - 이불란사, 초문사
⚆ 전 - 불보살, 각 - 그 외
⚆ 법당 : 상단(불단), 중단(신중단), 하단(영단)
⚆ 대웅전(석가모니불 : 항마촉진인, 선정인, 전법륜인)
<협시 : 문수-보현, 가섭-아난>
☼ 삼세불 : 현세(석가모니불) 과거(연등불=제화갈라보살) 미래(미륵보살)
☼ 주불전 = 부처님을 모신 불전 = 금당
⚆ 대웅보전(삼신불) <협시 : 아미타불-약사여래불>
⚆ 대적광전 (비로자나불 : 지권인) - 화엄사찰의 본전
☼ 삼신불 (비로자나불, 노사나불, 석가모니불)
⚆ 극락전 = 무량수전, 미타전 (아미타불:구품인) <협시 : 관세음보살-대세지보살>
⚆ 미륵전 = 용화전, 자씨전(미륵불:시무외인,여원인) (미륵경, 상생경, 하생경)
⚆ 원통전=관음전 (관세음보살)
⚆ 약사전=만월보전, 유리광전, 보광전 (약사유리광여래:왼-약병,약함, 오-시무외인)
<협시 : 일광변조 소재보살-월광변조 식재보살>
⚆ 명부전=지장전,시왕전(지장보살:육환장)
⚆ 응진전=부처님제자 16나한 또는 500나한
☸ 관세음보살 :보관중앙에 아미타불 화현, 연꽃. 감로수병
☸ 문수보살(지혜) : 왼손-연꽃, 사자
☸ 보현보살(실천행) : 코끼리, 연화대
⚆ 10재일 : 1(정광불), 8(약사여래), 14, 15(아미타여래), 18(지장보살), 23,
24(관음보살), 28, 29, 30(석가모니불)
☼ 팔부신중 : 천, 용, 야차, 건달바, 아수라, 가루라, 긴나라, 마후라가
⚆ 일주문 - (금강문) - 천왕문 - 불이문(=해탈문)
☼ 동:지국천왕, 남:증장천왕, 서:광목천왕, 북:다문천왕
☼ 불이문 : 수미산 - 제석천왕 - 도리천의 33천
☼ 28천 가운데 욕계 6천의 제 2천, 지상에서 가장 높음
☼ 불국사 불이문=자하문
⚆ 탑(스투파) 금강계단, 석등, 부도 - 중국(전탑), 우리나라(석탑), 일본(목탑)
⚆ 불교회화 및 건축 : 탱화, 벽화, 감로도, 괘불, 변상도
☼ 불전사물 : 범종, 법고, 목어, 운판
☼ 목탁, 죽비, 발우, 요령, 염주, 불자
☼ 당간. 당간지주, 업경대, 윤장대
☼ 건축 : 맞배지붕(주심포), 팔작지붕(다포)
☼ 비구6물 : 3의(승가리,울다라승,안타회), 발우, 녹수당, 니사단
☼ 범종 : 용뉴, 음통, 상대, 하대, 유곽, 유두, 비천상, 당좌
☼ 원이삼점 : 불법승 삼보, 삼신불의 삼위일체, 합각벽에 그려짐
☼ 점안의식 : 불화, 불상 등을 봉안하는 의식
☼ 석문의범 : 안진호스님의 불교의식
☼ 통알=세알 : 신년하례식
☼ 시다림 : 망자를 위해 설법 염불
☼ 용상방 : 사찰에서 소임을 써서 붙이는 안내문
☼ 업경대 : 명부전에서 심판받을 때 죄업이 비친다는 거울
☼ 양안 : 사찰의 토지대장
☼ 우리나라 세계 유산 : 불국사, 석굴암, 해인사, 팔만대장경, 창덕궁, 종묘, 수원화성
☼ 세계 불교 유적 : 아잔타석굴(인도) 보르부두르 사원(인도네시아) 스와얌부나트 사원(네팔) 바욘 사원(캄보디아)
☼ 금강산 4대 사찰 : 유점사(최초), 장안사, 표훈사, 신계사(2007 착공)
☼ 불기 = 1956년(2500년) 네팔 세계불교도대회. 2008년은 2552년
