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두대간을 이어가는 頭陀山
(중앙산악회 2017년 제30회 댓재-박달령)
◑ 두타산은 중앙산악회가 2010년 4월 1일 백두대간 제49 회 차 댓재 ~ 박달령 산행 때 오른 산으로 그때 해외여행으로 불참하게 되어 언젠가는 한번 밟아 보고 싶은 미련이 남아 있었으나 기회를 잡지 못하고 있던 중 요행하게도 7년이 훌쩍 지나간 2017년 8월에 똑같은 산행 코스를 계획하고 실천을 하게 되어 감개가 무량하고 내심 야호 회장님을 비롯한 집행부에 고마움을 느끼며 밀려둔 숙제를 풀어보려는 심정으로 댓재마루에 내려서니 오늘도 산행에 참석한 산우님들의 숫자는 그때와 똑 같이 25명 이건만 면면은 그때 그 산우들과 많이 바뀌어 버리고 왕성했던? 기력 또한 미진하여 세월의 흐름을 몸과 마음으로 실감한다.
◆ 산행 개요
♣ 산행 일시 : 2017년 8월 3일 (목) 비
♣ 산행 지명 : 두타산(頭陀山 1,353m)
♣ 산행 위치 : 강원도 동해시 삼척시
♣ 산행 코스 : 댓재→ 두타산→ 박달령
→ 신선봉→무릉계곡→삼화사→ 무릉 계곡주차장
♣ 산행 거리 : 13.7km(8.7km)
♣ 산행 시간 : 약 6시간(11: 30-17:30)
♣ 참여 인원 : 25 명
♣ 산행 회비 : 55,000원/인(월회비 포함)
♣ 특기 사항 : 안개비와 시간에 쫓겨 무릉계곡 절경을 주마간산(走馬看山)으로 통과
◆ 산행 지도
◆ 산행 후기
▣ 2010년 4월 1일 백두대간 제 49회 차 댓재 ~ 박달령 산행 사진
▣ 2011년 2월 10일 일본 다이센 등반을 위한 "warming-up" 투타산행
▣ 2017년 8월 3일 중앙산악회 제30차 두타산 산행 사진
▶ 유난하게 가뭄과 장마 그리고 더위가 질서 없이 버무려진 계절이 변화를 부리는 삼복더위 속에 꼭 완주를 해야겠다는 의지를 불태우며 흐르는 땀을 훔치고 백두대간 8.7km를 포함한 총 13.7 km의 산행 길 들머리 댓재 표지석에 신고를 하고 서둘러 선두로 나선다.
▶ 웅장한 산세를 지닌 태백산맥의 중심 완만한 능선을 오르는 길은 이미 수만 명의 산꾼들이 백두대간 종주라는 명제를 안고 한걸음으로 달려 나간 자랑스러운 흔적이 점점이 박혀있고 등산로 양쪽 가장자리에는 수세기 동안 그 자리를 묵묵히 지키며 사연 많은 중생의 고달픈 행로를 겪려 하듯 아름드리 상수리나무가 두껍게 그늘을 내리고서 있으며 그 아래로 야생화 작은 꽃잎이 수줍게 고개를 내밀고 갈길 바쁜 산꾼의 발걸음을 붙잡고 있다.
▶ 한라산 대장의 편안한 능선길이란 산행 설명이 무색하게 멀고 긴 오르막길을 숨 가쁘게 달려 나가니 명성보다 더 요란한 표지석이 반기는데 "속세의 번뇌를 버리고 불도 수행을 닦는다"는 뜻이 담긴 대간길의 중요 길목 두타산 정상에 닿는다.
