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8년. 중국의 한 산골 마을에서 사고가 벌어진다. 오소리를 잡기 위해 놓은 덫에 외지 출신의 주민 라홍이 죽게 되자, 마을의 장로들은 공안의 귀에 들어가지 않게 사건을 은폐하고 미망인 홍시아에게 배상하는 선에서 마무리 짓고자 한다. 덫을 놓은 청년 한총은 사고의 책임을 지고 배상금을 마련할 때까지 홍시아의 가족을 돌봐주게 된다. 가족처럼 친해진 두 사람의 사이에는 차츰 내밀한 감정이 피어나지만, 죽은 라홍을 찾는 공안의 손길이 가까워져 오자 주민들은 마을의 안위를 핑계로 홍시아를 쫓아내려 한다.
래리 양 감독의 '산이 울다'는 세 갈래의 축을 엮은 이야기이다. 2005년 노신문학상을 수상한 거쉬핑의 동명 소설을 영화화한 이 작품은 철없는 청년 한총이 한 사람의 성인이자 가장으로서의 책임감에 눈뜨게 되는 성장의 드라마인 동시에 범죄자 남편의 학대에 자기 삶을 통째로 뿌리 뽑힌 여성이 사랑과 행복, 삶의 주도권을 찾아가는 치유의 멜로이며, 마을 전체의 안위라는 명목하에 두 사람의 관계를 허락하지 않고 집단 밖으로 내몰려는 촌락 공동체의 집단 이기주의에 대한 사회학적 관찰이기도 하다.
목소리를 잃은 홍시아의 모습은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윤리가 지배하는 가운데서 여성이 처하게 되는 억압적 상태를 단번에 함축한다. 남편에 대한 원한은 주변을 둘러싼 마을 주민의 관점에서는 미쳐버린 거로 오독되며, 한총과의 관계 역시 마찬가지로 오인된다. 여성이자 장애인에 과부라는 입지를 이중삼중으로 홍시아의 처지에 겹치게 하면서 '산이 울다'는 성차별의 논리가 근본적으로 소수자 혐오와 동일한 전체주의의 맥락에 닿아있다는 일리(一理)를 놓치지 않는다.
한총의 존재는 그런 홍시아의 불우에 비친 작은 구원이자 '산이 울다'가 제시하고자 하는 대안을 잘 보여주는 점일 것이다. 마을 주민이 공유하는 편견과 선입견에 물들지 않은 한총의 '철없음'이 여성으로서 입어야 했던 홍시아의 상처를 이해하게 하고, 언어 장애인으로서 잃어버린 타자와의 소통과 교감을 회복게 하는 공생의 능력으로 발현된 것이다. '산이 울다'는 페미니즘의 윤리학을 통속적 멜로드라마에 매끄럽게 봉합하며 대중성과 작품성 모두를 놓치지 않는 균형감을 보여준다. 페미니즘에 대한 오해, 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혐오가 인종차별 수준으로 치달아가는 오늘날의 세태로 미뤄 볼 때 이 영화가 시사하는 바는 결코 작지 않을 것이다.
20주년을 맞이하는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단연 돋보이는 현상은 중화권 영화의 약진일 것이다. 허우샤오시엔의 '자객 섭은낭'이 무협영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주목받았고, 지아장커는 신작 '산하고인'으로 다시 부산을 찾았으며, '갱스터의 월급날'이 폐막작으로 선정되었던 지난해에 이어 '산이 울다'로 열흘에 거친 영화제의 막을 내리게 되었다. 중화권 영화가 보여주는 장르의 다양성, 표현의 참신성, 주제의 심도에서 상업성 중심으로 몰려 균형을 잃은 한국영화의 현재를 진단하는 계기를 찾았으면 한다.
조재휘 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