☼ 입멸 = 서기전 544년. 탄생 = 서기전 624년
⚆ 십우도 :
심우-견적-견우-득우-목우-귀우귀가-망우존인-인우구망-반본환원-입전수수
⚆ 불교식 위패 쓰는 법
아버지 : 선망 엄부 (본관)후인 (불명) (이름) 영가
어머니 : 선망 자모 (본관)유인 (불명) (이름) 영가
⚆ 삼장 = 경장, 율장, 논장
⚆ 오시팔교 = 교상판석 = 교판
⚆ 대승 : 다불 / 보살 / 육바라밀 / 간화선 / 경전이 다양함
⚆ 소승 : 일불 / 아라한 / 37조도품(팔정도) / 위빠사나 / 아비달마(경전이 하나)
☼ 사바하 = 원만성취
☼ 아함경 : 장, 중, 잡, 증일 아함경
☼ 숫타니파타 = 가장 오래된 경전
☼ 자타카 = 본생담, 본생경, 석가모니 전생 설화
☼ 초발심자경문 계초심학인문 = 보조국사지눌
발심수행장 = 원효대사
자경문 = 야운선사
☼ 밀린다왕문경 = 메난드로스왕과 나가세나장로의 문답
☼ 정토삼부경 = 무량수경, 관무량수경, 아미타경
☼ 불소행찬 = 마명, 붓다차리타(붓다의 생애) 장편 대서사시
☼ 금강경 = 조계종 소의경전, 수보리와 문답식 대화, 공사상, 무주상보시
혜능대사 - 응무소주 이생기심(마땅히 머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내라)
☼ 화엄경 = 대방광불화엄경, 대승경전, 일즉다 일즉일 일체유심조. 선재동자와 53명의 선지식
☼ 법화경 = 묘법연화경, 대승경전의 대표, 일불승, 천태종 소의경전, 회삼귀일, 개시오입, 성구설
☼ 열반경 = 자등명 법등명. 중국 도생의 일천제 성불성, 성기설
☼ 유마경 = 재가주의(+승만경), 유마거사가 설한 경
문수보살 - 동체대비 - 불이에 대해 무언 설법(침묵)
번뇌즉 보리. 마음이 밝아야 국토가 청정하다.
☼ 승만경 = 재가주의(+유마경) 여래장사상, 일승사상
☼ 선가귀감 (참선의 3요 : 대신근,대분지,대의정)
☼ 대반야경 = 초조대장경 서두, 진호국가의 사상
☼ 구사론 : 세친(유식사상)-심법,색법,심불상응행법,심소유법,무위법
☼ 대지도론(=마하반야바라밀론) : 용수
☼ 사십이장경 : 아함경등 42가지 덕목 발췌. 중국 최초 전해짐
☼ 법성게 : 의상대사(화엄경. 화엄종의 초조)
☼ 수심결 : 보조국사 지눌(돈오점수 정혜쌍수)
☼ 선문염송 : 고려 혜심
☼ 해동고승전 : 고려 각훈
☼ 선문정로 : 성철스님
☼ 조론 : 승조
☼ 대승기신론 : 마명
⚈ 인도불교사
☼ 인도 중심국 : 코살라국(유리왕-석가족 멸망시킴), 마가다국(빔비사라왕-죽림정사)
☼ 아쇼카왕 : 인도통일, 불교전파, 3결집, 8만4천 탑
☼ 카시쉬카왕 : 불상조각, 간다라 미술보호, 대탑건설, 4결집
☼ 만다라 : 부처님이 깨달으신 세계, 수행도량
☼ 결집 : 합송, 합주, 집회
1결집 : 가섭, 500명, 왕사성 칠엽굴, 경장(아난) 율장(우팔리)
2결집 : 야사, 700명, 베샬리, 상좌부와 대중부 분열, 10비법
3결집 : 야쇼카왕, 1000명, 삼장의 형성
4결집 : 카니시카왕, 500명, 중국으로 전달 계기
☼ 사성제 계급 :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
