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나라 태조 주원장의 4째 아들 영락제의 사주다. 영락제는 조카 건문제와 많은 신하들을 죽이고 황제의 자리에 오른 사람이다. 사람을 많이 죽였지만 정치를 잘해 강력한 제국을 만들었으며 조선의 세조와 비교되는 인물이다. 辛 癸 辛 庚 酉 酉 巳 子 <대운> 정 병 을 갑 계 임 해 술 유 신 미 오 巳火가 酉와 간합하여 金이 되어버렸다. 癸水가 년지에 祿을 얻어 전국이 金水 두가지 오행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 사주는 土가 없어 물을 막지 못하고 火도 없어 많은 金을 克하지도 못하고 있다. 이른바 금백수청 (金白水淸)하다는 사주는 이런 사주를 말한다. 格이 하나고 기상이 순수하여 極貴하게 되었다. 연해자평에도 格이 여러개면 망가진 사주로 본다. 一格二格非卿即相, 三格四格財官不純, 非隸卒多是九流. ~ 까지 원문
여기부터 반론과 재론 ~ 열심히 공부하시는 분이네요 ~ 여러개 격이 나올 수 있는 명조는 팔격외에 모든 사주가 그러합니다 ~ 팔격인 명조도 여러격이 나오는 경우가 다수요
~ 격이 한개만 나올 수 있는 명조가 거의 없다는 뜻이니 지상에 있는 모든 이들이 망가진 사주라 ~ 결론은 여러개의 격이 나올 수 있는 명조를 해결 할 또다른 이론을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 ~ 그래서 궁성론과 왕졸론을 아래에 소개합니다. 격이 여러개일 경우 왕에 해당하는 격을 사용합니다. 왕에 해당하는 격이 좌우를 하니까요 왕의 정의 - 최고의 위치에서 리드하는 자 졸의 정의 - 왕의 심부름꾼, 사사로운 일을 도맏아 하는 자 왕에 해당하는 격은 왕노릇, 졸에 해당하는 격은 졸로서 운명을 좌우하고 먼저 왕졸을 찾을 줄 알아야(이것이 물상으로 공부를 해야) ~
think 아닌 이론은 버릴줄도 알아야
사주가 갇더라도 누구 아들로 태어났느냐에 의해 신분이 결정됨
사주 만으로 임금이다고 단정불가
왕 사주라는 개념을 버린 상태에서 분석해야 학습에 도움이 됩니다 고서를 보는 이유는 왕 사주 구분방식이 아니라
명조 분석을 위한 방식을 터득하는데에 필요해서 보는 것~
년주는 사회궁으로 일주가 경쟁해서 원하는 것을 가져야 하는 자리인데
유대운에 일주가 책사를 얻어 년주와 대적할 준비가 되고 ~ 병술대운에 일주에 함은 좋아지고 년주는 망가지고 / 중궁도 일주 편을 들고 일주는 영락제 / 년주는 이전에 집권한 왕(일주가 상대해야 할 사람들) * 사회궁(조상궁)의 정의 -(사회궁)일주가 상대해야 할 사람들 / (조상궁)이전의 사람들
결론 일주인 영락제는 좋고 영락제와 경쟁대상인 사회궁이 망가지니 구데타 성공
궁성론과 왕졸에 변화를 알면 되는데 ~ 역학은 기초를 얼만큼 섬세하면서도 정확하게 공부를 했느냐가 관건 격국에 고수라면 조금만 생각하면 될 텐데 ~ 많이 알면 고정관념에 끼워마추는 습관이 있어서 문제 아예 모르는 분이 빠를 수 ~
10문항 정확히 알고 있는 분이 10000문항 대충 공부한 분 보다 실력이 좋다. 1만문항을 보아도 10문항을 정확히 모르면 허송세월 100000문항은 독학이요 10문항을 정확히 알려면 아는자에게 배워야
썩은 물품 100000000개 보다 쓸만한 물건 10개가 진품 정확히 모른다면 썩은 물건과 다를바 없고 ~ |
첫댓글 공감 되는 말씀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