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위스콘신대의 슈동 왕 교수진은 지난해 말 사람의 상처가 아무는 데 걸리는 시간을
4분의1로 줄인 기술을 발표했다고 합니다. 수술 방식이 달라진것도 아니고, 신약을 투여 하지도
않았으며 단지 수술 부위에 약한 전류를 흘리는 전자약 밴드만 새로 붙혔다고합니다. 전류는
세포 성장을 촉진하고 조직에 해로운 활성산소를 억제했다고 합니다.
전자약 밴드는 '전자약(electroceutical)'시대가 빠르게 다가오고 있음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상징이라는군요! 전자약은 전자(electronic)와 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 이미 신경을 자극해
비만이나 관절염을 치료하는 전자약은 나와있지만 전자약 밴드는 시술 필요 없이 붙이기만 하면
상처를 진단하고 전기 자극이나 약물로 치료까지 한다는 점에서 전자약 시대를 앞당기는 변곡점이
될것으로 보인다 합니다.
옹 교수는 지난해 말 미국 화학회(ACS)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ACS나노'에 상처 치료용 전자약을
이용한 동물실험 결과를 발표했는데, 연구진은 프라이팬코팅제로 쓰이는 테플론과 구리로 덮인
플라스틱이 이중 층을 이룬 밴드를 개발했다고 합니다. 환자가 움직이면 밴드의 두 층이 서로 마찰
하면서 전기가 발생한다고 하네요. 쥐 실험에서 밴드에서 발생한 마찰전기는 수술 절개 부위가
아무는 시간을 12일에서 3일로 줄였다고합니다. 연구진은 실험을 통한 밴드의 효능을 확인하면
2~3년 안에 상용화 될것으로 예상한다 합니다.
또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찬단 센 교수팀은 상처 부위의 세균 감염을 막는 전자약 밴드를 개발했다고도
하며, 미국 터프트대의 사미어 손쿠세일 교수 연구진은 국제학술지 '스몰'에 병원에 자주 가지 못하는
만성 감염 환자를 위한 진단·치료 겸용 전자약 밴드를 발표했다고 합니다.
이들 연구 결과가 발전되어 실용화되면 병원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특히 상처나 통징으로 고통받거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에게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첫댓글 전자약 밴드 아이디어가 기발합니다~
전자약밴드가 상용화 되고, 더 개발이 되면 영화에서 보던 일들도 일어날 수 있겠네요.
세상이 빠르게 발달해가네요...저런 밴드가 상용화가 잘 되고 가격도 과하지 않게 판매된다면 병원비가 확실히 줄수있을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