☼ 바라문의 4단계 생활 형태 : 범행기 → 가주기 → 임서기 → 유행기
☼ 사문 : 바라문에 대항하는 혁신적 사상가
☼ 용수 : 대승불교. 중론. 중관사상
☼ 출가수행자의 사의지 : 걸식, 분소의, 수하좌, 부란약
☼ 아비달마 : 대법, 부파불교, 소승불교
☼ 여래장사상 : 일체중생 실유불성, 보성론, 대승기신론
☼ 인도불교의 흐름 : 근본불교→원시불교→부파불교→대승불교
⚈ 중국불교사
☼ 실크로드
☼ 초기전래 : 감몽구설법, 사십이장경, 백마사
☼ 격의불교 : 반야의 공사상을 중국 노.장의 무 사상과 연관
☼ 중국 4대 역경가 : 구마라집(구역), 진제(섭대승론), 현장(신역), 불공(밀교)
☼ 안세고 : 소승경전
☼ 지루가참 : 대승경전
☼ 주사행 : 중국 최초의 출가자
☼ 도안 : 오실본 삼불이
☼ 승조 : 조론, 반야무지론
☼ 혜원 : 백련사, 대승대의장
☼ 도생 : 돈오성불설, 일천제 성불 주장
☼ 법현 : 불국기(역유천축기) 현장 : 대당서역기(서유기) 혜초 : 왕오천축국전 의정 : 남해기귀전
☼ 양의 무제 : 불교신앙 돈독
☼ 진제 : 섭대승론, 유식론
☼ 삼무일종의 법난 : 북위 태무제, 북주 무제, 당 무종, 후주 세종
☼ 남악 혜사 : 말법사상
☼ 천태 삼대부 : 법화문구, 법화현의, 마하지관
☼ 삼론종 : 십이문론(용수), 중론(용수), 백론(제바)
☼ 교상판석(교판) 설법의 형식, 방법, 순서, 내용, 교리의 분류 체계화
☼ 태종의 교판 : 오시팔교
☼ 판석(=교의의 불교) = 천태종 = 법화경의 일승사상
☼ 화엄종 : 성기사상, 법계연기, 육상원융, 사종법계(사법계,이법계,이사무애법계,사사무애법계)
☼ 백장청규: 당의 백장 회해, 일하지 않으면 먹지마라(일일부작 일일불식)
☼ 중국선종의 초조~ 5조
보리달마 → 혜가 → 승찬 → 도신 → 흥인 → 혜능(남종선), 신수(북종선)
☼ 이입사행 : 도에 들어가는 문은 이치로 들어가는 이입(理入)과 실천행으로 들어가는 행입(行入)이 있다. 이입이란 경전의 가르침에 의거하여 종(宗:心, 禪)을 깨달아 궁극에는 범부와 성인이 동일한 참성품 즉 불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고, 행입에는 다시 네 가지의 실천행이 있는데, 보원행, 수연행, 무소구행, 칭법행이 있다.
☼ 달마선풍의 종지 : 불립문자, 교외별전, 직지인심, 견성성불
☼ 5가7종 : (위양종, 임제종, 운문종, 법안종, 조동종 + 황룡파, 양기파)
☼ 동산법문 : 도신의 제자 흥인, 쌍봉산
☼ 간화선 : 임제종, (화두-1700공안 -평등일여의 경지에 도달하는 선)
☼ 묵조선 : 묵묵히 좌선하며 수행
☼ 감산덕청 : 유교와 불교 도교 3교의 융합, 화엄과 선의 융합 주장
☼ 혜능가경기, 원각경직해, 법화경통의, 조론약주
☼중국불교회 : 현대 중국 불교 교단정비단체 1929년
⚈ 한국 불교사
⚆ 고구려 : 삼론학의 발달
☼ 전래 : 372년 소수림왕 (전진 - 순도)
☼ 최초의 사원 : 초문사, 이불란사(375)
☼ 승랑 - 중국 삼론종
☼ 일본에 전파 : 혜자, 도등, 도현(대안사)
☼ 담징 : 일본(법륭사) - 채색,지물,맷돌
