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기흰점쏠배감펭 : Pterois russelli Bennett – 루셀솔배감펭
► 외국명 : (영) Plaintail turkeyfish, Russell's lionfish
► 형 태 : 크기는 전장 30㎝ 정도이다. 체고는 높고 몸은 약간 측편되어 있다. 지느러미는 잘 발달되어 있으며, 특히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가 길게 뻗어있다. 등지느러미는 제3극부터 길어지며 제7극이 가장 길고, 가슴지느러미는 제2연조가 뒷지느러미 기저의 끝을 훨씬 지난다. 등지느러미 가시 사이막은 기저 근방에 약간 나타나는 정도이다. 두 눈 사이에 1쌍의 가시가 있고 그 뒤쪽으로 3쌍의 가시가 있다. 머리에는 안하골에 2개, 전새개골의 뒤쪽 가장자리에 3개, 주새개골의 위에 1개의 강한 가시가 있다. 안전골 아래에 눈지름만한 2개의 돌기가 있다. 몸은 작은 빗비늘로 덮여 있으며 머리는 주둥이만 노출되어 있다. 양 턱에는 작은 융털 모양의 이빨이 줄지어 분포한다. 주둥이에는 2쌍의 비공이 있고 전비공에는 작은 돌기가 있다. 몸은 전체적으로 오렌지빛을 띠며, 머리와 몸에는 수십개의 짙은 적색 가로무늬가 일직선으로 뻗어있다. 지느러미는 오렌지색을 띠며 배지느러미는 오렌지색 바탕에 수 십 개의 작은 백색 무늬가 선명하게 나타난다.
크기는 전장 30㎝ 정도이다. 몸의 체고는 높고 타원형이며 약간 측편되어 있다. 눈은 적당한 크기로 머리 등쪽 가장자리에 접해 있다. 입은 크며, 위턱의 뒤 끝이 눈의 앞가장자리에 달한다. 지느러미는 잘 발달되어 있으며, 특히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가 길게 뻗어 있다. 가슴지느러미 기조들은 모두 불분지 기조이며 위쪽의 기조들은 지느러미 막이 기부 가까이 까지만 있고 나머지 기조들의 막은 기조의 끝까지 붙어 있다. 등지느러미는 3번째 극조부터 길어지며 7번째 극조가 가장 길며 그 길이는 체고의 높이와 비슷하다. 가슴지느러미는 2번째 연조가 뒷지느러미 기저의 끝부분을 훨씬 지난다. 등지느러미 가시부의 사이막은 기저 근방에만 약간 붙어있는 정도이다. 배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기저의 아래쪽 끝 아래의 약간 뒤쪽에서 시작되어 뒷지느러미의 기부에 달한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연조부와 꼬리지느러미의 뒤쪽 가장자리는 둥글다. 두 눈 사이에 1쌍의 가시가 있고, 그 뒤쪽으로 3쌍의 가시가 있다. 머리에는 안하골에 2개, 전새개골의 뒤쪽 가장자리에 3개, 주새개골의 위에 1개의 강한 가시가 있다. 안전골의 아래에 눈지름만한 2개의 돌기가 있다. 몸은 작은 빗비늘로 덮여 있으며, 머리의 주둥이만 비늘이 없다. 양턱에는 작은 융털 모양의 이빨이 줄지어 분포한다. 주둥이에는 2쌍의 비공이 있고, 전비공에는 작은 돌기가 있다. 머리와 몸에 다수(약 12개)의 적갈색 수직 띠 무늬가 있고 그 너비들은 제각각이며 적갈색 띠들의 사이에는 좁은 하얀색 띠가 있다. 가슴지느러미는 대개 황갈색을 띠며 뚜렷한 줄 무늬는 없고 줄기 마다 여러 개의 검은 점들이 일정 간격으로 있다.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 막 내측 표면에는 수많은 작은 백색 점들이 있다.
► 설 명 : 저서형으로 수심 15~60m 정도되는 외해 암초와 얕은 수심 기수역의 모래 진흙 바닥에서 생활한다. 내만이나 연안에서도 발견된다. 단독 생활형이다. 작은 물고기와 게, 새우를 잡아먹는다. 야행성으로 낮에는 틈 속이나 암초지대의 처마 밑 그늘에서 쉬고 있다. 일반적으로 트롤어업에 의해 어획된다. 솔배감펭과 마찬가지로 가시에는 독이 있다. 드물지만 수족관이나 아쿠아리움에서 전시된다.
► 분 포 : 한국(남해안, 제주도), 일본(중부 이남), 대만, 필리핀,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호주, 인도, 아프리카 동부연안 등 인도양~서부태평양 연안에 널리 분포한다.
► 비 고 : 쏠배감펭속 어류는 일반적으로 길게 연장된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를 가지며 화려한 체색을 나타낸다. 본종의 배지느러미에 나타나는 선명한 백색 무늬가 본종의 식별 형질로 간주된다. 같은 속의 다른 종과 다른 점은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그리고 꼬리지느러미에 점 무늬가 없고 등지느러미의 가시가 상대적으로 짧은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