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혈모세포란?
조혈모세포는 모든 혈액세포를 만들어내는 능력을 가진 원조가 되는 어머니 세포를
말하며 혈액을 구성하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분화됩니다.
백혈병과 같은 혈액암 환자들은 조혈모세포가 건강한 혈액세포를 만들어 내지 못해 생명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타인의 건강한 조혈모세포를 이식받아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혈액세포를 만들어 냄으로써 생명을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조혈모세포 이식은 환자와 기증자의 조직적합성 항원형(HLA type)이 일치하여야 하는데, 환자와 기증자간 HLA형이
일치할 확률은 부모와 자식간 5% 이내, 형제자매간 25% 이내, 타인 간 일치할 확률은 수천에서 수 만명 중 1명에
불과할 정도로 확률이 매우 낮습니다. 따라서, 조혈모세포 기증희망자 등록은 가능한 한 많은 사람이 등록하여야
환자가 이식받을 확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 가까운 헌혈장소를 방문하여 상담 후 '조혈모세포 기증희망자 등록 신청서'를 작성한 후 조직적합성항원형 검사를
위한 혈액검체 약 5ml를 채혈하면 됩니다.
· 18세 이상 40세 미만의 건강한 분으로 다음의 질병이 없어야 합니다.
· HIV 감염 또는 에이즈(AIDS)
· 조절이 안 되거나 입원이 필요한 정도의 중증의 천식
· 각종 악성종양
· 투약이 필요한 당뇨병
· 지난 1년 안에 2회 이상의 발작 경험이 있는 간질
· 심장발작(heart attack), 심혈관 우회로 수술, 기타 심장병
· 간 질환, 간염, 성병, 결핵
· 빈혈, 고혈압, 저혈압
· 정신질환, 지적장애인
- 다만, 정신과전문의가 본인 동의능력을 갖춘 것으로 인정하는 사람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 저체중(남:50kg 미만, 여: 45kg 미만)
- 1, 2, 3, 4, 6, 8, 9번 항목은 현재질병이 없고 과거 어느시점에서도 기왕력이 없어야 하며,
- 5, 7번 항목은 현재질병이 없고 과거 1년간 기왕력이 없어야 함
· 등록 신청 시 신분증을 지참하여 헌혈장소를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 타 등록기관(한국조혈모세포은행협회, 가톨릭조혈모세포은행, 한마음한몸운동본부, 생명나눔실천본부)에서
이미 등록하신 경우 이중등록이 불가합니다.
· 등록 신청 후 장기조직혈액통합관리시스템 전산등록 및 등록증 발급까지는 다소 시일이 소요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주소, 연락처 등 정보변경 신청 및 기타 문의는 혈액관리본부 품질보증팀(080-722-7575/수신자부담)으로 부탁드립니다.
Q HLA란 무엇이며, 조혈모세포 기증과 어떤 관련이 있나요?
A HLA(조직적합성항원, Human Leukocyte Antigen)는 수백 가지에 이르는 다양한 백혈구 항원을 의미합니다.
항원에 따라서 면역학적인 부작용이 나타나기 때문에, 조혈모세포 이식을 위해서는 HLA가 일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HLA가 일치할 확률은 부모자식 간 5% 이내, 형제자매 간 25% 이내, 타인 간 수만 분의 1명에 불과하여,
기증희망 등록 후 HLA가 일치하는 경우는 개인에 따라 몇 개월에서 수 년, 혹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Q 기증방법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A 의료기관에서는 ‘말초혈 조혈모세포 기증’ 또는 ‘골수 기증’으로 요청을 하게 됩니다.
이때 조직적합성항원(HLA)형이 일치하는 기증자가 의료기관에서 요청한 방법에 동의하면
그대로 기증이 진행되지만 다른 방법으로 기증하기를 원한다면 조정기관에서 의료기관과 협의하여
기증방법을 결정하게 됩니다. 2022년 기준 최근 몇 년 이내 이루어진 기증은 대부분 ‘말초혈 조혈모세포 기증’으로
진행되어 왔습니다.
Q 조혈모세포 등록 후 기증은 몇 세까지 할 수 있나요?
A 기증자와 환자의 안전을 위하여 기증이 가증한 나이는 55세 미만까지입니다.
*기증희망등록자의 나이가 55세가 되면 전산에서 자동 삭제처리가 되며 개인정보는 폐기됩니다.
Q 기증시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A 기증을 위해서는 3~4일 정도의 입원이 필요하며, 기증시간은 개인차가 있으나 약 4~5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Q 기증 후 회복기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A 조혈모세포 기증 시 퇴원 후 바로 일상생활이 가능하며 조혈모세포는 기증 후 2~3주 이내 회복됩니다.
Q 조혈모세포 기증 후 얼마가 지나야 헌혈에 참여할 수 있나요?
A 말초혈 조혈모세포 기증 후 14일이 경과하거나 골수 기증을 하고 회복 후 8주가 경과하면 헌혈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단, 기증 시 자가 수혈이 아닌 타인의 혈액을 수혈 받은 경우 1년이 경과해야
헌혈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Q 조혈모세포 기증 시 통증이나 후유증은 없나요?
A 말초혈 조혈모세포 기증 시 과립구집락촉진인자 투여에 의해 감기와 같은 증상(미열, 두통, 골격통 등)을
느낄 수 있으나 곧 회복되며, 골수기증 시에는 전신마취 후 시행되기 때문에 실제 기증자가 느끼는 고통은
거의 없습니다. 조혈모세포를 채취한 부위에 출혈, 감염, 마취에 따른 부작용이 있을 수 있지만 이는
매우 드문 경우이며, 마취가 깨어나면서 채취 부위(골반)에 약간의 통증과 뻐근한 느낌이 올 수 있으나
이는 곧 회복됩니다.
Q 기증 시 휴가 처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제32조제3항(장기등기증자 등에 대한 지원 등)에 의거하여 장기 등을 기증하기
위한 신체검사 또는 적출 등에 필요한 입원기간에 대하여는 공무원인 근로자의 소속 기관의 장은 그 기간을
병가로 처리하고, 공무원 외의 근로자의 사용자는 그 기간을 유급휴가로 처리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Q 기증희망 등록 후 주소나 연락처가 변경되었을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개인정보가 변경된 경우 혈액관리본부 품질보증팀(080-722-7575/수신자부담)으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HLA가 일치하는 환자가 나타났음에도 기증희망자와 연락이 이루어지지 않아 환자가 이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개인정보를 꼭 변경해 주시기 바랍니다.
Q 헌혈 시 개인정보를 변경하면 조혈모세포 기증희망 등록정보도 함께 변경 되나요?
A 헌혈 시 주소나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를 변경하셔도 조혈모세포 기증희망 시 입력된 정보는 변경되지 않습니다.
불편하시더라도 혈액관리본부 품질보증팀(080-722-7575/수신자부담)을 통해 정보변경을 요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