☼ 혜관 - 일본 삼론종의 시조
⚆ 백제 : 계율사상 발달(겸익)
☼ 전래 : 384년 침류왕(인도승 마라난타)
☼ 법왕 : 왕흥사 창건
☼ 겸익 - 인도에서 율종도입, 중국보다 앞섬. 인도에서 살아온 유일한 스님
☼ (일본) - 관륵, 혜총, 도장
☼ (중국) - 발정,현광
⚆ 신라 : 실천적불교(원광,자장의 호국불교)
☼ 전래 : 눌지왕 고구려 - 묵호자, 아도
☼ 공인 : 527년 법흥왕 14년(이차돈의순교)
☼ 진흥왕 : 황룡사 9층탑(자장), 백고좌법회와 팔관회 설치(혜량-고구려)
☼ 원광(세속오계, 점찰법) 혜통(당에서 밀교 전함)
☼ 진표(점찰법회, 미륵신앙)
☼ 도의와 홍척(마조문하의 선법을 지장에게 전해받음)
☼ 원측 : 신라왕손, 중국, 해심밀경소
☼ 자장 : 신라 진골출신, 당나라 유학, 대장경 1부, 대국통, 황룡사 9층탑)
“하룻동안 계를 지키다가 죽을지언정 계를 파하고 백년 살기를 원치 않노라”
☼ 혜초 : 왕오천축국전-돈황에서 발견
☼ 원효 : 금강삼매경론, 해동소(대승신기론), 화쟁사상(대립되는 불교개념의 실상은 동일하다), 일체유심조, 무애가(걸림없는박-무애박), 정토사상, 발심수행장, 육자염불(나무아미타불), 유학안감
☼ 의상 : 해동화엄종의 초조, 태백산 부석사 등 화엄십찰 창건, 법성게
☼ 신라 불교의 대중화(혜숙,원효,대안,혜공) - 의상은 아님
☼ 법랑 : 도신(중국)의 제자, 최초 선법 전함
☼ 최초의 선찰 : 실상사(홍척)
☼ 도의 : 남종선 처음 전함(조계종 종조) → 염거 → 체징(가지산 보림사)
⚆ 고려시대(조계종, 천태종)
☼ 태조 : 훈요십조(팔관회, 연등회)
☼ 도선 : 비보사탑설, 풍수지리설과 도참설
☼ 선종의 발전 : 신행과 도의
☼ 승록사 : 스님 승적관리 및 불교관련 관청
☼ 균여 : 화엄학자(북악파, 남악파 분열 해소)
☼ 의통 : 중국 천태종 부흥, 의천보다 앞섬
☼ 제관 : 천태사교의(천태학)
☼ 정종 : 경행의식(인왕반야경)
☼ 광종9년 : 첫 승과제도 시행(구산선문 정착)
☼ 대각국사 의천 : 문종아들, 송나라, 천태종개창, (승과제도-숙종6년), 장경도감 설치,
신편제종교장총록(송.요.일본의 논서 목록)
☼ 묘청의 난 : 서경 승려, 칭제거원 서경천도, 인종때 정금론 주장, 김부식에 의해 진압
☼ 삼국사기 : 김부식(12C)
☼ 삼국유사 : 일연(13C)
☼ 보조국사 지눌 : 정해결사(조계종). 돈오점수 정혜쌍수 주장, 수심결, 팔공산 거조암
☼ 요세스님 : 백련결사(천태종)
☼ 천태종 교설 : 일념삼천. 일심삼곤. 삼제원융
☼ 태고보우 : 임제선 도입(조계종의 중흥조)
☼ 5교양종 : 화엄종, 법상종, 법성종, 열반종, 율종양종 (천태종, 조계종)
☼ 초조대장경 : 현종2년, 거란침입때 착수-몽고침입때 손실 대구 팔공산 부인사에 보관
☼ 고려대장경 : 팔만대장경, 고종 강화도 선원사 대장도감, 몽고침입때, 16년 걸려 완성, 해인사 장격각 보관, 세계문화유산 지정 (참고: 중국 송나라에도 대장경 있었다)
☼ 운묵 : 석가여래행적송
☼ 무차대회
⚆ 조선시대
☼ 태조이성계 : 흥천사, 무학대사 왕사
