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 과일쥬스


날씨가 좋아지면 얇은 옷을 입게 되고 살찐 사람들은 고민이 시작됩니다
쉽고 간편한 방법으로 다이어트 해 볼까요? ^^*

곤약과 딸기를 준비합니다(과일은 제철에 나는 모든 과일도 가능합니다)

곤약은 특유의 냄새가 있으니 끓는 물에 식초 몇방울 넣어 데쳐냅니다

곤약,과일,물의 비율은 1:1:1로 하여 믹서에 갈아 줍니다
참 쉽죠 잉 ^^*
식사전에 마시면 포만감이 생겨 음식을 덜 먹게 됩니다
곤약 인절미

곤약 인절미~~☆
날씬한 재료 곤약으로 인절미를 만들어 급한 아침에 꺼내 먹으면
말랑말랑 든든한 식사 대용으로도 그만 입니다..-.-λ

곤약을 잘라 끓는물에 식초를 반수저 넣고 팔팔 끓여낸 다음~~
물기를 빼고 열오른 팬에 들들 볶아줍니다

설탕½큰술,찹쌀가루2큰술,소금약간,녹말가루 3큰술

복아낸 곤약을 도깨비 방망이로 갈아준뒤~~
녹말가루,설탕,찹쌀가루를 넣고 다시 갈아줍니다~

갈아진 곤약~ ~~그릇에 담고~

전자렌지에2분 돌린후에~뒤적여 준뒤~다시 전자렌지에 1분 돌려줍니다~
곤약이 쫀득해짐을 느낌니다 -.-♪

비닐랩에 싸서 냉장고에 30분정도 식힙니다..
냉장고에서 꺼내서 칼로 잘라 볶은 콩고물을 묻히면 끝입니다~~~☆

넘 말랑말랑 쫀득한 인절미가 되었어요~
맛도 인절미 맛하고 똑같이 맛있어요~~간식으로도 좋아요-.-λ
오늘도 덥겠어요~마음은 시원한 하루 보내세요~

식물명 : 곤약(구약)
과 명 : 천남성과(Araceae)
학 명 : Amorphophallus rivieri Durieu var. kojac (K. Koch.)Angl.
(A.. konjac K. Koch.)
영 명 : elephant foot
생약명 : 구약
이 명 : コンニャク(일본), 魔芋(중국)
|
 |

