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온(五蘊)은 공한 것 ‘조견 오온개공’
조견 오온개공 照見 五蘊皆空
“오온이 모두 공한 것으로 비추어 본다.”
《반야심경》
이 경구는 《반야심경》의 핵심을 여실히 드러내는 부분이다. ‘조견(照見)’은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비추어 보는 것을 의미한다. ‘조견’은 고정관념, 편견, 선입견이나 어떤 상(相)을 짓지 않고 바라보는 것이다.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중도(中道)의 관찰로 풀이된다.
'오온(五蘊)'은 범어로 판챠 스칸다(Panca Skandha)로 '다섯 가지 쌓임'이란 뜻이다. ‘온'은 화합하여 모인 것, 쌓임을 뜻한다. '오온'은 곧 인간을 구성하는 5가지 구성 요소를 일컫는 말로 물질적인 색온(色蘊)과 정신적 작용인 수온(受蘊), 상온(想蘊), 행온(行蘊), 식온(識蘊)으로 구분하고 있다.
’색온‘은 모든 물질 또는 인간의 육신에 해당되는 부분이고, 나머지 네 가지는 인간의 정식적인 면에 해당된다. ‘물질의 특성은 언젠가는 없어져 버릴 것이며, 인간의 육신 또한 지(地) 수(水) 화(火) 풍(風)의 사대(四大)로 흩어져 사라질 것이다.
‘수온’은 고(苦), 락(樂), 불고불락(不苦不樂)을 느끼는 감수(感受)작용이다. ‘상온’은 대상에 대하여 식별하고, 그 대상들에 이름을 부여하는 표상(表象)작용이다. ‘행온’은 인연에 따른 행위로 인해 업을 짓게 되는 생성결합작용이다. ‘식온’은 모든 의식을 통합하고 판단하는 분별(分別)작용이다.
'오온'의 존재 양상은 바로 '개공(皆空)'으로 보는 것이다. '개공'은 모두 텅 비었다, 실체가 없다는 뜻이다. 오온이 공하다는 것은 색·수·상·행·식이 모두 공하다는 것이다. '조견 오온개공'은 몸과 마음이 모두 텅 빈 것으로 비춰본다는 것이다. 존재의 텅 빈 것으로 바로 아는 일이 곧 '반야 지혜'이다.
현상적으로는 ‘나’라고 하는 존재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실상은 자아(自我)가 없다는 것, 무아(無我)를 의미한다. 존재의 실체를 텅 빈 것으로 바로 아는 일이 곧 ‘반야’이다. 근본이 텅 빈 것이라고 해서 허무하거나 무상한 것이 아니다. 텅 비었다는 것은 무한히 변화,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을 동시에 의미하고 있다.
[출처] 오온은 공한 것 ‘조견 오온개공’|작성자 일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