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기 ADHD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란?
자신의 행동을 적절하게 통제하지 못하고 부주의하며 충동적인 과잉행동을 나타내는 것을 말해요. ADHD는 적절한 행동조절에서 실패하고 주의 산만하며 충동적인 과잉행동이 12세 이전에 시작되어 최소한 6개월 이상 지속됩니다. 그리고 학교, 가정, 다른 사회적 상황에서 나타나며 사회적, 학업적, 또는 직업적 기능에 심각한 지장이 초래되기도 합니다.
ADHD는 생물학적으로 전두엽 기능의 저하와 신경전달 물질의 이상으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습니다. ADHD는 아동에서 성인으로 이어지는데요. 아동기의 ADHD 증상이 제대로 치료되지 않는다면 대체로 40%~60%가 성인기까지 지속된다는 연구가 나오고 있어요.
ADHD 성인들은 타인의 관점에 대해서 인지하는 것에 대해서 어려움을 느껴 공감에서 부족할 수 있어 사회적인 상호작용에서 과하게 행동하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정서조절에서도 곤란을 겪을 수 있는데 이는 데이트 폭력과 가정 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성인 ADHD는 자신에 대한 불신으로 회피나 미루기로 또 자신에 대한 실망으로 이어지고 자신이 무능하고 쓸모없다고 느껴 나약해질 수 있습니다. 스스로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을 가질 수 있어요. 그러나 가족과 함께 자신 스스로에 대해서 적극적인 관심과 치료를 한다면 얼마든지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어요.
성인 ADHD를 가지고 있다면?
┕주의력 유지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어요.
┕지속적으로 쉬지 않고 과제를 마쳐야하는 일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요.
┕과제가 복잡하거나 논리적인 업무, 지적인 작업에서 곤란을 겪을 수 있어요.
┕자신의 행동이 억제 되거나 구속 받는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어요.
┕두드러진 기분변화가 있어요.
┕관계유지의 어려움을 느껴요.
성인 ADHD에 대한 치료적 개입에 대해서 알아 볼까요?
1.약물요법을 권합니다.
ADHD는 뇌 세포들 간의 정보를 전달하는 물질인 신경전달물질의 기능 이상과 전두엽의 기능 저하가 있기 때문에 증상이 심각해 질수 있어요. 이로 인해 자신을 조절하고 타인을 공감하는 것에서 어려움을 느껴 대인관계에서 문제와 함께 사회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이는 자신의 자존감의 문제로 이어지게 되요. 병원에서 도움을 받아 약물 치료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2.명상, 운동, 요가에 관심을 가져 보세요.
자신의 몸에 관심을 가지고 스트레칭과 함께 운동을 해 보세요. 명상과 요가 같은 운동을 하면서 자신의 몸을 단련시키고 조절하는 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3.ADHD 증상을 줄이는 데에 음식의 역할이 중요해요
비타민과 미네랄 보충제는 일부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무엇보다도 모든 영양소가 있는 음식을 고르게 적절한 양을 섭취해 주세요. 영양의 균형은 몸의 균형을 찾아 주고 몸의 균형은 마음의 안정을 찾아줘서 생각을 잘 할 수 있게 도울 수 있습니다.
ADHD의 증상으로 카페인과 에너지 음료를 드시는 분들이 계세요. 커피, 차, 청량음료 속에 들어있는 카페인은 자극제로 작용하여 ADHD 치료에 쓰이는 자극제 약물들과 유사한 효과를 가지기도 하니까요. 그러나 실제로 카페인은 ADHD 주의력과 기억력은 개선시키지만 과잉 행동과 충동성에 대해서는 명확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음료 속 카페인은 치료용 약물로서는 역가가 낮기 때문에 용량을 증가시키면 신경과민을 유발시킬 수 있고 오히려 증상 치료에 효과가 떨어집니다. 그러기 때문에 카페인과 에너지 음료는 자제해 주시길 권합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한 가지 물건에 집착/교우 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학생
[상담 후기] >> 초등 고학년 사회성 증진 집단 프로그램 종결 후기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참고문헌
김청송.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제2판 DSM-5. 싸이앤 북스
Rita Wicks-Nelson & Allen C. Israel지음/정명숙, 손영숙, 정현희 옮김. 아동 청소년 이상심리학 제 7판. 시그마프레스.
이성직, 성인 ADHD에 대한 이해, 한국특수교육학회, Vol.2021 No.12 [2021], http://www.ksse.or.kr/
박소리 등외 2명. 성인 ADHD 성향 집단과 우울 성향 집단의
대인관계 문제와 사회인지 결함. Locality and Globality, Vol. 46 No.3 (2022),pp.35∼63
양승애. 서경현, 대학생의 성인 ADHD 성향 및 정서조절 곤란과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26권 제5호(2019. 05). 183―200, http://dx.doi.org/10.21509/KJYS.2019.05.26.5.183
Stephen Brian Sulkes, MD.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ADHD). MSD 매뉴얼2022년2월7일
*사진첨부: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김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