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1
9. Galatians [gəléiʃənz, -ʃiənz 걸레이션즈/걸레이쉬언즈] : 갈라디아서
* sources : “Good News Translation English Bible Overview” (GNT영어성경 개요)
(Korean Translation : Lee Chang-bok)
1) Galatians Introduction (GNT Bible) : 갈라디아서 소개
As the good news about Jesus began to be preached and welcomed among people who were not Jews, the question arose as to whether a person must obey the Law of Moses in order to be a true Christian. Paul had argued that this was not necessary—that in fact, the only sound basis for life in Christ was faith, by which all are put right with God. But among the churches of Galatia, a Roman province in Asia Minor, there had come people who opposed Paul and claimed that one must also observe the Law of Moses in order to be right with God.
예수에 관한 복음이 비유대인들 사이에서 전파되고 환영받기 시작하면서 참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해서는 모세의 율법에 순종해야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겼습니다. 바울은 이것이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사실, 바울은 그리스도 안에서의 삶의 유일한 근거는 믿음이며, 믿음에 의해 모든 사람이 하나님과 함께 의롭게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소아시아의 로마 갈라디아 지방에 있는 교회들 사이에서는 바울에 맞서 하나님과 함께 의롭게 되기 위해서는 모세의 율법도 지켜야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Paul's Letter to the Galatians was written in order to bring back to true faith and practice those people who were being misled by this false teaching. Paul begins by defending his right to be called an apostle of Jesus Christ. He insists that his call to be an apostle came from God, not from any human authority, and that his mission was especially to the non-Jews. Then he develops the argument that it is by faith alone that people are put right with God. In the concluding chapters Paul shows that Christian conduct flows naturally from the love that results from faith in Christ.
갈라디아서는 이 거짓 가르침에 속아 넘어가는 사람들을 참된 믿음으로 되돌아가도록 훈련시키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바울은 자신이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라고 불릴 권리가 있다는 말로 편지를 시작합니다. 그는 자신이 사도가 되라는 소명을 인간으로 부터가 아니라 하나님에게서 받았으며, 그의 사명은 특히 비 유대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런 다음 그는 사람들이 하나님과 함께 의롭게 되는 것은 오로지 믿음으로만 가능하다는 주장을 전개합니다. 마지막 장에서 바울은 그리스도인의 행실이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에서 비롯된 사랑에서 자연스럽게 흘러나옴을 밝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2) Outline of Contents : 내용 개요
Introduction (1.1-10) : 소개 (1.1-10)
Paul's authority as an apostle (1.11—2.21) : 사도로서의 바울의 권위 (1.11—2.21)
The gospel of God's grace (3.1—4.31) :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 (3.1-4.31)
Christian freedom and responsibility (5.1—6.10) : 기독교인의 자유와 책임 (5.1 ~ 6.10)
Conclusion (6.11-18) : 결론 (6.11-18)
*** 요약 2
Summary
Summary of the Book of Galatians
This summary of the book of Galatians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title, author(s), date of writing, chronology, theme, theology, outline, a brief overview, and the chapters of the Book of Galatians.
요약
갈라디아서 요약
이 갈라디아서 요약은 갈라디아서의 제목, 저자, 저술 날짜, 연대기, 주제, 신학, 개요, 간략한 개요 및 각 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Author
The opening verse identifies the author of Galatians as the apostle Paul. Apart from a few 19th-century interpreters, no one has seriously questioned his authorship.
저자
첫 구절은 갈라디아서의 저자가 사도 바울임을 밝히고 있습니다. 소수의 19세기 통역사를 제외하고 아무도 그의 저자에 대해 심각하게 의문을 제기하지 않았습니다.
Date and Destination
The date of Galatians depends to a great extent on the destination of the letter. There are two main views:
연대 및 목적지
갈라디아서의 날짜는 편지의 목적지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두 가지 주요 견해가 있습니다.
