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안녕하세요
120제 63p 1번 문항의 경우 생산함수가 레온티에프 함수인 경우에 조건부노동수요함수를 도출해서 MPL을 구하고 이를 통해 MRPL의 값을 구하여 노동수요곡선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풀었지 않습니까?
그런데 여기서 조건부노동수요함수를 이용해서 푸는 것은 단지 생산함수가 레온티에프 함수여서 생산함수에서 미분을 통해 바로 MPL을 도출할 수 없기 때문에 조건부노동수요함수 도출이라는 우회적인 방법으로 도출했다. 이렇게 이해해도 될까요?
제가 이 지점이 궁금한 이유는 만일 생산함수가 콥더글라스 생산함수였다면 Q로 미분을 통해 바로 MPL을 도출할 수 있으므로 따로 조건부노동수요함수를 도출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서 입니다.
궁극적인 질문의 요지는 노동수요함수를 도출함에 있어 조건부노동수요함수를 반드시 도출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생산함수의 특징에 따라 생산함수에서 바로 MPL을 도출할 수 없는 경우에 한하여 우회적인 방법으로 조건부노동수요함수를 도출하여 노동수요함수를 구한다 이렇게 이해해도 될런지요
첫댓글 네, 맞아요.
그런데 재화시장 경쟁이면 아무래도 상관없어요.
가격이 불변이니까, Q에 따라 노동을 어떻게 변화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논리는 다르죠.
그리고 노동시장의 수요곡선은 자본이 불변임을 가정하여 유도된 것이므로 단기의 상황이라면 당연히 상관없고요.
조건부노동수요함수를 반드시 도출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장기의 경우는 K도 조절함을 가정하여 L을 사용하는 조건부요소수요함수가 나오는 것이므로 차이가 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