☼ 불교억압 : 태종때부터 ~ 중종-도승조삭제, 공식적 폐불
☼ 승려도성출입금지(인조) 해제(고종 1895년)
☼ 내불당 : 세종때 궁궐내 사찰
☼ 세조 : 간경도감, 월인석보(석보상절+월인천강지곡)
영산회상곡 : 세조때 불교음악, 악학궤범
전경법 : 불경외우며 시가행진, 원각사
☼ 용주사 : 정조가 사도세자를 위해 지은 절, 수원
☼ 성민 : 신문고, 척불정책 완화 건의
☼ 초의 의순 : 다도 중흥시킴
☼ 범패(어산) : 전승 - 대휘스님(범음종보), 진감선사비 - 쌍계사
☼ 임제종 : 원종(순천 송광사 1911)
☼ 함허당 득통 : 현정론, 유학자 불교배척에 반론
☼ 서산대사 휴정 : 임진왜란 팔도도총섭, 선가귀감
☼ 사명대사 유정 : 선교양종판사직
⚆ 근대 불교사
☼ 원종 : 종단 명칭, 불교계 최초의 잡지
☼ 만당 : 항일 비밀 결사단체, 당수 - 한용운(본인에게 통보안함)
☼ 선학원 창립 : 한용운(조선불교 유신론), 백용성(3.1 운동 참여)
⚆ 구산선문 : 희양산문, 가지산문, 사자산문, 사굴산문, 봉리산문, 실상산문, 성주산문, 수미산문, 동리산문
☼ 구산선문 선의 종지 : 무위임운, 무념무수로서 남종선의 '마음이 곧 부처(卽心是佛)라고 하는 돈오견성의 무념법문을 토대로 하고 있다
⚆ 조계종 5대 총림
1. 양산 통도사 영축총림 2. 합천 해인사 해인총림 3. 승주 송광사 조계총림
4. 예산 수덕사 덕숭총림 5. 장성 백양사 고불총림
⚆ 삼보사찰
1. 佛寶(불보)사찰 - 경남 양산 영축산 통도사
2. 法寶(법보)사찰 - 경남 합천 가야산 해인사
3. 僧寶(승보)사찰 - 전남 승주 조계산 송광사
⚆ 관음성지 :
양양 낙산사 홍련암,
강화 낙가산 보문사,
남해 금산 보리암
⚆ 3귀의
귀의불양족존 歸依佛兩足尊
귀의법이욕존 歸依法離欲尊
귀의승중중존 歸依僧衆中尊
⚆ 5계 : 불살생, 불투도, 불사음, 불망어, 불음주
☼ 최고 고려시대 목조건물 : 봉정사(극락전), 수덕사(대웅전), 부석사(무량수전)
☼ 최초 금속활자 : 직지심경
☼ 최고 목판인쇄물 : 무구정광대다라니경(불국사-석가탑)
☼ 최고 종 : 상원사종
☼ 다보탑 석가탑 : 법화경의 견보탑품
☼ 범영루 : 불국사 수미범종각 108명 앉음
☼ 감은사지 : 경주, 문무왕을 위해 신문왕이 세움
☼ 금동미륵반가사유상 :(미륵상생경,
☼ 문화재 관리 보존에 관한 견해 :
불교문화재는 민족문화 유산이기 이전에 신심이 지극했던 조상들이 신심과 지혜와 기술을 융화하여 구현한 신앙의 표현이자 상징이라는 점과 불자들에게는 신앙의 대상이다. 성보문화재를 관리 보존하기 위해서는 불교문화와 사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함께 문화재 보호 캠페인등을 실시하여 모든 문화재는 원위치에 원형 그대로 보존되도록 해야 하며, 복원과 관리는 관계 전문가의 충분한 연구 검토와 고도의 기술을 동원하여 치밀한 계획 아래 신중하게 해야 한다. 또한 무모한 발굴을 지양하고 문화재 보존사업은 주위 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환경 친화적인 안목에서 해행되도록 해야 한다.
