辛 壬 戊 丙 乾
亥 子 戌 申
69 59 49 39 29 19 8,8
乙 甲 癸 壬 辛 庚 己
巳 辰 卯 寅 丑 子 亥
유명 역술인
壬寅/己卯43 관재수가 생겨 구속되었다.
출처: 역학동(무학 님), 2014년. 자료의 일부만 게재.
* 명운을 대할 때, 역술인들이 가장 먼저 하는 일이 뭘까?
아마도 '격국 보는 일'일 것이다.
그런데 만약 "나는 격국을 보지 않는다."라고 말한다면
"그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어떻게 격국을 보지 않고 간명할 수 있느냐?"라고 반문할 분이 많겠다만
필자는 격국이 길흉을 좌우하지 않는다는 걸 잘 알기에, 보지 않는다.
그러나 격국 보는 사람들을 틀렸다고 평가할 생각은 없다. 자기 나름의 간법이니까.
십신법은 격국이나 용신을 보지 않는다. 개인의 주관이 개입하기 때문이다.
"그럼 도대체 뭘 보며, 뭘 보고서 길흉을 판단하는가?"
"십신법은 원국 분석과 운세 분석, 이 두 단계로 간명한다."
"그리고 십신법은 십신 기운의 증감을 근거로 하여 길흉을 판단한다."
위의 사주에서 壬寅 대운은 보다시피 관성의 기운을 약화하고 있다. 寅이 戌을 극하니까.
그러므로 이 시기에는 관성(명예)의 기운이 약해지므로 관재수(낙직, 구설수)가 생길 수 있다고 본다.
십신법으로는 그렇게 판단한다.
"기신 칠살 戌을 극하므로 오히려 운이 좋겠다." - 이런 식으로 희기신 관점으로 접근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戌이 기신인지 희신인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설사 스스로 기신으로 판단했다 하더라도, 그걸 누가 인정해 주겠는가?
"네가 보기엔 기신이지만, 내가 보기엔 희신이다."라고 우기면 어쩌겠는가? 설득이 안 되는 것이다.
개인의 주관이 개입한다는 게 그 얘기다.
그러므로 굳이 기신인지 희신인지 논쟁할 필요가 없다.
壬寅 대운의 암시는 그렇다. 그렇다면 己卯년 태세는 어떨까?
마찬가지이다. 관성의 기운이 더욱 약해진다. 그래서 명주가 관재수를 겪게 된 일이 풀이가 된다.
십신법이 객관성 있는 간법인 이유가 위와 같다.
"그러면, 무인년은 왜 그냥 지나갔느냐?"
아마 무인년부터 그런 말썽이나 조짐이 있었을 개연성이 크다고 보겠다.
명운을 감정하는 일은 위의 사례처럼 간단한 것도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것이 더 많다.
부단히 연구해야 한다.
십신법으로 풀이한 사례를 하나 올렸다만, 이게 완벽한 간법이다 라고 감히 얘기할 수는 없다.
더 나은 간법이 얼마든지 있을 수 있으니까.
첫댓글 인당님 안녕하세요. 게시글 보면서 궁금한 사항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위 일간을 예로들어 갑진년처럼 천간 지지로 식상 관성이 오는 경우 천간 중심인지 지지 궁심인지 궁금합니다. 예전 게시글에서 잠시 언급하신 바로는 그래도 지지를 우선으로 보신다 하셧든것 같은데요. 그렇게 볼 수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아니면원국 천간으로 관성이 있어 말썽이 있을수 있다고 보는지 궁금합니다.
甲辰년은 甲이 辰을 만나므로 천간과 지지가 생극을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조심해야 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물론 대운을 같이 고려해서 판단해야 합니다. 만약 대운이 甲을 극해 준다면 辰이 다칠 일은 없겠지요.
운을 볼 때는 원국의 간지, 대운의 간지, 태세의 간지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야 한다고 봅니다.
@인당 전우창 대운에서 갑이 생하는 정화 병화와 같은 천간 화운을 만난거면 천간 지지의 흐름으로 목생화 화생토가 가능할까요 천간 지지를 한덩어리로 본다면 천간의 병화 정화가 그와 같은 한덩어리인 지지와의 생극관계에 따른 세력정도를 보고 갑진운의 생극 여부를 봐야 할까요. 이런 구분. 대세운 오행의 강약정도를 판단하는 것도 어떤 원칙이 없는한 주관적인 판단에 좌지우지 될것 같습니다. 인당님 항상 많이 배우고 갑니다. 오늘도 감사드립니다.
@바두기 예
천간지지의 생극은 보이는 대로 무조건 다 이루어지는 게 아니며, 특별한 조건이 되어야만 생극이 이루어진다는 그 말씀만 드립니다.
@인당 전우창 예 알겠습니다. 답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