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터에 가져간 언약궤 4:1~4
1 사무엘의 말이 온 이스라엘에 전파되니라 이스라엘은 나가서 블레셋 사람들과 싸우려고 에벤에셀 곁에 진 치고 블레셋 사람들은 아벡에 진 쳤더니
2 블레셋 사람들이 이스라엘에 대하여 전열을 벌이니라 그 둘이 싸우다가 이스라엘이 블레셋 사람들 앞에서 패하여 그들에게 전쟁에서 죽임을 당한 군사가 사천 명가량이라
3 백성이 진영으로 돌아오매 이스라엘 장로들이 이르되 여호와께서 어찌하여 우리에게 오늘 블레셋 사람들 앞에 패하게 하셨는고 여호와의 언약궤를 실로에서 우리에게로 가져다가 우리 중에 있게 하여 그것으로 우리를 우리 원수들의 손에서 구원하게 하자 하니
4 이에 백성이 실로에 사람을 보내어 그룹 사이에 계신 만군의 여호와의 언약궤를 거기서 가져왔고 엘리의 두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는 하나님의 언약궤와 함께 거기에 있었더라
언약궤를 빼앗김 4:5~11
5 여호와의 언약궤가 진영에 들어올 때에 온 이스라엘이 큰 소리로 외치매 땅이 울린지라
6 블레셋 사람이 그 외치는 소리를 듣고 이르되 히브리 진영에서 큰 소리로 외침은 어찌 됨이냐 하다가 여호와의 궤가 진영에 들어온 줄을 깨달은지라
7 블레셋 사람이 두려워하여 이르되 신이 진영에 이르렀도다 하고 또 이르되 우리에게 화로다 전날에는 이런 일이 없었도다
8 우리에게 화로다 누가 우리를 이 능한 신들의 손에서 건지리요 그들은 광야에서 여러 가지 재앙으로 애굽인을 친 신들이니라
9 너희 블레셋 사람들아 강하게 되며 대장부가 되라 너희가 히브리 사람의 종이 되기를 그들이 너희의 종이 되었던 것같이 되지 말고 대장부같이 되어 싸우라 하고
10 블레셋 사람들이 쳤더니 이스라엘이 패하여 각기 장막으로 도망하였고 살륙이 심히 커서 이스라엘 보병의 엎드러진 자가 삼만 명이었으며
11 하나님의 궤는 빼앗겼고 엘리의 두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는 죽임을 당하였더라
-------
[오늘의 말씀 요약]
이스라엘은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패하자 실로에 있는 하나님의 언약궤를 진영으로 가져옵니다. 이 사실을 안 블레셋은 두려워하지만 도리어 대장부같이 싸워 이스라엘을 크게 살육합니다. 이스라엘은 보병 3만 명이 죽고 하나님의 궤를 빼앗기며, 엘리의 두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는 죽임을 당합니다.
--------------
전쟁터에 가져간 언약궤 4:1~4
전쟁의 발발과 그 결과 이면에는 하나님의 뜻이 있습니다. 블레셋이 이스라엘을 침공하니 이스라엘이 패하고 이스라엘 군사 중 약 4,000명의 전사자가 발생합니다. 전쟁에 패배하면 하나님 앞에서 자신을 돌아보고 회개하는 것이 하나님 백성의 일반적 태도입니다. 그런데 이스라엘 장로들은 전쟁에 패한 이유가 하나님께 있다고 하면서, 언약궤를 가져오면 전쟁에서 승리할 것이라는 해결책을 내놓습니다. 언약궤는 하나님 임재의 상징물입니다. 그들은 언약궤만 전쟁터로 가져오면 하나님도 전쟁터에 오시게 되고, 그러면 자동적으로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도와주신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이는 인격적인 하나님을 믿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상징하는 물건을 믿는 우상 숭배와 다를 바 없습니다.
● 더 깊은 묵상
이스라엘 장로들은 왜 언약궤를 전쟁터로 가져오자고 했나요?