☼ 현대사회에서 선수행이 필요한 이유 :
현대는 물질적 풍요 속에 정신적 빈곤을 느끼며 정체성을 상실하고 방황하며 살아가고 있다. 또한 과잉 문화현상 속에서 소비적 향락문화에 매몰되어 물질의 노예가 된 채 무의미하게 인생을 살아가고 있다. 이런 물질과 허위의식으로 채워진 현대인들에게 육체적 욕망과 허위의식을 버리고 인간의 본래 모습을 회복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선수행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래 부처인 인간이 무한한 존엄성을 가진 존재임을 자각하게 하는 선의 가르침을 통해 인간 신뢰와 존중정신을 확립할 수 있으며 우주와 인간이 하나라는 불교의 연기사상 등은 맑고 깨끗한 공동체 사회를 이룩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현대사회에서 선 수행은 불교인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절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조계종
☼ 종조 : 도의국사(혜능선사=조계산→조계) = 가지산문
☼ 중천조 : 보조국사 지눌(정혜결사, 권수정혜결사문, 길상사에서 최초 간화선소개)
☼ 중흥조 : 태고 보우국사 (왕사, 오교구산 통합 조계종 중흥)
☼ 종지 : 석가모니 부처님의 근본 교리를 받들어 배우며 바로 마음을 보아 부처가 되는 법을 널리 전하여 중생을 이롭게 하는 것.
자각각타, 각행원만, 직지인심, 견성성불, 전법도생
☼ 의식 : 불조유훈, 백장청규, 예참법
☼ 소의경전 : 금강경, 전등법어
☼ 조계종의 3대 사업 : 포교, 역경, 도제양성
☼ 종정 : 도림법전 (5년-1차)
☼ 종정교시 : 지계청정, 견성성불, 중생교화
☼ 중앙종회 의장 : 법등스님 임기 4년, 매년 1회 11월 정기모임
☼ 의결방식 :과반수 출석-과반수 찬성, 불신임의결 : 1/3 발의 무기명비밀투표 2/3 찬성
☼ 원로회의 의장 : 종산스님
☼ 총무원장 : 지관스님 (4년-1차) : 중앙신도회의 총재
☼ 포교원장 : 혜총스님 (5년-1차) 승랍 30년-50세-종사
☼ 교육원장 : 청화스님 (5년-1차)
☼ 본사주지 : 4년 승랍 25년-45세
☼ 말사주지 승랍10년-30세
☼ 전계대화상 : 계단, 3년-1차
☼ 소청심사위원회 : 3년-1차 (7인)
☼ 사찰운영위원회 : 임기 2년, 주지가 임명 7-30인
☼ 신도증 갱신 : 10년
☼ 제적사찰변경 : 교구본사(3개월) - 총무원(15일)
☼ 국제포교사 및 포교사증 갱신 : 3년
☼ 징계 : 교구신도회 징계위원회(7인) - 출교, 공권정지(1개월~5년), 문서견책
☼ 중앙신도회장 : 김의정
☼ 화계사주지 : 수암스님
☼ 372년 : 한국에 불교 전래(소수림왕 2년)
☼ 1906년 : 명진학교(동국대학교 전신)
☼ 1911~1987년 : 불교재산관리법
☼ 1962년 : 통합종단출범
☼ 1964년 : 동국역경원 팔만대장경 한글화 시작
☼ 1966년 : 불교기(청,황,적,백,주)인종의 얼굴색,부처님 상호
가로선 - 인류화목, 부처님 가르침,
세로선 - 세계평화, 부처님의 가르침이 영원하다.
☼ 1968년 : 군승단, 교법사 시험
☼ 1970년 : 중앙상임포교사제도
☼ 1975년 : 부처님 오신 날 공휴일 지정
☼ 1987년 : 전통사찰보전법(50년 이상)
☼ 1994년 : 종단개혁 - 종무행정의 병렬화
⚆ 단체
☼ 사단법인 파라미타청소년협회
☼ 사단법인 생명나눔 실천회
☼ 군승단(군대내 포교), 경승단(경찰, 유치인, 청소년 선도)
☼ 불학연구소 : 선학,율학,교학 연구
☼ 행자교육원 : 사미(니)계 수료 → 구족계
⚈ 포교
☼ 표교의 3대 지표(1981) 인류의 불자화, 불교의 생활화, 사회의 정토화
☼ 포교사의 사명 : 삼보호지, 정법홍보, 보살도 실천, 불국토 건설
☼ 포교사의 의무 : 정기적 활동, 활동상황 보고, 연수교육 이수
☼ 포교사의 임무 :
자신교입신(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고 신행의 기쁨을 전하는 것이다)
☼ 포교사의 정의 :
종법에 의하여 자격을 갖추고 각급 포교시설에서 직접 포교를 담당하는 재가자
☼ 포교의 목적 :
불타의 교법을 널리 홍보하여 중생을 교화하고 지혜와 자비의 불타정신을 사회에 구 현하여 불국정토를 건설한다.
