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팔공산의 전통찻집 2
2005. 11. 9. 수요일.
대구 3일째 체류하는 저녁에도 다시 팔공산(八空山) 쪽으로 갔지만 산에 오를 엄두를 내지 못했다.
노태우 전 대통령이 살았다던 산촌 쪽으로 나갔다.
길가에 서 있는 고목으로 보아 마을이 오래된 듯싶었으나 또한 가난해 보였다.
할머니 몇 명이 길가에서 말라비틀어진 모과 몇 알, 뜯은 지 오래된 나승게(냉이), 산수유 열매 몇 그릇을 겨우 팔고 있었다.
일행 중 추 중령이 장식용 꽈리 두 덩어리를 샀다.
동화사(桐華寺) 방향을 따라 차를 몰면서 관광도로에 줄지어 선 단풍나무를 스치듯이 쳐다보았다.
작은 계곡이 보이는 좁은 주차장에서 멈췄다.
굴다리 아래 석축으로 높게 쌓아 올린 터에 민간 펜션이 들어서고 있었다.
개울물이 흐르는 길 옆 민가 음식집에서 막걸리를 마시고 쓰디쓴 김치쪼가리로 안주했다.
다시 시내 쪽으로 되돌아오면서 상호 간판 '매골식당에 다시 들르겠다'며 핸드폰으로 꿩고기 요리를 주문했다.
까투리* 두 마리의 날개쭉지를 찢어내면서 털을 뽑는 늙은 여주인.
주인집 예쁜 딸은 꿩고기를 그릇에 담고.
"어제 난로 위에 고구마 굽는 거 보았습니다. 오늘은 고구마 구워 먹으려고 왔으니 몇 개 구워 주세요."
생고구마를 장작불 잿더미 속에 파묻었다.
'꿩고기 샤부샤부'로 저녁을 먹는 동안에 고구마도 익어갔다.
씨앗 하려고 계곡 아래 길에서 거둔, 설익은 콩깍지 다섯 개도 잿불 속에 묻어 두었다. 자줏빛 나는 콩인데도 이름을 몰랐다.
매골식당
토종닭, 방목 염소
대구 동구 중대동 053-543X, 011-51X, 715X, 011-509-622X
여주인 이선이
전통찻집에는 또 손님이 없었다.
"지나가는 길에 또 들렀습니다."
입담 좋은 추중령이 구운 고구마 한 개를 여주인에게 내밀었다.
"매골에서 꿩고기 드셨어요? 가는 길에 저도 데리고 가셨더라면......."
서운해하는 음다소 여주인.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 여주인은 불교에도 조예가 깊은 듯했다. 스님과 절친한 것 같았고, 물욕이 없는 듯했다.
"밤 몇 알 구워 먹을까요?"
작업실 탁자 위에 놓여 있던 밤 한 됫박을 본 내가 말했다.
난로 위에 밤이 그득히 올려졌다.
밤껍질이 검게 타는 냄새, 밤 익는 냄새.
"객지에 나온 사람은 돈이 떨어져 찻값도 부담스러워하므로 차값만큼은 싸게 받는다"라며 자기의 영업방침이라고 말했다.
메밀로 끓인 차맛이 달짝지근했다. 다도(茶道)를 배웠다며 우리 일행에게 차 마시는 방법을 간단하게 시범을 보여주었다. 같은 차라도 여러 번 끓일 때마다 차맛도 조금씩 다르다고 했다. 차를 많이 마시면 피부가 고아지고 위장병도 낫는다고 했다.
우리 일행 다섯 사람이 마신 하룻밤의 찻값은 고작 1만원이거나 만여 원을 살짝 넘었다. 찻값을 더 주려고 해도 여주인은 마다했다. 그 덕분에 우리 일행 다섯 명이 사흘간 여러 가지의 풀잎차를 몇 잔씩 더 마실 수 있었다.
음다소(飮茶所) 전통찻집
대구광역시 동부 지표동 625
010-4670-789X
다기, 생활다기 도매·산매
여주인 황금옥
여러 종류의 차도 우편택배한다.
대구 파계교 교차로에서 파계사(把溪寺)방면으로 2.6km 전진.
금산주요소, 고향식당을 막 지난 뒤 오른쪽 길목에 위치.
날마다 출장 일과가 끝난 뒤 저녁경에 팔공산 부근으로 사흘째 밤나들이 나갔다.
허름한 전통찻집에서 여담을 즐기고 난 뒤 군숙소로 돌아왔다.
"인연이 닿으면 또 만나겠지요."
음다소(飮茶所) 여주인의 말이 오랫동안 귓가에 맴돌겠다.
2005. 11. 12. 토요일.
* 까투리 : 암컷인 꿩
* 컴퓨터 소프트 시스템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부하 직원들과 함께 대구 군부대로 출장 나갔던 여정의 일기장.
////////////////////////
오늘은 2024. 3. 19. 화요일.
2005. 11. 7 ~ 9.까지 일기 가운데 마지막 날의 일기이다.
전화번호와 이름은 보안상 감췄다.
일기를 쓴 지도 만18년이 더 지나갔다. 이제는 기억조차 희미해진다.
컴퓨터 소프트시스템 구축사업으로 부하 직원들과 함께 대구지역 군부대로 출장갔던 옛일을 회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