내가 신앙의 본질이라고 착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
언약궤를 빼앗김 4:5~11
언약궤가 전쟁터에 도착하자 양측에서 큰 소란이 일어납니다. 이스라엘 진영은 하나님이 오셨다며 환호성을 내지르는 반면, 블레셋 진영은 두려움에 떱니다. 블레셋 사람들은 애굽에 큰 재앙을 내린 신이 왔으니 이제 큰 화를 당하게 되었다며 두려워합니다. 그런데 하나님의 권능을 듣고 간담이 녹았던 여리고 사람들(수 2:9~11)과 달리, 블레셋 사람들은 ‘스스로 강해지자’, ‘대장부가 되자’, ‘용기를 내자’며 최선을 다해 싸우기로 결심합니다(9절). 그 결과 이스라엘이 참패하고, 홉니와 비느하스가 죽음으로써 엘리 집안에 대한 심판이 시작됩니다. 언약궤를 블레셋에 빼앗긴 것은 언약궤를 우상으로 삼은 것에 대한 하나님의 경고입니다.
● 더 깊은 묵상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하나님의 언약궤는 어떻게 되었나요?
하나님이 나의 생각과 다르게 응답하셨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오늘의 기도
하나님, 언약궤가 있어도 하나님의 임재가 없을 수 있다는 준엄한 경고를 듣게 하셔서 감사합니다. 교회에 다니고 성경을 읽는 것이 겉치레가 아니라 진정성이 담긴 삶의 일부가 되게 하소서. 예배, 설교, 기도 시간 등을 통해 주님의 마음과 연합하는 은혜를 누리게 하소서.
------------------
* 흐름 문장 *
1. 블레셋과의 전투에 나선 이스라엘은 패배하였고, 그 싸움터에서 죽은 군사가 4,000명이나 됐음(1~2v)
2. 패배의 원인을 언약궤가 없었다고 본 이스라엘 장로들은 여호와의 언약궤를 가져왔고, 흡니와 비느하스도 하나님의 언약궤와 함께 그곳에 도착함(3~5v)
3. 하지만 블레셋 사람들은 이스라엘을 물리쳤고, 이 싸움의 패배로 이스라엘은 3만명의 군사를 잃었을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궤도 빼앗기고 홉니와 비느하스도 죽었음(6~11v)
* 본문의 명제: 하나님께서 너희와 함께하실 때에만 너희는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
하나님의 임재의 상징은 언약궤도 아니고, 제사장도 아닙니다. 우리의 온전한 순종과 믿음임을 우리에게 일깨워 주시는 하나님이십니다.
‘나’에게 말씀하신 것을 적용함
껍데기에 불과한 것들이 하나님의 임재를 대신할 수 없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그분과 더 깊과 풍성한 교제 안에 머물기 위해 노력하자 /그분의 거룩한 백성으로서 해야 할 일들을 묵묵히 감당하고, 우리에게 주신 상황에도 자족하면서 그분의 임재를 구하면서 나아가자 /그분과 보조를 맞추고, 그분의 인도하심을 따라 순종하면서 그분께서 가르쳐 주시고, 깨닫게 하시는 것을 배우면서 성장해 나가자
----------------
사무엘상 4:1 – 4:11 언약궤 맹신에 대한 하나님의 경고
* 본문의 명제: 하나님께서 너희와 함께하실 때에만 너희는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
하나님의 임재의 상징은 언약궤도 아니고, 제사장도 아닙니다.
우리의 온전한 순종과 믿음임을 우리에게 일깨워 주시는 하나님이십니다.
이스라엘백성들은(혹시나는?) 언약궤가 하나님의 승리, 자신의 승리를 보장하는 부적으로 여겼다. 하나님을 부적으로 전락시킨 타락한 이스라엘을 구원하시기 위해 하나님이 패배하신 것입니다. . 언약궤를 블레셋에 빼앗긴 것은 언약궤를 우상으로 삼은 것에 대한 하나님의 경고입니다.죽음으로 치닫는 그들을 살리시기 위해 자신에게 주어지는 모욕과 수치와 조롱을 자처하신 것입니다.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신 사랑이 여기에 담긴 것입니다.
(사53:5) 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 때문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 때문이라 그가 징계를 받으므로 우리는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으므로 우리는 나음을 받았도다
하나님을 부적과 같이 사용하지는 않았는지 스스로를 점검해야한다.
우리가 주인 삼은 것이 무엇인지 점검하고,
다시금 하나님을 바라보고 사랑할 수 있도록 내면을 들여다 봅니다.
지금 이 시점에서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오만한 모습을 꺾으시기 위해 도리어 블레셋 사람들에게 힘을 불어 넣어주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블레셋은 단순히 이스라엘 백성을 심판하기 위한 도구일 뿐입니다
오늘의 나를 다스리시는 하나님을 의지합니다.
