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점두간판(Shop Front Sign)
상점 입구에 설치하며 처마 끝에 다는 평간판, 세로로 다는 수간판, 도로쪽에 돌출된 돌출간판, 입구에 설치되는 스탠드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02) 캐노피사인(Canopy Sign)
03) 가로형 간판(Wall Sign), 前面 간판(Front sign)
문자·도형 등을 목재·아크릴·금속재 등의 판에 표시하거나 입체형으로 제작하여 건물의 벽면에 가로로 길게 부착하거나 벽면 등에 직접 도료(색상이 표시된 천·종이·비닐·테이프 등을 포함)로 표시하는 광고물
04) 세로형 간판(돌출간판, Projecting Sign)
문자·도형 등을 목재·아크릴·금속재 등의 판에 표시하거나 입체형으로 제작하여 건물의 벽면 또는 기둥에 세로로 길게 부착하거나 벽면 등에 직접 도료로 표시하는 광고물
05) 채널사인(Channel Letter Sign)
문자형태의 사인으로 주로 문자의 표현에 쓰이는 것으로써 갈바스틸판이나 스테인리스 스틸(SLS) 또는 동판으로 바탕측면에 입체를 주어 제작되는 표시물을 말하며 입체의 방향에 따라 전방채널, 후방채널, 전후방채널로 구분한다. 채널사인은 주로 갈바륨코팅철판이나 스테인리스 스틸(SLS) 또는 동이나 신주판으로 제작되어있는데, 갈바륨코팅철판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원자재비며 도료의 전착성 때문에 많이 사용되며, 스테인리스 스틸은 내구성과 빛 반사력, 그리고 신주나 동판은 품위면에서 타 재료에 비해 탁월한 장점을 지니므로 단순한 채널사인이라도 그 처리방식에 따라 다양한 쓰임새가 있다.
06) 지주형(Monument Sign, Post Sign, Pole Sign)
지면에 지주를 따로 설치하여 문자·도형 등을 표시한 목재·아크릴·금속재 등의 판을 지주에 부착하거나 원기둥·사각기둥 또는 삼각기둥 등의 게시시설을 따로 설치하여 문자·도형 등을 기둥의 면에 직접 표시하는 광고물
① 폴 타입(Pole Type)
② 스탠드 타입(Stand Type)
③ 아치 타입(Arch Type)
07) 유도간판(Induction Sign)
장소의 표시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광고물
08) 안내간판(Information Sign)
복잡한 공공장소나 다수의 사무실이 있는 경우 체계적이고 일관된 안내시스템이 필요한데, 그런 경우 사용한다. 제작물은 인테리어 환경과 조화를 이루어 시각적인 부담을 덜어 주어야 한다. 주요 안내사인으로는 로비사인, 종합안내사인(디렉토리사인이라고도 함), 층별안내사인, 부실안내사인 등이 있으며 금속재, 아크릴, 유리, 목재, 포맥스 등 매우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09) 입간판(이동식-Portable Sign)
벽에 기대어 놓거나 길에 세워 둔 간판. 라운드형, A자형, 플라스틱, 스탠드타입(갤브스틸,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 등이 있다
10) 연립간판(Coalition Sign)
2개 이상의 업소의 간판을 하나의 게시시설 또는 구조에 각각 표시하는 간판을 말한다.
