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매산리에 있는 수면적 1만평 규모에 연안 경사가 급한 전형적인 계곡형 저수지다. 지난 1995년 관리형 유료낚시터로 허가를 받기 위해 광주시청에 신청서가 접수되기도 했으나 매산지를 둘러싸고 있는 공원묘지 관리소와 인근 마을 주민들의 반발로 낚시터 유료화가 무산돼 현재도 무료터로 남아있다. 당시 유료낚시터 허가를 받기 위해 설치한 50여 개의 연안좌대가 상류 두 개의 골자리에 지금도 그대로 방치돼 있다. 매산지는 1990년 중반 누군가가 배스를 방류했는데, 이 때 방류한 배스가 현재 많은 개체수로 불어나 지렁이나 새우 등의 생미끼는 사용할 수 없다. 배스가 많아서인지 붕어낚시에서 마릿수 입질을 받기는 힘들지만 일단 낚이면 월척급일 정도로 씨알이 굵은 특징이 있다.
▷서울에서 3번 국도를 따라 성남을 거쳐 광주까지 간다. 광주에서 용인 방면 45번 도로를 따라 7km 정도 아파트 사이를 지나가면 매산교가 나오는데 매산교 건너기 전 좌회전하여 계속 진입하면 멀리 공원묘지와 함께 매산지 제방이 보인다.
<양평권>
▶양평 원덕 보 양평읍 원덕리에 위치한 원덕보는 얼마 전에 끝난 주변 정리 공사로 주차시설이 대폭 확충되어 가족단위 나들이꾼들에게 대단한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공사는 원덕교 하류권이 상수원보호지역으로 묶이면서 시작되었는데, 아마 신내천을 찾은 나들이꾼들을 위해 행정당국에서 보호지역 상류로 외에 따로 쉼터를 배려한 것이 아닌 가 싶다.포인트로 원덕초등학교 건너편 연안은 수초대가 잘 발달되어 있어 1.5~2.5칸 대 정도의 낚싯대로 수초대 언저리를 공략하면 좋다. 특히 큰비 후의 채비로는 6호 정도의 바늘에 떡밥과 지렁이를 함께 달아서 사용한다. 현재는 6치 급 붕어가 주종을 이루지만 큰 비 후에는 월척급도 노려볼 만하다. 또한 비가 온 후에 거머리를 미끼로 쓰면 밤낚시에 메기와 동자개가 잘 낚이기도 한다. ▷원덕보는 6번 국도를 따라 양평까지 온 후 오빈삼거리에서 좌회전하여 홍천 방면으로 약 4km 가량 진행하다 오른쪽 대흥리 이정표 방면으로 진입한다. 약 2km 정도 지나다가 원덕역 이정표를 따라 우회전하여 계속 직진하면 원덕초교를 지나 포인트에 다다른다.
▶양평 갈산공원앞 남한강 양평권은 유속이 빠르고 지류가 적어 붕어 포인트를 찾는데 어려움이 많은 곳이다. 하지만 지금 소개하는 갈산공원 일대는 양평읍 내에 위치하면서도 겉으로는 전혀 낚시터 같지 않아 아직도 찾는 이가 별로 없다. 하지만 마리수와 씨알이 모두 좋은 일급 붕어터로 붕어의 평균 씨알은 20cm정도이며 대물의 출현도 잦다. 붕어 조황이 좋지 않은 날이라도 마자와 누치·잉어 등의 강고기가 덤벼 손맛은 충분히 볼 수 있다. 바닥이 큰 바위와 말풀로 되어있고 평균 수심은 5∼7m 정도로 깊은 편이다. 구 양평대교 바로 위에 위치하는데 현지에서는 일명 장사바위라고도 불리운다. 본류권이지만 크게 움푹 들어간 형상이라 유속이 느려 붕어의 서식지로 좋다. 낮에는 입질이 거의 없고 저녁과 새벽이 좋다. 미끼는 어분과 찐깻묵 그리고 구루텐을 4:4:2 비율로 배합하고 짝밥도 좋다. 단 하류의 팔당댐이 물을 뺄 경우에 채비가 흐른다. 연안이 바위로 이뤄졌기 때문에 받침대 설치가 어려운 것이 단점이다. ▷양평시내 진입 직전에 있는 양근대교(신대교) 사거리에서 우측 강변도로로 진입하면 구 양평대교 사거리가 있다. 계속 직진해 20m를 가서 우측 길로 진입하면 주차장이 있다. 왼쪽에 철계단을 따라 30미터쯤 걸어내려가면 포인트에 닿는다
▶떠드랑섬 샛강 신 양평대교에서 7백m 하류에 위치한 섬으로 우측 연안과 맞은편 목재소 앞이 포인트다. 본류에 속하지만 섬 자체가 물흐름을 막아줘 붕어·잉어·누치·배스 등 다양한 어종이 낚인다. 야영낚시 가능한 떠들랑섬 주변은 수심이 완만한 반면 맞은편 목재소 앞은 급심지역이 다. 2.5∼3.5칸대에 지렁이·떡밥의 짝밥채비가 효과적이다. ▷양평군 소재지 초입 신호등에서 임업협동조합 입간판을 따 라 1백50m 진입하면 좌측에 목재소가 나온다. 신양평대교 우측 내리 막길로 8백m정도 진입하면 떠들랑섬이다(장마철을 제외하고 섬까지 차량진입 가능).