☼ 포교원 산하단체 : 경승단, 군승단, 교법사
☼ 전법자의 4대 조건 : 성(목소리), 박(박학다식), 변(때와 장소에 맞게 변화), 재(임기응변의 재주)
☼ 전법자의 자세 : (법화경 법사품) 대자비심, 유화인욕, 일체법공
☼ 사무애변 : 법무애변, 의무애변, 사무애변, 요설무애변
☼ 설법형식 : 원고설법, 암송설법, 요약원고설법, 절충식 설법
☼ 문답법형식 : 일향기, 분별기, 반힐기, 사치기(침묵)
☼ 수계3사 : 수계사(=계화상), 교수사, 갈마사
⚈ 종교학
☼ 애니미즘 : 정령신앙, 동물 자연물에 혼이 깃든다
☼ 토테미즘 : 초자연적 존재, 신성불가침
☼ 샤마니즘 : 무속신앙
☼ 힌두교의 3신 : 브라하마, 비뉴스, 시바
☼ 인도 신관의 변천 : 다신교 - 교체신교 - 일신교
☼ 범신론 : 전우주를 동일시
☼ 종교사상 : 배타주의, 포괄주의, 병렬주의, 다원주의
⚆ 연기란 : 인연인과, 상의상관 타종교와의 차별
일체 존재의 동시적 상호의존성을 가리키는 연기는 세계존재와 인간존재의 근거와 본질을 규명하는 진리다. 마치 만다라의 그림과 같이 존재는 서로 얽혀 의미를 만들어 낸다. 각자가 우주이자 모두가 우주다.
부처님 말씀의 핵심은 연기(緣起)다. 연기이므로 무아(無我)이고 공(空)이다. 연기는 모든 존재의 동시적인 상호의존 관계를 뜻한다. 어제가 있었기에 오늘이 있고 네가 있기에 내가 있다. 연기법에 따르면 고통도 한시적일 뿐, 영원한 것이 아니다. “고통의 조건을 제거하기 위해 노력한다면 지고의 행복인 열반을 성취할 수 있다”고 부처님은 강조한다.
연기에 대한 압축적인 정의는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此有故彼有], 이것이 생기므로 저것이 생긴다[此起故彼起], 이것이 없으면 저것이 없고[此無故彼無], 이것이 사라지면 저것이 사라진다[此滅故彼滅]라고 반복적으로 설명된다.
부처님의 연기법을 깊이 이해하여 자타불이(自他不二)와 동체대비(同體大悲)의 정신으로 개개인은 물론 사회 전체가 반목과 대립으로 인한 고통에서 원융과 조화의 행복한 삶이기를 희망해 본다.
⚆ 중도란
불교를 논리적이고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대표적인 사상은 마음에 관한 체계와 중도의 길에 대한 가르침 두 가지가 있습니다. 그 가운데서 중도에 대한 가르침은 양 극단에 대한집착을 버리라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양 극단은 언제나 서로를 의지해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를테면 선과 악, 밝음과 어둠, 동과 서, 길고 짧음 등 무수한 현상들이 서로 쌍을 이루어서 존재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마치 이들의 쌍이 서로 대립적이고 반대되는 것으로 이해합니다.
그러므로 지혜로운 사람은 이들 쌍의 상호 의존적 속성을 이해하기 때문에 어둠 속에서 밝음을 보고 선을 보면서 동시에 악을 보게 됩니다. 그래서 지혜로운 사람은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습니다. 그런데 어리석은 사람은 이들의 쌍을 서로 대립적이고 반대되는 것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어느 한 쪽을 주장하고 집착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것이 지나치게 되면 다른 한 쪽을 공격하게 됩니다. 선(善)에 집착하는 사람은 반드시 악(惡)을 만나게 됩니다.