Occasion and Purpose
Judaizers were Jewish Christians who believed, among other things, that a number of the ceremonial practices of the OT were still binding on the NT church. Following Paul's successful campaign in Galatia, they insisted that Gentile converts to Christianity abide by certain OT rites, especially circumcision. They may have been motivated by a desire to avoid the persecution of Zealot Jews who objected to their fraternizing with Gentiles (see 6:12). The Judaizers argued that Paul was not an authentic apostle and that out of a desire to make the message more appealing to Gentiles he had removed from the gospel certain legal requirements.
계기 및 목적
유대주의자들이란 구약의 의식 관행 중 일부가 여전히 신약 교회에 구속력이 있다고 믿었던 유대인 기독교인들이었습니다. 바울이 갈라디아에서 성공적인 선교활동을 벌인 후 유대주의들은 기독교로 개종한 이방인들이 특정 구약 의식, 특히 할례를 준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들은 이방인들과 교제하는 것을 반대하는 열심당원 유대인들의 박해를 피하려는 열망에서 동기를 부여받았을 수 있습니다(참조 6:12). 유대주의자들은 바울이 진정한 사도가 아니며 메시지가 이방인들에게 더 호소력 있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복음에서 특정 법적 요구 사항을 제거했다고 주장했습니다.
*** judaizer
유대주의자(Judaizers)란 모세의 율법과 같은 유대주의 관습과 의식들을 받아들인 기독교인들
[출처] Galatians 4:17~18 갈.Paul appeals: “Beware of the affection the legalists show you.”|작성자 kanfud
Paul responded by clearly establishing his apostolic authority and thereby substantiating the gospel he preached. By introducing additional requirements for justification (e.g., works of the law) his adversaries had perverted the gospel of grace and, unless prevented, would bring Paul's converts into the bondage of legalism. It is by grace through faith alone that people are justified, and it is by faith alone that they are to live out their new life in the freedom of the Spirit.
바울은 자신의 사도적 권위를 명확히 확립하여 자신이 전파한 복음을 실체화함으로써 대응(대처)했습니다. 칭의를 위한 추가 요구 사항(예: 율법의 행위)을 도입함으로써 그의 대적들은 은혜의 복음을 왜곡했으며, 방해받지 않는 한 바울의 개종자들을 율법주의의 속박으로 이끌 것입니다. 사람들이 의롭게 되는 것은 오직 믿음을 통한 은혜에 의해서이며, 그들이 성령의 자유 안에서 그들의 새 삶을 살아가는 것도 오직 믿음에 의해서입니다.
Theological Teaching
Galatians stands as an eloquent and vigorous apologetic for the essential NT truth that people are justified by faith in Jesus Christ -- by nothing less and nothing more -- and that they are sanctified not by legalistic works but by the obedience that comes from faith in God's work for them, in them and through them by the grace and power of Christ and the Holy Spirit. It was the rediscovery of the basic message of Galatians (and Romans) that brought about the Protestant Reformation. Galatians is often referred to as "Luther's book," because Martin Luther relied so strongly on this letter in all his preaching, teaching and writing against the prevailing theology of his day. It is also referred to as the "Magna Carta of Christian Liberty." A key verse is 2:16 (see note there).
신학 교육
갈라디아서는 사람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고 율법적인 행위가 아니라 그리스도와 성령의 은혜와 능력으로 그들을 위한, 그들 안에서, 그리고 그들을 통한 하나님의 사역을 믿는 믿음에서 오는 순종으로 거룩하게 된다는 신약의 본질적인 진리를 설득력 있고 힘차게 변증합니다. 개신교 개혁을 가져온 것은 갈라디아서(그리고 로마서)의 기본 메시지를 재발견한 것입니다. 갈라디아서는 종종 "루터의 책"으로 언급되는데, 그 이유는 마르틴 루터가 그의 모든 설교, 가르침 및 저술에서 당시의 지배적인 신학에 반대하여 이 편지에 매우 강하게 의존했기 때문입니다. 갈라디아서는 "기독교 자유의 대헌장"이라고도 합니다. 핵심 구절은 2:16입니다(주해 참조).
Out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