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의 관문 시외버스터미널 ‘송현동’ 시대 개막

안동시(시장 권영세)와 (주)안동터미널이 주민들의 숙원사업이던 안동터미널을 준공하여 2011년 1월 24일 ‘송현동’으로 이전 운영한다.
이번에 이전 운영되는 안동터미널은 1969년부터 40여 년간 안동시 운흥동에서 시민들과 각종 애환을 함께해 오다가 ‘운흥동’ 시대를 접고 ‘송현동’으로 이전하는 것으로, 이로써 도심 교통난 해소는 물론 시설현대화를 통해 선진 대중교통문화 정착에 이바지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터미널>
통일 · 경북여객의 전용 정류장 이었던 기존 터미널은 1969년에 현 중소기업은행 안동지점 자리에서 운흥동으로 이전되어, 1978년 7월 18일 시외버스 공용정류장 인가와 1979년 1월 1일 (주)안동터미널로 법인 인가를 받아 오늘에 이르렀다.
<터미널 건축>
2004년 12월 30일 경상북도의 도시계획시설결정 승인으로 도시계획시설사업인 도로, 광장, 주차장 등 기반시설은 2009년 4월부터 안동시가 건설했고, 터미널시설은 민간기업에 의한 개발방식에 따라 KD운송그룹 (주)안동터미널이 토지매입 및 사업을 시행하는 방법으로 2009년 7월 건축허가를 받아 착공하게 되었다.
<사업개요>
사업규모는 총 66,470㎡로 공공부문은 49,198㎡ 부지에 안동시가 도시계획도로 신설ㆍ확장을 5개 노선에 L=1,714m(B=20~30m), 지하차도 신설 BOX구간 L=40m U-TYPE=66m, 송야교 부분 확장공사 L=61m(B=4.15m) 및 주차장 62면(시내버스 14, 승용차 48), 승강장 5개소(버스 4, 택시 1)를 설치하였다. 기존 터미널은 건축연면적이 1,213㎡로 시설이 너무 열악하여 KD운송그룹 (주)안동터미널에서 17,272㎡부지에 지하 1층, 지상 2층에 연면적 5,879.14㎡의 건물을 건립, 터미널 주건축물(사무실, 발매창구, 편의시설 등)과 차량점검소, 주유소, 세차장을 설치하였으며, 그 밖에 승차장 13, 하차장 4개소, 주차장 101면(시외버스 57, 승용차 44)등을 설치하고, 교통약자를 배려한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 시설 현대화도 도모하였다.

<시설>
시설 기준은 4,501 ~ 6,500명이나, 향후 도청 이전 후에도 이용객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6,501 ~ 9,000명이 이용할 수 있는 시설로 건립하였다.
<사업비>
총 사업비는 327억 원으로 안동시에서 추진한 공공부분에 191억, (주)안동터미널에서 추진한 민자부분에 136억 원이 소요되었다.
<시내버스 기 · 종점 및 경유지 변경>
시내버스 13개 노선 48대 기ㆍ종점을 조정하고 14개 노선 35대 경유지를 변경하였다.
<신 터미널 위치 및 향후 위상>
신 시외버스터미널은 중앙고속도로 서안동I.C에서 국도 34호선을 따라 5.5㎞ 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시간은 차량으로 5분 정도 소요된다. 안동대교에서 터미널간의 옥동대로 확장 공사가 2015년 완공 목표로 설계용역 중이며, 교통의 중심축인 상주~안동~영덕을 연결하는 동서 6축 고속도로와 안동~서후~평은간 국도 5호선, 안동~길안간 국도 35호선을 대체하는 우회도로가 완공되면 시외버스터미널을 중심으로 사통팔달의 교통체계도 함께 갖춰져 도청이 옮겨지는 안동, 예천의 새로운 도시기반시설로서 도청 이전 지 성장과 발전의 밑거름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된다.