극단을 피하고 집착을 피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함께 동시에 보는 것입니다. 단면이 아니라 입체적으로 보는 것입니다. 누가 사랑을 말하면 사랑의 그림자인 미움도 함께 보고 누가 선을 말하면 선의 그림자인 악도 함께 보는 것입니다. 누가 절대적이고 완전한 것을 주장하면 상대적이고 불완전한 측면을 보는 것입니다. 진정한 의미의 중도는 두 극단의 중간이 아니라 두 극단 속에서 서로를 보는 것입니다.
⚆ 오관게
계공다소량피래처 촌기덕행전결응공 방심이과탐등위종,
정사양약위료형고 위성도업응수차식
이 음식이 어디서 왔는가, 덕행이 부족한 나로서는 받기가 부끄럽네.
마음의 온갖 욕심 버리고 육신을 지탱하기 위한 약으로 알아 도업을 이루고자
이 공양을 받습니다.
⚆ 금강경 사구게
☼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무릇 모양이 있는 것은 모두가 허망한 것이니 만약 모든 상을 상 아닌 것으로 보면 곧 여래를 보리라)
☼ 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 미촉법생심 응무소주 이생기심
(응당 이와 같이 청정한 마음을 낼 지니 응당 모양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않고 응당 성. 향. 미. 촉. 법에도 머물러 마음을 내지 않나니 모름지기 머무른 바 없이 그 마음을 낼 지어다.
☼ 약이색견아 이음성구아 시인행사도 불능견여래
(만약 모양으로써 나를 보려 하거나 음성으로써 나를 구한다면 이 사람은 사도를 행함이니 능히 여래를 보지 못하리라)
☼ 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
(일체 유위법은 꿈과 환상이며 물 거품이고 그림자와 같고 또한 이슬과 같으며 번개와 같나니 응당 이와같이 관할지어다)
⚆ 예불문(7정례)
계향, 정향, 혜향, 해탈향, 해탈지견향,
광명운대 주변법계 공양시방 무량 불법승,
(헌향진언) 옴 바아라 도비야 훔(3번)
지심귀명례 삼계도사 사생자부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불타야중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달마야중
지심귀명례 대지문수 사리보살 대행보현보살 대비관세음보살 대원본존 지장보살 마하살
지심귀명례 영산당시 수불부촉 십대제자 십육성 오백성 독수성 내지 천이백제대아라한 무량자비성중
지심귀명례 서건동진 급아해동 역대전등 제대조사 천하종사 일체미진수 제대선지식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승가야중
유원 무진삼보 대자대비 수아정례 명훈가피력 원공법계 제중생 자타일시 성불도
⚆ 관음정근
나무 보문시현 원력홍심 대자대비 구고구난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멸업장진언 : 옴 아로 늑계 사바하(3번)
구족신통력 광수제방편 시방제국토 무찰불현신 고아일심 귀명정례 (탄백)
⚆ 지장보살정근
나무 남방화주 유명교주 대원본존 지장보살... 지장보살...
멸정업진언 : 옴 바아라 마니다니 사바하 (3번)
지장보살위신력 항하사겁설난진 견문첨례일념간 이익인천무량사 고아일심 귀명정례
⚆ 석가모니 정근
나무 삼계도사 사생자부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석가모니불...
(탄백)천상천하무여불 시방세계역무비 세간소유아진견 일체무유여불자 고아일심귀명정례
(참회게) : 원멸사생육도 법계유정 다겁생래죄업장 아금참회계수례 원제죄장실소제
세세상행보살도
(회향게) : 원이차공덕 보급어일체 아등여중생 당생극락국 동견무량수 개공성불도
⚆ 나무아미타불 정근
나무 서방대교주 무량수여래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아미타불 본심미묘진언 : 다냐타 옴 아리다라 사바하 (3번)
(탄백):계수서방안락찰 접인중생대도사 아금발원원왕생 유원자비애섭수 고아일심귀명정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