▶병산리 밤벌농장 앞 폭 40m, 길이 2백m정도의 수로형 낚시터로 '학교종이 땡땡땡'이란 까페앞은 수심 50cm정도의 구멍치기, 맞은편 밤벌농장 앞은 스윙낚시 포인트다. 본류와 맞닿는 늪지 앞엔 야트막한 섬(우기엔 잠김)이 있는데 연안에서 3칸대를 드리우면 효과적이다. 야영낚시 가능한 포인트로 준척급이 마리수로 낚이곤 한다. ▷양평에서 퇴촌·광주방면 308번 지방도로를 타고 3.4km 직진하면 병산교가 나온다. 밤벌농장 앞은 병산교를 건너기 전 비포장 길로 우회전하여 약 7백m 진입하면 된다. 또 병산교를 건너 곧장 5 백m 들어서면 도로 좌측에 '학교종이 땡땡땡'이란 까페가 나온다.
▶전수리 전형적인 수초치기 씨알터이다. 강하면 전수리 앞 연안으로 본류에서 전수교 쪽으로 비교적 넓게 골진 부분을 말한다. 갈대가 빽빽하게 나있는 곳으로 해빙기 남한강 붕어낚시의 시발점이기도 하다. 따라서 여름으로 들어서면 수면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갈대가 무성하기 때문에 여름낚시터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될지 모른다. 그러나 발 앞 수초를 적당히 제거하거나 바지장화를 신고 수초치기를 구사하면 월척급 이상의 씨알 입질을 심심찮게 받을 수 있는 곳이다. 낚시는 연안 오른쪽 축구장 옆에서부터 전수교 아래를 거쳐 까페 '아미고' 뒤편 연안까지 비교적 넓게 펼쳐져 있는데, 장마가 끝나고 1m 전후의 수심대만 유지된다면 바지장화를 착용한 수초치기에서 위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병산리 가는 길을 참고해서 병산교를 건너 5km 정도 전수1교를 지나 가면 전수교에 닿는다. 전수교 건너기 전 우측 '강하 레포츠 공원' 안내판을 따라 비포장 길로 접어들면 축구장이 나온다. 이 곳에 주차를 하고 축구장 왼쪽 골대 뒤로 나있는 철망문으로 나가면 발 앞에 낚시자리가 보인다
▶운심리 수중섬 수초와 수몰나무가 빽빽하게 들어찬 아담한 늪지로 도로변에 위치해 있어 진입이 편리하다. 수면 위로 수초와 수몰된 나무들이 빽빽히 솟아 있다. 포인트는 연안을 향해 수초가 터진 수심 50cm안팎의 수중 섬과 전원 파크 옆. 수중섬은 장화를 신고 진입해야 하는데 씨알 이 굵게 낚인다. 지렁이미끼 외바늘채비에 2.5칸대로 수초대를 넘겨치거나 3칸대로 수초구멍 사이를 노리면 된다. 이곳은 보트낚시·그물질을 할 수 없어 어자원이 풍부하다. ▷병산교를 지나 4.8km 곧장 진입하면 우측에 전원파크가 보이고 전방에 운심교가 나온다.
▶왕창리 골재 야적장 앞 상수원보호구역을 막 벗어난 지점에 위치한 시즌 전개 빠른 드넓은 늪지형 수로. 포인트는 골재야적장 맞은편 4백여m의 논둑자리 포인 트. 스윙낚시·수초 구멍치기·보트낚시가 가능하다. 수심은 40cm안팎 으로 연안을 따라 갈대와 삭아내린 줄풀이 무성하다. 3칸대 이상의 긴 대로 수초대 경계지점과 줄풀이 삭아내린 빈공간을 노리는게 좋다. ▷전원파크에서 2.4km 진입하면 우측 골재 야적장을 지나자마자 드넓은 늪지가 나온다. 수청리방면 취수장 주위에 주차하고 논둑을 따라 진입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