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사 및 여행사 실무용어
● Agent : 여행사, 항공권 판매대리점, 화물운송대리점
● Air Fare : 항공요금
● Airport Tax : 공항세
● Audio Service : 음악 감상 설비
● Attendant : 동반자
● Aisle Seat:통로편의 좌석(반)window seat 창가좌석
● Baby Bassinet : 기내용의 유아요람, 항공기 객실앞의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임
● Baggage : 관광자가 관광할 때 소지한 짐으로써 Checked Baggage와 Unchecked Baggage가 있다.
● Baggage Check : 관광자의 위탁화물 운송을 위해 항공권의 일부로 발행된 부분을 말하며 항공회사가 관광자의 위탁화물 영수증으로 발행한 것이다.
● Boarding Pass : 탑승권, 공항에서 탑승 수속시 항공권과 교환하여 관광자에세 주는 탑승표로써 비행기 편명, 관광자 성명, 좌석번호, 목적지, 탑승시간, 탑승계이트 등이 적혀 있다.
● Beverage : 식.음료수
● Carrier : 항공회사
● Counter: 여행사에서는 항공권 예약, 발권업무 항공사에서는 항공카운터의 업무를 나타낸다.
● Commission: 수수료
● Confirm Sheet: 현지여행일정과 포함내역이 표시되어 있는 확정서
● Confirmation : 예약의 확인
● Complain: 손님들의 불평, 불만의 총칭
● Checked Baggage : 관광자가 항공관광시 화물로 붙이는 짐.
● Connection Time : 연결 항공편을 갈아타는데 필요한 시간.
● Child Fare : 만 2세 이상 12세 미만 관광자에게 적용되는 항공요금
● Continuing Itinerary : 여정이 두 개의 도시간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제 3,4로 이어지는것.
● Charter Flight : 대절항공기, 전세항공기
● Day bed :낮잠용 침대. 주로 발코니에 설치된 임시침대를 말한다.
● Delay : 비행기나 열차등이 예정된 시간보다 늦는 것
● Destination : 관광의 최종 목적지, 관과의 완료지점, 왕복 또는 일주인 경우에는 목적지와 출발지가 동일지점이 된다.
● Domestic Flight : 국내선
● Double Booking : 중복 예약
● Down Grade : 등급의 변경, 상위에서 하위 등급으로 변경하는것
● Duplicate Reservation : 줄임말로 듀프라고 하며, 여행자가 중복하여 예약되어 있는 경우. 여행객이 항공권을 끊기위해 여러여행사에 예약할 경우 발생함
● Deposit : 예약금
● Direct Flight : 직행편
● Escort: 해외여행인솔자
● Economy Class (E/Y) : 일반적으로 비행기에서 제일 낮은 등급의 좌석
● Fam Tour:각 관광청, 여행사에서 홍보를 위하여 여행업계 직원들을 초청하여 진행하는 투어
● E/D Card(Embarkation/Disembarkation Card) : 출입국 기록 카드
● Estunated Time Of Arrival (ETA) : 예정 도착시간
● Estimated Time Of Departure(ETD) : 예정 출발 시간
● Enterance Visa : 입국사증
● Extension : 연장
● Extra Section : 정기편 이외의 부정기편
● Firs Class(F/C) : 일등실
● Flight : 비행, 항공편
● Free Baggage Allowance : 무료수화물 계용량 관광자운임의 지불에 대하 그 이상의 지불을 받지 않고 운송되는 일정량의 수화물. 일반적응로 F/C운임지불 관광자는 30kg E/Y운임지불 관광자는 20kg, 태평양 노선은 2개의 짐을 무료로 운송할 수 있다.
● Flight Number : 비행기 번호
● Fuel Surcharge 유류할증료. 최근 국제기름값이 치솟은 결과 만들어진 요금제도이다.
● Gate : 탑승구
● Group Fare : 단체운임
● Gardenview Room :정원전망 방
● Hand Carry Baggage승객이 가방을 가지고 기내에 탑승하는 가방
● Invoice: 여행요금 청구내역서
● Inspection: 여행사 직원들이 여행일정, 호텔부대시설, 식사 등을 사전 답사하는 과정
● Incentive Tour:아는 사람들이 한 그룹을 만들어 여행하는 형태. 일반적으로 맞춤여행 성격이 짙다.
● Itinerary: 여행일정표
● IATA :국제항공운송협회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의 약어로서, 시계항공회사의 단체로서, 1945년 4월에 아바나에서 결성되었다.
● Immigration : 출입국 심사
● Infant Fare : 유아운임, 국제선에서는 2세미만으로서 좌석을 확보하지 않은 때에는 보통운임의 10%, 확보할 때에는 50%이다. 국내선에서는 3세 미만은 무료이다.
● Individual : 개별여행객. 흔히 인디비라고 부른다.
● Land: 현지 여행사
● Land Fee: 현지에 지불할 여행 비용으로 지상비라 부른다.
