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춘천박물관 -2
강원도민의 오랜 열망 속에 건립되어 2002년 10월 30일 문을 연 국립춘천박물관은 구석기 시대부터 오늘날에 이르는 강원의 문화유산을 보존해 전시하고, 학술조사 연구와 문화 교육을 수행하는 강원 문화유산의 보고이자 국가의 중추 문화기반시설입니다.

2층에 올라와 보니 제 3전시실의 입구에 커다란 그림으로 강원의 명산, 불교와 왕실을 알리고 있습니다.

제 3전시실 내부의 모습으로 각종 석불과 석탑 등이 보입니다.

홍각선사지편으로 통일신라 헌강왕 때의 고승은 홍각선사의 행적을 기록한 비선의 일부 입니다.

조선시대 16세기의 종과 고려시대 13세기의 종 그리고 고려시대 1191년의 종 입니다.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초에 만든 전 원주에서 나온 광배 입니다.

승려가 수행할때 쓰는 도구인 금강저 입니다. 금강저는 부처님과 불법을 수호하는 제석천과 금강역사 등이 부처님을 호위할때 지니는 도구이기도 합니다.

승려의 지팡이 장식품인 용머리 모양 장식으로 고려시대 11~12세기 작품 입니다.

청동, 청동 촛대, 청동솟대 부속품, 접시, 잔과 토기 입니다.

1186년 무신년 3월에 수다사 강당 촛대로 무게는1근 6량이며 제자 안서가 발원하여 만든 청동촛대 부속구 입니다.

고려시대 14세기에 만든 보살상으로 강원도 희양군에서 출토되었습니다.

선림원지 납석제 소타으로 강원도 양양군 서면 선림원지에서 출토되었고 통일신라 때의 작품 입니다.

통일신라 8~9세기의 보살상인데 금칠이 많이 벗겨져 있습니다.

국보 124호인 한송사 석조조살좌상으로 강원도 강릉시 한송사지에서 나온 작품 입니다.

고려시대의 철조석가여래좌상으로 모양이 상당히 투박합니다.

고려시대의 철조약사여래좌상으로 머리와 몸통이 동떨어진 보입니다.

2003년 영월 창원리 창령사지에서 출토된 나한상 들로 오백 나한상의 일부였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석조비로자나불상 입니다.

왕녀 복란의 태실로 태를 담는 항아리와 태지석. 돌함(태항아리를 넣는 함) 입니다.

정순왕후의 도장과 단종의 도장 그리고 옥으로 만든 책 입니다.

작가 미상의 조선시대 곡운구곡도 모사본 입니다.

조선시대의 금강산민화병풍으로 금강산도는 조선 그림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로 유행하였는데 이 병풍은 그림이 서민화, 대중화 되었을 때 제작된 민화병풍으로 각 화면에 명승지의 이름이 적혀 있습니다.

다음은 강원의 인물과 생활을 소개한 제 4 전시실 입니다. 강원 지역 출신 또는 강원을 찾은 관리들의 업적이나 예술 작품을 비롯하여 강원 지역에 삶의 터전을 일구고 살아온 사람들의 삶과 정신을 살펴볼 수 있는 다양한 유물을 중심으로 강원 산하의 인물, 강원 사람들의 생활과 솜씨라는 주제별로 꾸며져 있습니다.

조선시대 심사임당이 그린 풀과 벌레 그림 병풍 입니다.

심사임당이 그린 "물가풍경", "꽃과 나비" 입니다.

미수 허목이 쓴 '척주동해비'의 탁본으로 삼척부사를 지냈던 미수 허목이 동해바다를 잠재우기 위해 동해를 찬양하는 내용을 적은 비석을 세웠는데, 그 비문을 탁본한 것 입니다.

조선시대 19세기에 구란 부채 그림으로 소남 이희수는 여러 서체에 이미 뛰어났다고 전하며 난과 대나무 그림을 잘 그렸다고 전한는데 선면산수는 옛 절터가 위치한 바닷가 풍경을 그린 것으로, 먹의 농담조절과 유려한 필세로 분위기 있는 정취를 담아내고 있습니다.

김우명 초상화로 검정색 관모에 오사모와 녹색 관복을 입고 두손을 가지런히 모아 공수 자세를 취한 전형적인 공신도상 형식 입니다.

왕이 김우명에서 시호(죽은 뒤에 내리는 이름)를 내린 문서인 교지 입니다.

조선시대에 만든 현종의 장인이자 숙종의 외할아버지엿떤 청풍부원군 김우명 상여 장식품 입니다.

상여장식품 중에 용머리를 새긴 판으로 용의 입에는 노란색의 물고기를 하나 물고 있습니다.

상여장식품 중에 신랑과 신부의 모습입니다.

조선시대의 동여도로 강원도 지역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강원도 사람들이 쓴 각종 진정서와 문서 입니다. 손도장 그림도 있고 각양각색의 모양입니다.

생활도자기로 항아리, 물병, 대접, 향, 식기 등이 있습니다.

나무로 만든 생활용품으로 촛대와 상, 화로, 다듬이돌, 함이 있습니다.

강원도민이 쓰던 생활용품을 정리한 전시물 입니다.

제 4 전시실 중앙에 있는 이층농과 찬탁, 나무독 입니다.

조선시대에 만든 관동지역 유람일기와 강릉 추월전, 조한림전 입니다.

강원도에서 한말 의병활도을 소개한 전시물로 화승총과 각종 편지 등이 있습니다.

마지막 전시물은 사진기의 발명와 함께 일제강점기에 제작, 판매된 사진 엽서 입니다.

자료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