11) 옥탑간판(Roof Signs)
건물의 옥상에 별도의 장방형·정방형·삼각형 또는 원형 등의 게시시설을 설치하여 문자·도형 등을 표시하거나 승강기탑 등 건물의 옥상구조물에 문자·도형 등을 직접 표시하는 광고물
12) 빌보드(Billboard)
옥외광고의 하나로 고속도로변 등에 세운 대형 광고판. 야립(野立)간판이라고도 한다. 한국에서는 철판으로 된 간판 표면에 페인트로 광고 내용을 도장(塗裝)하고 있다. 페인트 도장일 경우 페인티드 불리틴(painted bulletin)이라고 하며, 여러 장으로 인쇄한 것을 이어 붙인 것은 포스터 패널(poster panel)이라고 하여 구분한다. 이 광고는 큰 규격에 강한 색채감 등으로 오가는 소비자들에게 호소한다는 효과성은 있으나, 구체적인 메시지 전달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13) 공연간판(Event Sign)
공연을 알리기위한 문자·그림 등을 목재·아크릴·금속재 등의 판에 표시하거나 실물의 모형 등을 제작하여 당해 공연건물의 벽면 또는 공연건물의 부지에 지주 등을 세워 표시하는 광고물
14) 창문이용 간판(Window Sign)
천·종이 도는 비닐 등에 문자·도형 등을 표시하여 창문 또는 출입문에 직접 부착하거나 문자·도형 등을 목재·아크릴 ·금속재 등의 판이나 입체형으로 제작하여 창문 또는 출입문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광고물
15) 선전탑(Pylon Structures)
도로 등 일정한 장소에 광고탑을 설치하여 사방에서 볼 수 있도록 탑면에 문자·도형 등을 표시하는 광고물
16) 차량광고(Cars Rapping Advertising), 특히 래핑을 이용한 것은(Vehicle Graphics)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움직이는 광고. 효과는 생각보다 훨씬 뛰어나며 광고면적에서나 이동의 편리함 등등으로 최근 많이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차량광고는 다수에게 기업이미지 혹은 제품이미지를 단 몇 초 동안에 강렬하고도 인상에 남는 이미지를 전달해야 하는 난이도 높은 광고분야이다. 따라서 차량광고는 여타의 광고물에 비해 짧은 순간에 강한 이미지를 남겨야 하기에 보다 철저한 디자인과 전문적 제작이 있어야 실효를 거둘 수 있다.
17) 교통광고(Fleet Advertising)
열차(전동차 포함), 자동차관리법에 의한 자동차, 선박법에 의한 선박, 항공법에 의한 항공기(초경량비행장치 및 무인비행장치 포함) 등의 교통수단의 외부에 문자·도형 등을 아크릴·금속재 등의 판에 표시하여 부착하거나 직접 도료로 표시하는 광고물
18) 현판(Up front Sign)
글자나 그림을 새겨 문 위나 벽에 다는 간판
19) 표찰(Label)
상표나 품명, 부서, 호실 등을 표시함. 주 재료는 플라스틱 사출형, 포맥스, 아크릴 등이 있다.
20) 애드벌룬(Adballoon)
비닐 등을 사용한 기구에 문자·도형 등을 표시하여 건물의 옥상이나 지면에 설치하나 공중에 띄우는 광고물
21) 배너(Banner, 현수막)
일반적으로 가로 등에 현수하는 기를 의미함. 배너는 흔히 반복적으로 현수되어 행사 축제분위기를 자아내는 역할을 gks다.
22) 플래카드(Placard)
나무, 플라스틱 등에 문자·도형 등을 표시하여 건물 등의 벽면, 지주 또는 게시시설로 하는 광고물
- - - - -
*갈바 : 전기 아연 도금 강판 EGI(Electrolytic Galvanized Iron)
전해법에 의해 냉연강판 또는 열연강판 표면에 아연피복을 입혀 내식성을 높인 제품으로 일반적으로 용융아연도금강판보다 도금부착량이 적고 균일하며 평활하기 때문에 도장 마무리성, 도장 후 내식성이 뛰어나고 , 도금처리가 상온에 가깝고 원판의 재질특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재질선택의 폭이 넓고 가공성이 뛰어난 남. 쉽게 얘기해서 녹 안 쓰는 강판이다.
갈바는 알루미늄과 아연을 섞어 만드는 합금인 갈바륨(Galvalume)을 줄여 부르는 말이다.
철판에 비해 다루기 쉽고, 녹도 덜 슬고, 가벼워서 커튼박스나 천정 텍스마감 주변 등에 쓰인다.
*蝕 : 갉아 먹을 식
*stainless steel(스테인리스 스틸, SLS) : 강철에 크롬, 탄소, 니켈 등을 섞어 녹이 슬지 않도록 만든 합금
.steel(스틸) : 철, 강철
cf. 스테인레스, 스텐레스, 스텐, 스텡, 스뎅 → ( X )
- - - - -
2. 제작방식에 따른 분류
1) 주물
원하는 형태대로 거푸집을 만들고 그 속에 청동 녹인 물을 부어 형태를 떠내는 방법을 말한다. 내부 간판이나 로고 등을 제작하는데 많이 쓰이며 비용 부담은 고무 스카시에 비해 비싸지만 금속에서 오는 중량감이 중후한 느낌을 준다. 도금 방법에 따라 금색, 크롬, 실버 등 느낌이 다양하다.