● Local Guide: 현지외국인안내원
● Local Time : 현지시간
● Lost and Found : 공항이나 역에 있는 유실물 취급소
● Mis-Connection : 바꾸어 탑승할때 접속지점까지 수송하는 항공편이 지연하거나 결항하여 예정된 항공편에 탑승하지 못하는 것을 말함
● No Guide: 현지에서 가이드 없이 T.C가 가이드 역할을 동시에 하는 형태
● No Record(NOREC) : 관광자가 탑승수속시 예약된 Ticket을 제시했으나 항공사쪽에는 예약을 받은 기록이나 좌석을 확인해준 근거가 없는 상태를 말함.
● No Show (NOSHO) : 여행객이 예약취소를 하지 않는체로 예약편에 탑승하지 않는 것
● Non-Smoking Seat : 금연석
● Oceanview Room : 바다전망 방
● OP: Operator의 약자로 여행상품 상담, 기획, 예약, 섭외등을 담당하는 사람을 나타낸다. 좁은의미로는 사무실직원을 지칭한다.
● Option: 선택관광
● Open Ticket : 사전예약이 되어 있지 않는 항공권을 말함. 항공권은 유효함
● Over Booking : 어떤 비행기나 호텔이 판매가능한 수보다 더많은 관광객의 예약을 접수한 상태.
● Over-Weight Baggage : 초과화물
● Over Collection : 과징금
● Package Tour: 미리짜여진 일정으로 같은 여행지를 같은 날짜에 서로 모르는 사람들이 만나서 여행하는 여행형태
● Passenger (PAX) : 관광자, 승객, 여객
● Passenger Fare : 여객운임
● Poolview Room :풀장전망 룸
● Pregnent Woman : 임산부
● Quarantine : 검역
● Reconfirmation : 좌석예약의 재확인. 관광자가 관광도중 어느 지점에서 72시간 이상 체재하는 경우 늦어도 항공기 출발 72시간 전까지 부재 또는 계속편에 대한 예약을 재확인해야 하는 규칙
● Reissue : 항공권의 재발행. 이미 발행된 항공권을 여정변경, 항공사 변경, 좌석 등급 변경 등의 사유로 차액을 징수 혹은 지불하여 재발권 해주는 행위
● Rooming List: 손님들의 방배정이 나타나 있는 서류
● Refund : Ticket 의 미사용분에 대한 금액을 구매자에게 환불해 주는것
● Rerouting : 항공권에 기재된 탑승예정의 경로를 변경하는 것을 말함
● Reservation : 좌석예약, Booking와 동의어
● Round Trip : 왕복 관광
● Seaview Room : 바다전망 방(=Oceanview room)
● Security Check : 기내에 위험물을 갖고 들어가는 것을 막기위해 탑승전에 행하는 검사
● Special Fare : 특별운임
● Stand By : Go Show라고도 하는데 예약없이 지정된 Check-In 지역에 나타나서 재석상황에 따라 좌석을 배정받게 되는 관광자를 의미한다.
● Stopover : 도중체류 관광자가 항공회사와의 사전에 정하여 출발지와 목적지 중간 기착지에서 체류함을 뜻함.
● Student Fare : 학생운임
● Travel Cerificate : 여행증명서, 임시 여권
● T/C: Tour Conductor 해외여행인솔자
● T/L: Tour Leader 해외여행인솔자
● Tour Guide: 여행안내원 모든 여행안내원을 의미한다. 그러나 여행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외국 현지에 있는 가이드를 지칭하기도 한다.
● Transit Passenger : 타국에로의 통과목적만으로 공항에 입국하는 통과 여행객
● Travellers Check : 여행자수표. 만일 도난당해도 재발급할수 있어 넓게 사용된다.
● Transit Visa : 통과사증
● Transit Without Visa : 무사증통과
● Travel Agency : 항공대리점
● Up Grade: 비행기 좌석이나 호텔 그리고 식사등 여행을 구성하는 요소를 한 단계 수준을 높여서 진행 하는 것
● Voucher: 현금대신 사용되는 것으로 약속어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바우쳐는 업체간 계약을 맺고 신뢰가 쌓여야만 발행이 가능하다.
● Waiting List : 대기자 명단
● Waiting Room : 대기실
● Window seat 창가좌석
● 경유지 _ Intermediate point
항공기가 운송상이나 기술상의 목적으로 정기적으로 착륙하도록 지정된 중간지점. 경유지에서 승객에서은 자사나 타사의 접속편으로 옮겨 타거나 stopover를 할 수 있다.
● 공항코드 _ Airport Three Letter Code
현재 국가를 분류하는 코드로서 국제표준 규격인 ISO 3166-1(ISO 3166-1-Alpha-2 code elements)는 2자리 코드로 2001년 현재 239 국가가 공식적으로 등록되어 있다.
● 국제표준시 _ greenwich mean time(GMT)
영국 그리닛치 천문대를 통하는 자오선에서의 평시를, 세계공통의 표준시각으로 한것. 항공기 운항이나 항공관제에서 통상적으로 GMT가 사용된다. Z(주르)로 표시된다.
