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용두산공원 釜山 龍頭山公園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2가 1-2 부산시가의 한 가운데 위치하여 부산시민의 안식처이며, 부산 내·외 관광객이 제일 먼저 찾는 명소이다. 용두산은 광복 전에 일본인들이 용두산신사를 세웠고 그 뒤 산 일대에 공원을 조성하였다. 광복 후 신사는 철거되고 고목들은 불에 타 초라해졌다. 또 6·25전쟁 당시 피난민들이 판자촌을 형성하였으나 2차에 걸친 화재로 다 소실되어 민둥산이 되었다. 1955년 자유당시절에 이승만의 호를 따서 우남공원(雩南公園) 이라 개칭되어 공원이 다시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4·19의거 이후 다시 용두산공원 으로 불리게 되었고, 공원 내에는 대원군이 세운 척화비 ·이충무공동상· 충혼탑· 4·19의거기념탑· 부산탑 등이 세워졌다. 공원규모에 비하여 동상이나 비 같은 구조물이 많은데, 이는 부산의 지나간 역사의 흔적을 반영한 것이다 용두산 자리에는 조선시대 초량 왜관(倭館)이 위치해 있었으며, 용두산 아래 포구를 부산포 (釜山浦)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그 뒤 울창한 소나무 사이로 바다가 보였다 하여 송현산 (松峴山)이라고도 하였고, 산세가 흡사 용 모양이어서 일본 에서 침범해오는 왜구들을 삼켜 버릴 기상이라 하여 용두산 이라 부르게 되었다. 용두산공원에는 부산시가 전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높이 120m의 부산탑이 부산의 상징처럼 서 있다. 부산탑에서 내려다보는 부산시 가지와 영도와의 사이에 있는 부산항의 야경은 매우 아름답다. * 부산 3대 명산, 용두산 공원 * 구릉으로서 부산 3명산의 하나이다. 옛날에는 울창한 소나무 사이로 바다가 보였다 하여 송현산 (松峴山)이라 하였다가 그 후 산세가 흡사 용 모양이어서 일본에서 건너오는 왜구들을 삼켜 버릴 기상이라 하여 용두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8 ·15광복 전에는 일본인들이 신사 (神社)를 세웠던 산이며, 지금은 척화비· 충혼탑· 4 ·19의거 기념탑· 이충무공 동상 등이 있고, 부산탑이 세워졌다. 6·25전쟁 때는 피난민들이 산꼭 대기까지 판잣집을 지었는데 2차에 걸친 대화재로 민둥산이 되었으나, 그후 식림에 주력한 결과 지금은 아름다운 공원으로 가꾸어졌다. 자유당 때에 우남공원(雩南公園) 이라 하다가 4 ·19혁명 후에 다시 용두산공원으로 환원되었다. 부산항과 영도(影島)가 내려다 보이는 경승지이며, 특히 부산탑에서 내려다 보는 야경이 아름답다.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용두산공원과 부산타워 부산의 광복동은 서울의 명동과 비슷한 면이 많다. 유명 의류 브랜드 매장이 들어서 있는 것도 그렇고 근처에 큰 시장이 있는 것도 그렇다. 부산의 광복동 옆에는 국제시장이 있고 서울의 명동 옆에는 남대문시장이 있다. 또 한 가지 서울의 명동에서 고개를 들면 남산의 서울타워가 보이고 부산 광복동에는 용두산과 부산타워가 있다. 광복동에서 용두산으로 올라가는 길은 케이블카는 없지만 친절 하게도 에스컬레이터가 있으니 이용해보자. 끝이 보이지 않는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올라가면 야트막한 산 위에 우뚝 솟은 부산타워와 팔각정을 만난다. 용두산 공원 에서 영도대교 방향으로 롯데 몰이 보인다 용두산공원의 부지는 용두산의 정상부를 깍아 600여 평의 부지에 조성되었다. 용두산을 오르는 길은 4갈래의 길이 만들어 졌으며 근래에는 에스컬레이트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광안리 광안대교가 보이는 부산 최고의 맛 밀냉면 으로 점심 식사 부산을 상징하는 바다 모든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최고의 바닷가로 백사장 길이 1.4㎞ 총 면적 82㎢에 달한다. 광안리로 흘러드는 수영강의 수질 관리를 꾸준히 한 이후 바다의 수질도 함께 좋아져 부산 최고의 해수욕장이라는 명성을 되찾아가고 있다. 완만한 해안을 따라 조성된 테마거리는 바다를 바라보며 쉴 수 있는 휴식공간이 되어주며 야외 공연을 할 수 있는 무대도 있어 바다를 배경으로 각종 공연을 즐길 수 있다. 백사장 끝으로는 횟집과 레스토랑, 카페들이 다양한 모습으로 늘어서 있고 광안리 동쪽 끝에 자리 잡은 회 센터들은 24시간 불을 밝히고 손님을 맞는다. 수영구 남천동에서 시작해 해운대를 잇는 총연장 7.4㎞의 광안대교는 교량으로서의 역할뿐 아니라 부산을 상징하는 관광 명소로 사랑받고 있다. 차를 타고 해운대 쪽에서 광안리로 이어지는 다리 상부를 달리면 금련산 자락 끝에 가지런히 자리 잡은 광안리의 전경을 시원스레 감상할 수 있고 밤이 되면 최첨단 조명 장치가 갖춰진 광안대교가 밤바다 위에 멋진 그림을 그려내어 바다의 낭만을 느끼기 위해 찾아온 사람들은 그 자리에서 날을 지새기도 한다. 광안리 해수욕장廣安里海水浴場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해수욕장. 광안리 해수욕장은 조선 시대 동래군 남촌면 광안리에 속한 지역에 자리하고 있어 그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광안리 해수욕장은 본래 멸치 등 고기잡이를 하던 어촌이었다. 일제 강점기 여름 방학이 될 무렵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수영을 가르치고, 심신을 단련시키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면서부터 해수욕객이 모여 들기 시작하였다. 이후 점차 다른 지역에서도 피서객이 모여들어 물놀이를 즐기게 되었고, 1950년대 해수욕장으로 정식 개장하였다 해운대해수욕장Haeundae Beach, 海雲臺海水浴場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해변로 264 부산광역시 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하철과 시내버스를 이용할 수 있어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해발 634m의 장산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고, 남쪽으로는 수영만에서 송정 해수욕장에 이르는 12㎞의 해안선을 끼고 있다. 백사장의 면적은 58,400㎥, 길이는 1.5㎞, 폭은 30∼50m에 이르는 1965년에 개설한 국내 최대 해수욕장으로 수용능력이 12만 명에 달한다. 평균 수심 1m이며, 수온이 평균 22.6℃로 해수욕장 으로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인어의 동상은 시원한 해풍을 받으며 운치를 일으키고, 이곳에서 해운대 바닷가와 시가지를 굽어보는 경치는 가히 절경이며, 날씨가 좋으면 일본의 대마도까지 한눈에 볼 수 있어 대한팔경 중의 하나로 손꼽힌다. 동백섬 흔들 다리 부산 해운대 국제도시가 된 대한민국 대표 관광지 2000년 이후 부산 해운대는 국내 최대의 해수욕장으로만 불리지 않는다. 이제 해운대는 대한민국을 대표 하는 관광지일 뿐 아니라 국내 에서 가장 많은 국제회의, 전시회, 컨벤션 행사가 열리는 국제도시로 탈바꿈했다. 국내 최대의 전시· 컨벤션 도시인 것이다. 해운대 밤 k팦공연 청솔 ㅡ경운아 ㅡ임 경운 |
첫댓글 감사합니다
잘보고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