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 낭가사상은요. 말하자면 길지만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신라통일의 원동력이었던 '화랑도정신'이 이어진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진취적인 낭가사상이 보수적인 유교사상에 패해서 그 이후로(묘청의 난 실패 이후로) 우리 민족의 힘이 꺾여버린 빌미가 되었다라고 보는게 신채호의 관점입니다.
4.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문제같은데요.. 걍 선종의 수행방법이라고 보심 될것 같네요.. 3번은 수조권상과 소유권상으로 학설상으도 통일되어 있지 않은 문제로 알고 있습니다.. 9급수준에서는 그렇게 복잡하게 물어올지 의문이네요.. 수조권상으로 보면 공전이고 소유권상으로 보면 사전이라는 얘기인데 저 지문만 가지고 판단하긴 어렵지 않나 싶어요..
4.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문제같은데요.. 걍 선종의 수행방법이라고 보심 될것 같네요.. 3번은 수조권상과 소유권상으로 학설상으도 통일되어 있지 않은 문제로 알고 있습니다.. 9급수준에서는 그렇게 복잡하게 물어올지 의문이네요.. 수조권상으로 보면 공전이고 소유권상으로 보면 사전이라는 얘기인데 저 지문만 가지고 판단하긴 어렵지 않나 싶어요..
첫댓글 2번 비서원이 아니라 비서성입니다. 개성의 비서성, 서경의 수서원 둘 다 도서관입니다. 분사제도에 의해 개경과 서경에 같은 기구를 각각 둔 것이구요. 개성이 수도이기에 격이 더 높은 '-성'이고, 서경은 '-원'이 됩니다.
확실한가요? 통합한국사에서 어제 이부분 봤는데.. 고려 성종때 비서원은 개경도서관 수서원은 서경도서관이라고 하네요.. 어디에 나와있나요?
1번 낭가사상은요. 말하자면 길지만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신라통일의 원동력이었던 '화랑도정신'이 이어진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진취적인 낭가사상이 보수적인 유교사상에 패해서 그 이후로(묘청의 난 실패 이후로) 우리 민족의 힘이 꺾여버린 빌미가 되었다라고 보는게 신채호의 관점입니다.
아 그렇군여..전 그냥 독학합니다.. 강의를 몇강 들어봤는데 책으로 혼자 봐도 별차이가 없더라구여..답변 감사합니다
책마다 좀 다른 모양인데, 비서원이나 비서성이나 같은 거겠지요. 걍 무시하세요. 제 기본서는 위와 같이 나와있지만 비서원이 아니라 비서성입니다. <-- 이 말은 좀 오버인듯합니다. 책마다 다르면 그럴수도 있겠네요.
4.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문제같은데요.. 걍 선종의 수행방법이라고 보심 될것 같네요.. 3번은 수조권상과 소유권상으로 학설상으도 통일되어 있지 않은 문제로 알고 있습니다.. 9급수준에서는 그렇게 복잡하게 물어올지 의문이네요.. 수조권상으로 보면 공전이고 소유권상으로 보면 사전이라는 얘기인데 저 지문만 가지고 판단하긴 어렵지 않나 싶어요..
4.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문제같은데요.. 걍 선종의 수행방법이라고 보심 될것 같네요.. 3번은 수조권상과 소유권상으로 학설상으도 통일되어 있지 않은 문제로 알고 있습니다.. 9급수준에서는 그렇게 복잡하게 물어올지 의문이네요.. 수조권상으로 보면 공전이고 소유권상으로 보면 사전이라는 얘기인데 저 지문만 가지고 판단하긴 어렵지 않나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