형식이 아니라 믿음임을 기억합니다.
(요한복음 15:5)
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니 저가 내 안에,
내가 저 안에 있으면 이 사람은 과실을 많이 맺나니
나를 떠나서는 너희가 아무 것도 할 수 없음이라
썩어질 몸 안에, 예수 그리스도의 영(靈)이 들어가서,
우리의 삶을 대신 사실 때에만, 예수 그리스도의 열매가,
우리의 몸인 가지를 통하여, 나타나는 것.
'예수그리스도 와의 연합'이라 말입니다.
잠16:1~25 모든경영을 이루시는 하나님
삼상 17:47.전쟁은 하나님께 속해 있기 때문입니다
살아계신 하나님이 다스리심을 기억해야 합니다.
삼상4:11절 : 11 하나님의 궤는 빼앗겼고 엘리의 두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는 죽임을 당하였더라/
삼상 2:“34 네 두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가 한 날에 죽으리니 그 둘이 당할 그 일이 네게 표징이 되리라”
결국 전쟁의 승리는 언약궤의 존재 유무가 아니라 하나님을 얼마나 신뢰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입니다.
평소에 얼마나 하나님과 깊이 있게 교제를 하고 있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시험기간 닥쳐서 하나님을 찾기 보다는 평상시 하나님과 늘 함께 하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매일 매일 말씀을 묵상하고 기도하는 것은 세상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참으로 행복하고 귀한 것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위기를 모면하기 위한 부적(符籍)이 아니라
평상시 내가 늘 깊이 있게 만나는 능력의 말씀으로 신뢰하며
또한 하나님 말씀과 동행하는 신앙생활
신앙이 생활화 하는 가장 육적인 것이 가장 영적인 일상의삶 살아가며
주님앞에 서는날까지 주님과동행하며 승리하길 원합니다.
주님!
어떤 형상이 아니라 살아계신 하나님을 의지합니다.
헛된 방식으로 주님을 의지하지 않기 원합니다.
모든 것이 주님께로부터 온 것임을 인정합니다.
오늘도 다스려 주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
하나님은 항상 내게 있어서 3등입니다.
내게 하나님은 3등입니다.
1등은 하고 싶은일
2등은 해야 하는일
3등은 하나님을 만나는 일
하고 싶은일 다하고 해야하는 일도 다 마치고
그 후에 여유가 있으면 하나님을 만납니다.
하나님은 늘 내게 있어 3등입니다.
내 힘으로 한 번 해보고
그래도 안되면 가까이 있는 사람들에게 도와달라고 하고
그나마도 안될때는 하나님을 부릅니다.
하나님은 내게 있어 늘 3등입니다.
거리에서도 3등입니다.
내게 가장 가까이 있는 것은 나 자신이요
그 다음은 내 마음을 알아주는 사람이며
그 다음에야 저 멀리 하늘에 계신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은 내게 있어 늘 3등입니다.
그런데, 그런데말입니다 하나님께 나는 항상 1등입니다.
무슨일이 있어도 내가 부르기만 하면 하나님은 가장 우선적으로
나를 도와주십니다.
내가 괴로워할 때는 만사를 제쳐주고 달려오십니다.
아무도 내곁에 없다는 생각이 들때면 홀로 내 곁에 오셔서
나를 위로해 주십니다.
나는 하나님께 언제나 1등입니다.
나도 하나님을 1등으로 생각했으면 좋겠습니다.
만사를 제쳐놓고 만나고 작은 고비때마다 손을 꼭 맞잡는 내게
일등으로 가까이 계신 하나님이시면 좋겠습니다.
내게 1등이신 하나님을 나도 1등으로 모시고 싶습니다.
=> 지금껏 우리는 하나님을 3등쯤으로 여기면서 살아오지 않았나
생각해 봅니다.
이제부터는 3등밖에 있었던 하나님을 1등으로 생각할 수 있는 우리들이
되어야하겠습니다.
하나님을 1등으로 모실려면 어떤 방법으로 하나님을 1등으로 모실 수 있을까?
구호로서만 하나님을 1등으로 모시는 것이 아니라 순종으로 행함으로 하나님을
1등으로 모셔야할 것입니다.
아브라함과 노아 그리고 베드로는 하나님의 말씀에
우선적으로 행하고 실천을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