2) 부식
SL스틸이나 신주 등 금속에 전기이온 방식으로 요철을 만들어 그림이나 문자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고급 실내간판이나 표지, 안내판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도어에 장식된 무늬가 대표적인 부식이며 기계장치의 명패로도 많이 사용된다.
3) 스카시
스카시란 일어의 "판을 오려내다"란 뜻을 가진 말로써 고무수지판이나 아크릴 또는 신주나 동판 등을 회전톱이나 수직톱을 이용하여 오려내는 것을 말한다. '80년대 중엽 고무판재에 알바이트판을 접착한 재료인 고무스카시를 오려 문자나 심볼 등을 표현하던 것이 최근에는 아크릴 포맥스 등을 레이저로 오려내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옥외 광고물로 사용될 때에는 외부투광기를 설치하여 야간조명의 효과를 살린다.
4) 성형사인
3차원의 입체 모습을 가지면서 사람들에게 시각적으로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고, PC성형 사인의 경우 비로 인한 오염이 되지 않고 오히려 세척이 되어 비 온 다음날에는 오히려 더욱 깨끗하고 선명한 모습으로 유지된다. 24시간 체인점, 주유소, 통신회사, 패스트푸드점, 금융회사 등에서 차별화 목적과 기존의 간판 개념을 벗어난 목적으로 요즘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금형을 만들기 위한 초기 제작비가 많이 드는 것과 소량일 경우 비용 발생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5) 조각사인
인조대리석, 아크릴, 포맥스, 우레탄, 알루미늄, 나무, 신주 등 다양한 소재로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실내 안내사인, 유도사인, 표찰 등 비교적 작고 아담한 모양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국내에서는 작은 간판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외국에서는 자연 친화적인 느낌이 강하고 장비의 보급이 많이 된 편이라 간판에서도 사용이 될 만큼 활성화되어 있다. 비용이 많이 들고, 완제품의 가격이 높기에 다소 국내에선 수요가 적은 편이나 실내의 메인 이미지나 차별화된 고급 이미지 창출에 좋은 효과가 기대된다.
3. 형태에 따른 분류
1) 가로형(전면)
일반적으로 업소 전면 메인 상단부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본적인 형식이다. 업소의 얼굴이기도 한만큼 업종의 특성에 맞는 소재나 디자인으로 신뢰감이나 구매욕구를 충족시켜야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2) 세로형(돌출)
건물외벽 가장자리 끝쪽에 부착하여 원거리 보행자로 하여금 업종의 상호를 알리는데 사용된다. 양면으로 제작되고 지면에서 높은 위치에 부착되기 때문에 브랜드 이미지가 약할 경우 가독성을 고려하여 작업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3) 지주형 폴
비용이 일반적으로 많은 편이며 지면에 기초공사 를 하고 간판지주를 따로 설치한 다음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스틸(SL스틸) 또는 알루미늄사인탑 세로형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허가가 까다롭지만 설치하면 업체의 규모가 커보이고 정돈되어 보인다. 보행자에게 가시성이 좋고 조형물적인 특성을 부각시킨 경우 효과가 좋다.
4) 스탠드형(이동형)
가공형과 기성품이 있으며 메인간판 부착이 어려운 경우에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플렉스나 아크릴재질로 제작되며 가격이 저렴하고 조도가 뛰어나서 많이 보급되다가 단속이 심해서 한때 줄기도 하였으나 저렴한 비용으로 홍보효과가 좋기 때문에 수요가 다시 늘고있는 추세이다.
5) 옥탑(빌보드)
대형이고 건물최상단에 설치된다. 지면에서 높은 위치에 설치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의 광고효과가 좋고 주로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를 알리거나 병원 등에서 활용된다. 플렉스가 많이 쓰이고 최근 들어서는 네온도 많이 활용된다.
6) 차량사인
움직이는 광고매체로서 넓은 지역에 걸쳐 브랜드 이미지를 홍보할 수 있다. 방식으로는 도색, 실사출력, 커팅 등이 있으며 서로 보완해서 응용하면 좋은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커팅방식이 저렴해서 많이 사용되고 제품이미지를 알리는데 실사 사진을 부분적으로 넣는다면 홍보효과가 더욱 좋아진다.
19.03.28.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