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원격검침 사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모뎀, 무선망 등 관련 부문을 통합발주해야 한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그러나 한전은 이에 대해 통합발주가 오히려 특정 업체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며 난색을 표명하고 있어 추이가 주목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원격검침 사업은 계량기 납품과 설치, 모뎀 납품과 시설, 무선망 등의 사업자를 모두 개별 선정하는 이른바 분리발주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분리발주의 경우 검침오류가 발생했을 때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고 업무의 신뢰성과 효율성 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따라서 전력량계를 제외한 나머지 부문에 대해 통합발주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업계 한 전문가는 “한전 본사에서 망사업자를 선정하고 이후 모뎀 납품 및 설치 입찰을 각 지사별로 진행하는 현재의 입찰 방법은 행정낭비 등을 불러올 수 있다”며 “특히 검침률을 보다 향상시키고 원활한 시스템 유지보수를 위해 계량기를 제외한 나머지 부문에 대한 턴키발주를 고려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원격검침 오류 실태를 분석할 때마다 약전계, 음영지역, 안테나 설치 등 다양한 항목에서 오류 원인이 발생해 명확한 책임 규명이 힘들다는 점도 이같은 주장을 뒷받침한다.
한전은 그러나 원격검침 통합발주가 자칫 ‘특정 업체 밀어주기’로 오인될 소지가 있다는 입장이다.
한전 관계자는 “모뎀의 설치와 납품을 통합발주할 경우 망사업자들은 수의계약을 이용한 업체 선정에 나설 공산이 크다”며 “이는 자칫 한전이 특정 업체에게 유리하도록 하기 위해 통합발주를 단행한다는 오해를 살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간혹 발생하는 원격검침 오류를 사업자 선정과 관련짓는 것은 확대해석으로 업체간 이해관계에서 비롯된 주장일 뿐”이라며 “오히려 관련 제품군에 외산 장비가 섞여 있어 오류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을 어렵게 하는 경우는 더러 있다”고 덧붙였다.
한전은 특히 현재 원격검침률이 95%대로 목표치를 넘어서고 있고 향후 98%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전은 이미 100kW 고압수용가 9만1000호에 대한 자동원격검침 사업 관련 입찰을 마무리했으며 아직 중저압 수용가에 대한 원격검침 사업 청사진은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