▣ 두타산(頭陀山:1,353m)
두타산은 강원도 동해시 삼화동과 삼척시 하장면·미로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태백산맥의 동단부에 위치하여 동서 간에 분수령을 이룬다. 부처가 누워있는 형상으로 속세의 번뇌를 떨치고 불도 수행을 닦는다는 뜻에서 이름이 유래 됐다고 하며. 박달령을 사이에 두고 청옥산과 마주하고 있다. 동해시의 북서쪽으로는 청옥산(靑玉山, 1,404m)·중봉산(中峯山, 1,259m) 등을 연결하는 험준한 준령을 이루며 동쪽으로는 동해를 굽어보고 있는 태백산맥이 이 산에 이르러 한 줄기는 북쪽으로 두타산성 줄기를 이루고, 두타산의 동북쪽에 있는 쉰움산은 50개의 돌우물이 있어 오십정산(五十井山)이라고 부르는데, 여기에는 산제당(山祭堂)이 있어 제사를 지내고 기우(祈雨)도 하였다. 두타산은 예로부터 삼척 지방의 영적인 모산(母山)으로 숭상되었고. 동해안 지방에서 볼 때 서쪽 먼 곳에 우뚝 솟아 있는 이 산이 정기를 발하여 주민들의 삶의 근원이 된다고 믿어졌다.
◑ 쉰움산(五十井山)
◑ 두타산성
산세가 웅장하고 계곡이 깊으며 삼림이 우거져 곳곳에 사찰·유적지·명승지가 산재하고 있다. 고려 충렬왕 때에 이승휴(李承休)는 정사(政事)를 간하다 파직당하자 이 산에서 은둔생활을 하였다. 산릉에는 험준한 지형을 이용해서 구축한 두타산성의 흔적이 남아 있다. 이 성은 102년(파사왕 23)에 축성하였고, 1414년(태종 14)에 수축하였다. 대궐터로 부르는 마당바위가 유적으로 남아 있어, 과거 이곳이 신라의 변방임을 말하여 준다. 산의 북동쪽에서 시작되는 무릉계곡은 깊고 그윽한 계곡미와 폭포·반석(盤石)이 어울려 일명 ‘소금강(小金剛)’이라 불리기도 한다.
◑ 배틀바위
무릉계는 무릉반(武陵盤)으로 불리는 거대한 반석이 있어 예로부터 많은 풍류객이 찾던 곳이며, 부근에는 삼화사(三和寺)가 있다. 1977년 국민관광지 제1호(강원도 고시 제77호)로 지정되었고, 2002년 산림청에서 선정한 한국의 100대 명산으로 지정되었다. 2008년 2월 5일에 호암소에서 용추폭포가 있는 곳까지 약 4㎞에 달하는 ‘동해무릉계곡’ 은 명승 제37호로 지정되었다. 동해무릉계곡에는 봉래 양사언의 석각과 매월당 김시습을 비롯한 수많은 시인 묵객들의 시가 새겨져 있다.
▶ 두타산 정상에서 오랜 시간 만나지 못하였던 연인과의 짧은 해후를 다독이듯 아쉬움을 남겨두고 정해진 하산 시간의 여유를 좁혀가며 박달령으로 걸음을 재촉한다.
▶ 박달도령과 금봉 낭자의 애절한 사랑이야기가 전설로 전해져 내려오는 제천의 박달재와 같은 이름의 두타산과 청옥산 능선 중간에서 무릉계곡으로 내려가는 박달령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고 장마 뒤끝 묽은 지표면에 경사가 심한 자갈길을 하산하는 고역을 치르며 무릉계곡으로 내려섰으나 안개비 속에 모습을 드러내 놓지 않는 천기를 원망하면서 시간 맞춰 무릉계곡 주차장에 당도하여 미진하였던 대간길을 연결해 주는 뜻깊은 산행을 마쳤다.
▣ 무릉계곡(武陵溪谷)
◑ 무릉반석
무릉계곡은 강원도 동해시에 있는 두타산(1,353m)과 청옥산(1,256m), 고적대(1,354m)에서 발원한 계류가 흐르는 골짜기로 호암소에서 용추폭포까지 약 4㎞의 계곡을 말한다. 산수의 풍치가 절경을 이루어 소금강이라고도 불리며, 1977년 3월 17일 국민관광지 제1호로 지정되었다. 고려 충렬왕 때 이승휴(李承休) 또는 조선 선조 때 삼척부사 김효원(金孝元)이 무릉계곡이라는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신선이 사는 곳처럼 아름답다고 하여 '무릉도원'으로 불린다.
