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삼보사찰
우리나라 불교의 자랑이라고 할 수 있는 삼보사찰(三寶寺刹)은 각각 불, 법, 승의 삼보(三寶)를 상징하는 사찰이다. 경상남도 양산의 통도사(通度寺), 합천 가야산의 해인사(海印寺), 전라남도 순천의 송광사(松廣寺) 셋을 가리킨다. 삼보는 불교의 신행 귀의대상인 불(佛) · 법(法) · 승(僧)을 가리키는 말로서, 통도사가 불, 해인사가 법, 송광사가 승에 해당한다.
○ 불보사찰(佛寶寺刹)
신라시대 자장율사가 창건한 양산 통도사는 부처님 몸에서 나온 사리와 가사가 모셔져 있는 불보사찰이다. 부처님께서 설법하시던 인도 영취산의 맑은 기운이 그대로 통한다 하여 통도(通道)라 이름하고, 부처님의 가르침으로 모든 사람들을 구제한다는 뜻에서 통도사라 한다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탑이 법당 뒤에 있으므로 우리나라 불보종찰인 통도사 대웅전에는 따로 불상을 모시지 않는다.
○ 법보사찰(法寶寺刹)
신라시대 순응, 이정 두 스님이 창건하였다는 합천 가야산의 해인사는 부처님의 가르침인 경전을 목판에 새겨놓은 고려대장경을 모시고 있는 법보사찰이다. 해인(海印)이란 모든 사물의 그림자가 넓고 큰 바다에 거울처럼 두루 비치듯이 부처님의 드넓은 지혜의 바다에 온갖 법이 나타난다는 뜻이다.
해인사 장경각에는 고려대장경판이 여러 차례 화재에도 불구하고 잘 보존되어 있다. 해인사는 부처님의 일대 선법을 모신 법보종찰이므로 대장경각은 대웅전 뒤 제일 높은 위치에 모셔져 있다.
○ 승보사찰(僧寶寺刹)
신라시대 혜린선사가 창건하였다는 순천 조계산의 송광사는 예부터 덕높은 국사를 많이 배출하여 그 국사들의 영정을 모신 승보사찰이다. 송광(松廣)이란 송광사가 자리잡고 있는 조계산에서 열여섯 분의 훌륭한 스님이 나와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폈다는 전설에서 유래하고 있다.
고려시대 보조국사 이후 진각, 청진, 진명국사 등 열여섯 분의 영정이 국사전에 모셔져 있다. 국민과 나라에 큰 가르침을 펴신 스님들이 많이 나온 곳이므로 송광사를 승보종찰이라 부르며, 대웅전 뒤에는 종사가 설법하는 설법전 즉, 승보전이 있다.
[출처] 우리나라의 삼보사찰|작성자 일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