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1 매년 약사 수는 서울 지역으로 점점 모이고 있으며 이에 따른 지역 의료 불균형 문제가 심각하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시오.
우리나라는 서울민국, 서울공화국이라고도 불릴정도로 수도권 집중현상이 심합니다. 이는 지역의료 불균형 문제를 야기합니다. 수도권에 견줘 지방의 경쟁력이 현격히 떨어지는 상황에서 지역 인재의 수도권 유출추세를 반전시키기는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지역 거점이 일정수준의 경쟁력을 갖추도록 거점별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수도권 거주 인구와 기업의 지방 이전 촉진을 위한 혜택(인센티브) 를 강화하는등의 계획이 필요할것 같습니다. 인구감소가 현실화된 지역에서는 핵심기능을 거점지역에 효율적으로 집약시키는 압축도시화 전략을 질서있게 실천하고 저이용,노후 인프라 정비, 난개발 방지 등도 추진하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51-2 현재 미래 약사의 역할로 질병 치료에서 예방과 관리로 초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맞추어 약국 약사는 어떤 일을 할 수 있을지 말해보시오.
단골약국과 방문약료 서비스 제공 확대를 통해 나아가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는 의약분업 이후 지역약국의 역할과 입지가 처방조제업무를 중심으로 집중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및 만성질환 증가에 따라 약사의 역할이 의약품 사용에 관한 포괄적이 약료서비스 제공이나 질병예방, 충분한 건강상담으로 넓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방문약료서비스는 우선적으로 만성질환 자중 정기적으로 10개 이상의 약물을 복용하는 분을 대상으로 복약상담을 해드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보통 만성질환자들을 많은 약을 받게되는데 약국에서 동일한 약 성분에 대해서는 DUR서비스로 확인이 가능하지만 다양한 병원에서 처방받으신 모든 약을 약국 환꼉에서 모두 관리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직접 방문하여 먹는약을 확인해드리고 잘못된 복용방법을 알려드린 후 적절한 처방중재를 통해 버려지거나 중복되는 약에 대해 조정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이용한 주치약사역할 수행가능 : 사물인터넷과 같은 웨어러블기기 사용한 미래 약사 직능의 변화 , 웨어러블디바이스를 착용한 사람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빅데이터의 형태로 클라우드에 저장할 수 있으며,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다양한 개인 생체 정보를 수집 가능 → 질환의 진단과 예방, 관리 등 활용
환자의 복약이행도에 관련된 정보를 주간 혹은 월간 단위로 환자나 보호자 및 의료진에게도 전달 → 환자의 치료효과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보건의료서비스 : Deep Drug Drug Interaction (DeepDDI), Pillbox, 왓슨포온콜로지(Watson for Oncology) 가 그 예이다. 이들은 질병의 진단과 치료, 예방과 관리에 있어 서 제4차 산업혁명 기술사용이 가능할 것 이다.
단골약사 제도 : 의약품 사용에 관한 포괄적인 약료서비스 제공이나 질병예방, 건강상담에 대해서 충분한 시간을 갖도록 한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의료서비스 제공가능 (데이터를 통해 질병 예방 및 맞춤의료 가능)
51-3 약대를 졸업 한 후에도 많은 약사들이 병원이나 제약회사 보다는 일반 약국으로 진로를 선택하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이고 이와 관련된 문제점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말해보시오.
의견1. 최근 약대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약대생들의 가장 큰 고민으로 '졸업 후 진로' 가 1등을 차지한 만큼 약대생들의 졸업후 자신이 어디로 나아갈지 에 대해 고민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제약회사 업계에대해 잘 몰라서 일반약국으로 진로는 선택하는 경우도 많이 있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멘토링프로그램을 열어 진로탐색의 기회를 주면 좋을것 같습니다. 조금더 자세하게는 개국,병원,제약,행정,연구 등의 5가지 직능으로 나눠 각 분야에서 활동하고 계시는 동문 졸업생 선배의 실질적인 조언과 업계현황, 미래에 대한 이야기들을 들으면 약대생들이 진로선택에 조금더 다양해 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의견2. 현재 한국병원약사회에서 추진하는 전문약사 자격시험을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전문약사 자격시험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기간, 자격요건(병원근무등) , 자격시험 내용등의 구체화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