◑ 무릉계곡의 가을
무릉계곡은 1,500여 평의 무릉반석을 중심으로 두타산성, 삼화사(三和寺) 등의 유적이 있다. 삼화사는 지장사, 천은사, 영은사 등과 함께 영동 남부지방의 중심 사찰로서 선종의 종풍을 가진 유서 깊은 사찰이다. 삼화사에는 보물 제1277호인 삼화사 삼층석탑과 보물 제1292호인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좌상이 있다. 계곡을 따라 올라가면 서쪽으로 금란정(金蘭亭)이 있다.
◑ 삼화사 삼층석탑(보물제1277호)
무릉계곡은 수백 명이 앉을 만한 무릉반석을 시작으로 두드러진 계곡미를 자랑하며 학소대, 옥류동, 선녀탕 등을 지나 쌍폭과 용추폭포에 이르면 아름다움의 절정에 오른다. 쌍폭은 각각 20여 m의거대한 물줄기가 좌우에서 굉음을 토하며 쏟아져 내려 장관이다. 왼쪽 반달 계곡에서 떨어지는 3단 폭포와 오른쪽 용추폭포는 전국에서 몇 손가락 안에 드는 멋진 폭포다. 3단의 폭포와 담(潭)이 연이어 매끈한 암벽을 타고 떨어져 내리는 자태가 신비스럽다. 항아리 모양의 못인 상담과 중담을 거친 물줄기가 시원스럽게 하담으로 미끄러져 내린다.
◑ 무릉계곡 용추폭포
▣ 산행의 의미
“산짐승 윤 씨 가족의 일상” 에서
산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세상 모든 현상에 이유가 있듯이 산행에는 그 무언가가 있다.
이‘무상의 행위’에는 자기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를 주고, 무언가 해냈다는 성취감이
등산의 전 과정에 파고들고 있다.
그래서 CEO들 중에는 등산에서 체득한 삶의 지혜를 경영 노하우에 접목한 사람들이 많다.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이 있고,
계곡이 깊으면 꼭대기가 높은 법이다.
산행과 삶이 무엇이 다를 수 있나.
숨겨져 있는 이치는 같다.
등산의 기본은 걷는 것이다.
등산은 균형과 조화다.
부지런히 왼발과 오른발을 번갈아 같이 움직여야 어떤 목표 지점에 오를 수 있다.
그러나 그 과정에 오른발이 더 건강하다고 해서 오른발만 두 번씩 움직이는 걸음걸이로
산에 오를 수 있을까.
이처럼 모든 일에는 한걸음 한걸음이 필요한 법이다.
인생이란 참으로 외롭고도 긴 여정이다.
그 공간을 채우는 지혜가 필요한데 산은 그 역할을 한다.
많은 덕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솔직하고 진실하고 산은 말이 없다.
항상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산은 의구(依舊)하되 늘 새롭다.
사계에 따라 끊임없이 자기를 변화시키며 새로운 자태를 선보이고,
그렇게 천 년 만년 후의 모습을 만들어 나간다.
산에는 무엇이 있는가.
산에는 젊게 사는 원천이 있다.
그리고 아름다운 자연을 벗 하므로 긍정적인 사고로 정화되고 위기관리
능력을 키울 수 있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을 "김영도"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산에는 물이 흐르고 돌이 구른다.
새가 날고 꽃이 핀다.
산에는 바람이 불며 나뭇잎이 떨어진다.
겨울이 되면 눈이 오고 얼음이 언다.
그때 산은 죽은 듯이 고요하다.
그러나 무음의 세계가 아니며 잠시 침묵할 따름이다.
◆ 산행 사진
◑ 2010년 4월 1일 백두대간 제49회 차 산행산행
◑ 2017년 8월 3일 중앙산악회 제30차 두타산 산행
※ 해설 및 사진은http:daum.net, cafe.daum.net/jungang4050에서 퍼옴
댓글
후미 안일희
17.08.16 19:53
중앙에서 백두대간을 달리던 세월이 벌써 7년이 지났군요~
지리산 웅석봉에서 대간종주를 시작하였으나 개인 여건 때문에 중도에 종주를 포기하게 되어 무척이나 아쉬워했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죽현님의 연륜이 느껴지는 산행기 잘 보았습니다.
항상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