知不知上 不知知病 지부지상 부지지병 夫唯病病 是以不病 부유병병 시이불병 聖人不病 以其病病 성인불병 이기병병 是以不病 시이불병 의역: 生氣를 퍼트리고 만물을 이롭게 하는 道의 이치를 모르기에 그 것을 깨달으려고 노력하는 것은 上이요. 道는 모르면서도 色界의 욕망만을 추구하는 것을 전부라고 아는 것은 病이다. 따라서 색계의 욕망이 病이라고 인식한다면 벗어날 수 있기에 문제 되지는 않는다. 聖人은 항상 道를 따르기에 病이 없고 색계의 욕망을 病으로 인식하기에 病이 아닌 것이다. 學을 추구하면서도 그 것을 아는 것으로 착각하니 病이요, 道를 추구하면서도 그 깊이를 몰라 알고자 따르는 것이 上이다. |
71章은 철학의 느낌이 난다. 道德經 전체 내용과 어울리지는 않아 보인다. 공자도 이와 유사한 표현을 했다. 論語 爲政에서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른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야말로 진정 아는 것이다. 하지만 노자는 道와 色界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있다. 道를 모르면서도 그 것을 깨달으려 노력하는 태도가 최선이지만, 學을 따르고 道를 멀리하면서도 마치 그것을 전부인 것으로 착각하는 것은 심각한 病이다.
知不知上(지부지상)
모르는 것을 아는 것이 上이요. 무엇에 대해 알고, 모르는가? 도에 대해 모르는 것을 인식하고 깨우치고자 따르는 것은 최선이다.
不知知病(부지지병)
모르면서 아는 것처럼 하는 것은 病이다. 道를 모르고 學을 따르면서 그 것이 전부인 듯, 아는 것처럼 하는 것은 병이다.
夫唯病病(부유병병)
병을 병으로 알면 물질과 권력만을 추구하는 것이 병이라는 것을 안다면
是以不病(시이불병)
병이 아니다. 고칠 수 있기에 병이 아니다.
聖人不病(성인불병)
성인은 病이 없다. 성인(道)은 족함을 알고 물질을 탐하지 않으니 병이 없다.
以其病病(이기병병)
그 병을 병이라 하기에 또 그 것이 병이라는 것을 알기에
是以不病(시이불병)
병이 아닌 것이다.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 章까지를 有爲로 나눠서 살펴보았다. 사실 어디까지가 무위고 어디까지가 유위인지 알기 어렵다. 道의 본질은 生氣를 부여하고 만물을 이롭게 하며 움직임과 변화를 통하여 순환을 거듭한다. 이 과정에 움직이면 반드시 열이 생기고 열은 물형을 결정한다. 물형에는 중력이 꿈틀대고 욕망이 생겨난다.
물형을 가진 자들의 본성이다. 따라서 無는 有 때문에 존재하기에 有를 나쁘다고 할 수는 없다. 有는 존재하고자 중력을 활용할 수밖에 없고 그것을 무조건 有爲라고 부를 수는 없다. 老子의 주장처럼, 色界를 버리고 樸으로 돌아가는 것만이 옳은 행위라면 굳이 태어나 육체를 가질 필요는 없는 것이다.
13章에 나오는 표현, 吾所以有大患者 爲吾有身(오소이유대환자, 위오유신) 큰 우환을 갖는다는 것은 몸을 가졌기 때문이다. 及吾無身 吾有何患(급오무신 오유하환) “만약 육체가 없다면 무슨 우환이 있는가?”로 해석하여 태어나는 것 자체를 부정하는 표현은 황당하다. 有는 극히 당연한 존재며 욕망을 기본으로 한다. 老子는 단지 지나친 탐욕을 경계하라는 뜻이었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