|
기사입력 : 2011-01-18
♤시내버스 노선변경 안내
0번
15분간격
첫차06:30
막차22:00 |
【순환운행】송현동터미널-옥동3ㆍ4ㆍ5ㆍ6ㆍ7ㆍ8주공A-옥동4거리-송현우성A-송현5거리-태화5거리-신시장-구시장-기차역-법흥교-용상안동병원-용상2ㆍ3ㆍ4주공A-법흥교-기차역-구시장-신시장-안기동-명륜동-신안동 현대A-북문시장-시청(안동의료원)-성소병원-태화5거리-송현5거리-옥동4거리-옥동3ㆍ4ㆍ5ㆍ6ㆍ7ㆍ8주공A-송현동터미널 |
0-1번
15분간격
첫차06:30
막차22:00 |
【순환운행】송현동터미널-옥동3ㆍ4ㆍ5ㆍ6ㆍ7ㆍ8주공A-옥동4거리-송현우성A-송현5거리-태화5거리-성소병원-시청(안동의료원)-북문시장-신안동-명륜동-안기동-신시장-구시장-기차역-법흥교-용상2ㆍ3ㆍ4주공A-용상안동병원-법흥교-기차역-구시장-신시장-태화5거리-송현5거리-옥동4거리-옥동3ㆍ4ㆍ5ㆍ6ㆍ7ㆍ8주공A-송현동터미널 |
1번
10분간격
첫차06:30
막차22:00 |
【동일노선 왕복운행】송현동터미널-옥동3ㆍ4ㆍ5ㆍ6ㆍ7ㆍ8주공A-옥동4거리-태화A-태화3거리-신시장-구시장-기차역-법흥교-용상안동병원-용상시장-용상현대A, 5ㆍ6주공A-송천동-안동대학교(회차) |
2번
10분간격
첫차06:30
막차22:00 |
【동일노선 왕복운행】송현동터미널-옥동3ㆍ4ㆍ5ㆍ6ㆍ7ㆍ8주공A-옥동4거리-태화A-태화3거리-태화5거리-MBC방송국-운안동-경안고등학교-성소병원-시청(목성교)-웅부공원-기차역(올때 법흥지하도-세무서)-법흥교-용상안동병원-용상시장-용상현대A, 5ㆍ6주공A-안동상수도(회차) |
11번
10분간격
첫차06:30
막차19:20 |
【동일노선 왕복운행】풍산읍-안동교도소-종합물류단지-학가산온천-안동과학대학-시외버스터미널-송현5거리-태화5거리-성소병원-시청(목성교)-구시장(찜닭골목)-신시장-기차역-법흥교-용상안동병원-용상시장-용상현대A, 5ㆍ6주공A-송천동-안동대학교(회차) |
♤시내버스 노선변경 안내
3번
(역순환)
45분간경
첫차07:30
막차19:00 |
[3-1]안동댐-법흥지하도-기차역-구시장-신시장-태화5거리-옥동삼성A-옥동3주공A-생명과학고등학교-복주여중-안동우체국-신시장-구시장-기차역-법흥지하도-안동댐
[3-2]안동댐-법흥지하도-기차역-구시장-신시장-복주여중-생명과학고등학교-옥동3주공A-옥동삼성A-태화5거리-안동우체국-신시장-구시장-기차역-법흥지하도-안동댐 |
80번
70분간격
첫차06:30
막차22:00 |
퇴계로-북문시장-시청(안동의료원)-웅부공원-기차역-구시장-신시장-경찰서-체육관-영가대교-정하동-시민운동장-수하동-수상동안동병원-옥동-시외버스터미널-송현동-태화5거리-신시장-구시장-기차역-용상안동병원-용정교-안동고등학교-정하동-영가대교-체육관-경찰서-성소병원-시청(안동의료원)-북문시장-퇴계로 |
81번
70분간격
첫차06:30
막차22:00 |
퇴계로-북문시장-시청(안동의료원)-성소병원-경찰서-체육관-영가대교-정하동-안동고등학교-용정교-용상안동병원-기차역-구시장-신시장-태화5거리-송현동-시외버스터미널-옥동-수상동안동병원-수하동-시민운동장-정하동-영가대교-체육관-경찰서-신시장-구시장-기차역-웅부공원-시청(안동의료원)-북문시장-퇴계로 |
98번 |
폐지 |
99번 |
폐지 |
♤시내버스 무료환승 안내
안동시내버스는교통카드를 사용하면 1회 무료환승이 되므로 시외버스터미널에서 2~3분마다 출발하는 시내순환버스를 이용하여 기차역 서편에서 각 읍면지역과 관광지 노선으로 환승하면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풍산ㆍ풍천방면의 노선은 시외버스터미널 앞을 경유하여 기차역(종점)까지 직선으로 운행하므로 더욱 빠르게 시내에 진입할 수 있으며, 터미널에서 목적지로 직행하는 버스가 없더라도 바로 시내로 이동하여 무료환승을 이용하면 쉽게 목적지로 갈 수 있습니다. |
첫댓글 좋는 정보 감사합니다.
그런데 우리(나)에게 송현동 터미널이 더 편리한가, 불편한가?
안동의 발전을 위한 대국적인 견지에서는 꼭 필요한 이전이지? 앞으로 도청도 그쪽으로 오고....
허나 시내 볼일은 좀 번거로울 것 같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