夫佳兵者 不祥之器 物或惡之 故有道者不處 부가병자 불상지기 물혹오지 고유도자불처 君子居則貴左 用兵則貴右 兵者不祥之器 非君子之器 군자거즉귀좌 용병즉귀우 병자불상지기 비군자지기 不得已而用之 恬淡爲上 勝而不美 而美之者 是樂殺人 부득이이용지 염담위상 승이불미 이미지자 시락살인 夫樂殺人者 則不可得志於天下矣 부락살인자 즉불가득지어천하의 吉事尙左 凶事尙右 偏將軍居左 上將軍居右 길사상좌 흉사상우 편장군거좌 상장군거우 言以喪禮處之 殺人之衆 以哀悲泣之 戰勝以喪禮處之 언이상례처지 살인지중 이애비읍지 전승이상례처지
의역: 전쟁을 아름답게 여기는 것은 상서롭지 않으며, 추악한 것이다. 따라서 道를 따르면 전쟁에 머물지 않는다. 군자는 도를 따르기에 왼쪽에 거함을 귀하게 여기고, 용병은 오른쪽을 귀하게 여긴다. 병기란 상서롭지 못한 기물이며 군자가 다룰 물건이 아니다. 부득불 사용해야 한다면 조용히 담담하게 하는 것이 최상이다. 전쟁에서 이겨도 추한 것이며 만약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즐거워한다면 살인을 즐기는 것이다. 함부로 살인을 저지르는 자는 天下(道)의 뜻을 얻지 못한다. 전쟁하지 않는 것을 우선순위에 두기에 길사는 왼쪽에, 흉사는 오른쪽에 오르며, 편장군은 왼쪽에 상장군은 오른쪽에 거한다. 전쟁으로 백성들이 다치고 사망하니 전쟁은 상례로 처리해야만 하는 것이다. 백성들이 죽어 나갔으니 비통하게 슬피 울어야 하며 승전조차도 상례로 여겨야 한다. |
老子는 통치, 병법을 다룬 것이 아니다. 앞으로 나오는 군사와 통치의 내용을 살펴보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31章에서는 병기가 나온다. 먼저 이해할 것은 左右의 개념인데 좌측이 우측보다 더 중요하다. 따라서 일을 처리하는 우선 순위를 표현한 것으로 사람이나 사물의 배치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다.
夫佳兵者 不祥之器 物或惡之 故有道者不處(부가병자 불상지기 물혹오지 고유도자불처) 전쟁을 아름답게 여기는 것은 상서롭지 않으며, 추한 것이다. 따라서 道를 따르면 머물지 않는다. 道가 있는 곳에는 전쟁할 리가 없다는 것이다.
君子居則貴左 用兵則貴右(군자거즉귀자 용병즉귀우)
군자가 거함에 왼쪽을 귀하게 여기고, 용병은 오른쪽을 귀하게 여긴다. 왼쪽과 오른 쪽이 지칭하는 것은 중요도를 설명하는 것이지 배치가 아니다. 君子가 왼쪽에 좌하는 이유는 道를 중시하기 때문이다. 즉, 전쟁하지 않는다. 용병은 반드시 전쟁하는 것을 암시한다. 따라서 절대로 우선순위에 둘 수 없다. 이 문장을 오해하여 반드시 왼쪽에는 왕이 오른 쪽에는 군대가 있어야 하는 것이 禮나 법도라는 식의 해석은 황당하다. 老子는 禮를 흉하다고 본다.
兵者不祥之器 非君子之器 不得已而用之 恬淡爲上(병자불상지기 비군자지기 부득이이용지 염담위상) 병기란 상서롭지 못한 기물이며 군자가 다룰 물건이 아니다. 부득불 사용해야 한다면 조용히 담담하게 하는 것이 최상이다. 전쟁하지 말라는 것이다. 어떻게 전쟁을 조용히 담담하게 하는가?
勝而不美 而美之者 是樂殺人(승이불미 이미지자 시락살인)
전쟁에서 이겨도 추하며, 만약 아름답다고 한다면 살인을 즐기는 것이다. 전쟁에서 이겼다고 즐거워할 일이 아닌 이유는 백성들이 상하기 때문이다.
夫樂殺人者 則不可得志於天下矣(부락살인자 즉불가득지어천하의)
기꺼이 살인을 저지르는 자는 천하의 뜻을 얻지 못한다.
吉事尙左 凶事尙右(길사상좌 흉사상우)
길사는 왼쪽에 오르고 흉사는 오른쪽에 오른다. 길사를 왼쪽에 올린다는 뜻은 전쟁하지 말라. 죽이지 말라는 뜻이다. 길사가 아니기 때문이다. 전쟁하지 않는 것이 무조건 우선이다.
偏將軍居左 上將軍居右(편장군거좌 상장군거우)
편장군은 왼쪽에 상장군은 오른쪽에 거한다. 편 장군이 왼쪽을 차지한다는 뜻은 지위가 낮은 사람이 더욱 중요한 곳에 처하고 상장군이 덜 중요한 곳에 자리한다. 이 표현도 전쟁하지 말라는 뜻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왼쪽이 일의 우선순위다. 반드시 그것을 먼저 해라.
言以喪禮處之(언이상례처지)
전쟁을 상례로 처리함을 말함이라. 전쟁으로 백성들이 사망하여 흉사니, 상례로 처리할 일이지 전쟁에서 이겼다고 향연을 베풀 일이 아니며 그런 짓은 살인자나 하는 것이다.
殺人之衆 以哀悲泣之 戰勝以喪禮處之(살인지중 이애비읍지 전승이상례처지)
백성들이 많이 죽어 나갔으니 비통하게 슬피 울어야 하며 승전을 상례로 여겨야 하느니.
이런 표현에서 兵法을 운운한다면 老子의 주장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다. 老子의 주장은 명료하다. 백성을 죽이지 말라는 것이다. 王은 백성 죽일 권한을 부여받지 않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