● 기내반입수하물(휴대 수하물) _ Hand-carry baggage
가로, 세로, 높이 합이 115cm이내 되는 것으로 승객이 항공기내로 직접 운반하여 보통 좌석밑이나 선반에 올려 놓을 수 있다.
● 도심 터미널 _ City Terminal
공항 외에 시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공항 터미널
● 스탠바이 _ Stand By go show
라고도 하는데 항공예약없이 공항에서 탑승대기자로 등록하는 경우를 말하며 좌석상황에 따라 좌석을 배정받게 된다. 성수기, 명절 등 특별히 어려운 경우를 제외하고는 탑승하는 경우도 있다.
● 스톱오버(중간기착)
Stop-over 장거리 노선의 경우 비행기의 급유와 승무원 교대, 기체점검 등으로 약 1시간 가량 중간기착지에 머무른다. (국내선-4시간 / 국제선-24시간이상) 보통 공항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24시간 이내면 transit이고 그 이상이면 STOP-OVER로 분류되며 stop-over의 경우 공항이 있는 도시에서 시내관광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실제도착시간 _ Actual time of arrival(ATA) 실제 비행기가 도착하는 시간
● 실제출발시간 _ Actual time of departure(ATD) 실제 비행기가 출발하는 시간
● 안전벨트(안전띠) _ Safety belt
기내 좌석에서 승객의 안전을 위한 장치로서 보통 이륙, 착륙, 기상변동으로 인한 흔들림시에는 안전벨트 착용 경고 등이 뜨며 안전을 위하여 계속 착용하는 것이 좋다.
● 예약 초과 _ Over Booking
항공사에서 예약 승객이 공항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고 효율적인 항공좌석의 판매를 위해 일정한 비율의 승객에 대해 실제 판매가능 좌석 수보다 초과하여 예약을 받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공항에서 먼저 탑승수속을 하야야만 안전하다.
● 오픈티켓 _ Open ticket
보통 돌아오는 날짜를 구체적으로 정하지 않고 예약한 항공권을 오픈티켓(Open ticket)이라고 한다. 6개월이나 1년 등 장기 해외 여행일 경우 돌아오는 정확한 날짜를 지정하기 힘들고 변경하기 힘들기 때문에 돌아오는 날짜를 임의로 지정하셔서 우선 예약하고 현지에서 동일한 항공권으로 오픈기간에 한해서 승객이 변경 예약하여 탑승 할 수 있다.
● 유실물 취급소 _ Lost and Found 공항이나 역에 있는 유실물 취급소
● 중간기착(스톱오버) _ Stop-over
장거리 노선의 경우 비행기의 급유와 승무원 교대, 기체점검 등으로 약 1시간 가량 중간기착지에 머무른다. (국내선-4시간 / 국제선-24시간이상) 보통 공항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24시간 이내면 transit이고 그 이상이면 STOP-OVER로 분류되며 stop-over의 경우 공항이 있는 도시에서 시내관광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출국수속 _ Boarding
자신이 구매한 항공권을 예약한 항공회사의 체크인 카운터에서 항권권을 제시하고 탑승권(Boarding pass)으로 바꾸는 절차를 말한다. 카운터에서 여권, 항공권과 여행 짐을 제시하면 해당 여행 항공권을 뜯어내고 탑승권과 남은 항공권, 도착지에서 짐을 수거할 수 있는 꼬리표를 받는다.
● 출입국신고서 _ EMBARKATION / DISEMBARKTION ICAO
표준절차에 의거하여 해외 여행자가 출입국시에 의무적으로 기입해서 제출해야 하는 양식이다. 국가에 따라서 신고서의 크기, 양식 등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공항에서 탑승수속시나 도착전 기내에서 받을 수 있다.
● 코드쉐어(좌석공유) _ Codeshare
코드쉐어는 항공사간에 특정 구간의 좌석을 일정부분 공동으로 사용 하는 방법으로 각 항공사가 자사 항공기를 직접 투입하지 않고도 운항하는 것과 같은 운영을 할 수있다. 아시아나의 경우는 중국남방항공, ANA 등 여러 항공사와 코드쉐어를 하고 있다.
● 현지시간 _ Local Time 항공여행의 도착지(국가, 도시 등)인 현지의 시간
● 화물기 _ Cargo aircraft 승객 이송을 위한 여객기가 아닌 상품 또는 화물을 수송하는 항공기.
● 환승(갈아타기) _ Transfer
도착지 이전에 중간 기착지에서 다른 비행기로 갈아타는 것을 의미하며 갈아탈 수 있는 표는 Transfer ticket이라 한다. 이때 갈아타면서 기내에 두고온 물건이 없도록 주의하며 수하물이 없어지는 경우가 있으니 반드시 짐꼬리표(Baggage Tap)를 확인해야 한다.
출처 : 아시아나항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