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 금궤([金匱])의 맥진(脈)하는 법(法)
"촌구맥(寸口脈)이 침대(沈大)하면서 활(滑)하면, 침(沈)은 실(實)이고 활(滑)은 기(氣)이다.
실(實)과 기(氣)가 상박(相搏)하여 기혈(氣血)이 장(臟)에 들어가면(:入) 바로 죽고, 부(腑)에 들어가면(:入) 바로 낫는다.
이를 졸궐(卒厥)이라 말하는데, 무엇을 말하는가?"
"순구(脣口)가 청(靑)하고 신(身)이 냉(冷)할 때 장(臟)으로 들어가면(:入) 바로 죽고, 신(身)이 화(和)하고 한(汗)이 저절로 나올(:出) 때 부(腑)로 들어가면(:入) 바로 낫는다."
"(졸궐에서) 맥(脈)이 탈(脫)하여 장(臟)으로 들어가면(:入) 바로 죽고, 부(腑)로 들어가면(:入) 바로 낫는다는데, 무엇을 말하는가?"
"(맥탈의) 일병(一病)만 그런 것이 아니라 백병(百病)이 모두 그러하다.
침음창(浸淫瘡)으로 비유(譬)하자면 구(口)에서 일어나 사지(四肢)를 향(向)해 흐르면 치(治)할 수 있고, 사지(四肢)에서 흘러 구(口)로 들어가면 치(治)할 수 없다.
병(病)이 외(外)에 있으면 치(治)할 수 있고, 리(裏)로 들어가면 바로 죽는다.
오사(五邪)가 사람을 중(中: 침범)할 때는 각각 법도(法度)가 있다.
풍(風)은 오전(:前)에 중(中)하고 한(寒)은 저녁(:暮)에 중(中)한다.
습(濕)은 하(下)를 상(傷)하고 무(霧)는 상(上)을 상(傷)한다.
풍(風)은 맥(脈)을 부(浮)하게 하고 한(寒)은 맥(脈)을 급(急)하게 한다.
무(霧)는 피주(皮腠)를 상(傷)하고, 습(濕)은 관절(關節)로 흐르며, 식(食)은 비위(脾胃)를 상(傷)한다.
극한(極寒)은 경(經)을 상(傷)하고, 극열(極熱)은 락(絡)을 상(傷)한다.
남자(男子)의 평인(平人)의 맥(脈)이 대(大)하면 노(勞)이고, 극허(極虛)하여도 노(勞)이다.
남자(男子)의 맥(脈)이 부약(浮弱)하면서 삽(澁)하면 무자(無子)이니, 정기(精氣)가 청냉(淸冷)하기 때문이다.
맥(脈)이 규동(芤動) 미긴(微緊)하면 남자(男子)는 실정(失精)이고, 여자(女子)는 몽교(夢交)이다.
남자(男子)의 평인(平人)의 맥(脈)이 허약(虛弱) 세미(細微)하면 잘 도한(盜汗)한다.
맥(脈)이 침(沈)하면서 소지(小遲)하면 탈기(脫氣)라 명(名)하니, 그 사람이 빠르게(:疾) 행(行)하면 천갈(喘喝)하고, 수족(手足)이 역한(逆寒)하며 복(腹)이 만(滿)하고, 심(甚)하면 당설(溏泄)하여 음식이 소화(消化)되지 않는다.
맥(脈)이 현(弦)하면서 대(大)한 경우, 현(弦)하지만 (누르면) 감(減)하게 되고 대(大)하지만 (누르면) 규(芤)하게 되는 경우이니, 감(減)한다는 것은 한(寒)이고 규(芤)한다는 것은 허(虛)이다. 허(虛)와 한(寒)이 상박(相搏)하면 이를 혁(革)이라 명(名)한다. 부인(婦人)은 반산(半産) 누하(漏下)하고, 남자(男子)는 망혈(亡血) 실정(失精)한다."
첫댓글 금궤요략의 맥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