|
|
곤약은 인도지나 반도가 원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남아시아 몬순지대에서 분화된 몇 종은 식용으로 이용되고 잇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식용과 약용으로 재배 생산되고 있다. 원산지인 인도, 스리랑카로부터 중국, 한국을 경유하여 일본에 전파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중국에서는 서기 300년경의 古詩에 곤약에 대한 표현이 잇는 것으로 보아 오래전부터 재배된 것으로 추측되며 唐代에 事類全集에 인체의 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동의보감에는 변비를 치료하며, 정장작용이 있는 것으로 소개된 바 있고(이희덕,1995), 한국으로부터 일본에 전래된 것이 약 1,400년이라는 기록에 비추어 우리 나라에는 AD 6세기 전에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들어(1975) 금산지방에서 인삼후작으로 재배된 바 있으며, 예산, 제천, 홍천 등에서 소규모 재배되었다.
일본에는 欽明 때(약 1,400년 전) 한국으로부터 전래되었고 그후 다시 중국에서 도입되었다고 하는데 경제작물로 장려 보급된 것은 1505년경이다. 주산지인 群馬縣에서는 茂木正峯이 종구를 도입하여 재배를 권장하였고, 그후 종구 저장기술을 보급하였으며, 明治초기에 原久吉가 가공기술을 도입하여 茨城縣의 久慈지방 南牧村에서 搗精用水車를 개량하여 정분가공을 시작하였다고 한다. 鎌倉시대에 日本僧侶 玄惠은 곤약을 된장에 풀어 삶은 것을 唐傳來의 간식이라 하였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和食 '오뎅'의 시초라고 한다.
|
형태 |
|
 |
다년생 초본으로 구경의 위쪽 중앙에서 잎이 나와 길이 1m 정도 지름 2.0∼2.5cm 자란다. 잎은 3개로 갈라지고 다시 2∼3개로 갈라지며 엽병은 원주형이고 연한 녹색으로서 연한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열편은 다시 우상(羽狀)으로 갈라지고 축에 불규칙한 날개가 있다. 소열편은 난상 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꼬리처럼 길게 뾰족해지며, 엽면에 털이 없고 밑부분은 예저로서 길이 4∼8cm이다.
|
|
4∼5월에 화경이 나오며 화경은 길이 1m 정도로서 밑부분에 2∼3개의 비늘 같은 잎이 달리고 끝에서 길이 30∼50cm의 육두화서가 발달한다. 佛炎苞(spathe)는 깔대기 같은 통형이며 암자색으로서 겉에 털이 없고 안쪽 밑에는 잔돌기가 있다. 밑부분에 암꽃, 윗부분에 수꽃이 연속해서 달리는 자웅동주로 끝이 화서보다 훨씬 길게 자라고 암자색으로 상부에는 장대한 부속체가 있으며 꽃은 爐頭狀과 憧狀으로 암자색의 불염포에 쌓여있고 개화시에는 육질로부터 악취가 난다(이희덕, 1995). 장과는 7월에 옥수수처럼 밀착하여 황적색으로 익는다 (정태현. 1980. 대한식물도감).
|
생장발육 |
|
|
구경을 심으면 종구는 양분으로 소모되고 위쪽 중앙에 새로운 작은 구경이 형성되는데, 거기에서 잎자루와 뿌리가 발생한다. 이 자구는 3년만에 모구의 4∼5배 가량이 증체 되고 4∼5년째 몸에는 잎 대신 화아가 형성되어 개화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 종자가 결실되지 못하여 번식은 주로 구경 둘레에 생긴 자구를 이용한다. |
곤약의 실생재배연수와 발육 (이희덕, 1995)
재배
연수 |
키
(cm) |
잎넓이 (cm) |
구경수 (1주) |
구경중 (g/주) |
증체율 (배) |
1년 2년 3년 4년 |
12 21 35 53 |
6.1 12.5 25.0 33.0 |
1.0 1.2 3.0 5.6 |
6 35 185 800 |
- 5.8 5.3 4.3 | |
구경은 저장기관으로 줄기가 극히 단축된 것으로 구형 또는 편평한 형태를 나타내는데, 갈색의 표피를 보이는 피층부와 수층부로 구성되며 수층부에는 다수의 만난(mannan)세포가 분포되어 있고 이곳에 주성분인 만난이 축적되어 있다. | |

|
|
|
|
구약의 구경은 수분이 75∼83%, 탄수화물 11∼14%, 단백질 2∼4.5%로 이루어져 있는데, 糊料의 주성분은 다당류인 만난이며, 일명 곤약만난인 이 당은 유조직의 특정세포에 함유되어 있다. 곤약만난의 농축물을 정분이라 하는데 정분의 주성분은 glucomannan으로 곤약의 탄수화물은 99%가 글루코만난이다. 글루코만난은 5단당인 manose와 2탄당의 glucose가 결합된 당이다.
글루코만난은 위에서 흡수되지 않고 최장에서 mannolyticus가 분비하는 mannase에 의해 분해 소화되며, 곤약 정분은 물을 흡수하면 크게 팽윤하고 점도가 높은 콜로이드상을 형성하는 특성이 있어 조금 먹어도 만복감을 주며, 소화흡수가 적은 저칼로리, 저당 식품이다. 더욱이 정분 중의 식물 섬유소는 장내 유독물질과 콜레스테롤을 흡착하여 빨리 배설하고, 보수성이 좋아 용적을 크게 함으로써 장운동을 조절한다.
따라서, 곤약정분은 소장에서 당질의 소화흡수가 늦어 혈당의 상승이 억제됨과 동시에 발암성 유해 물질의 흡수를 억제고 배설을 촉진하여 변비를 치료하며 암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약감자의 정분을 장시간 복용함으로써 소종, 갑상선암, 부인암등의 치료 효과가 있다고 보고 된 바 있고, 식물섬유인 구약감자 식품은 변비개선, 콜레스테롤 상승억제, 고혈압, 혈당하강, 대장암 등이 임상 실험 결과에서 그 효과가 입증된 바 있다(이희덕, 1995).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