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임(game) | 운동경기. 시합 |
게임세트 | 경기 종료를 뜻함. 미국에서는 game over. |
게임 차 | 각 팀 사이의 성적 격차를 보는 기준의 하나. |
겟투(get two) | 병살. 둘을 잡음. |
견제구 | 주자의 도루를 막기 위해서 ,또는 베이스에서 떨어져 있는 주자를 잡으려고 투수나포수가 누수에게 던지는 공. |
경원 | 투수가 고의로 사구를 던져 타자를1루로 보냄. |
경원사구 | 강타자에게 얻어맞지 않으려고 일부러 스트라이크를 피해 포 볼(four ball)을 만들어 1루에 걸려보내는 것. 1901년 필라델피아 애틀렌틱스의 강타자 나폴레옹 라죠이가 만루에서 1루로 걸려보내 진 것이 시초라고 함. |
계약 교섭권 | 그 구단이 특정 선수에 대해 입단을 권유할 수 있는 권리. 이 교섭에서 선수는 거절할 수 있으나 그런 경우는 1년간 다른 구단에 입단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
고의낙구 | 무사 또는 1사에서 주자 1루,1~2루,1~3루 또는 만루일 때 내야수가 페어의 직구나 비구를 고의로 떨어뜨린 경우에 타자는 아웃이라는 것. 본래 이 규칙이 플라이나 라이너를 한 번 글러브에 넣고서 의식적으로 떨어뜨리고 병살을 꾀하는 트릭 플레이를 막기 위한 것이므로 고의 낙구가 거의 생기지 않는 외야 비구를 빼고 실제 손해를 보는 내야 비구에만 적용시킨 것. 또 고의 낙구일 때 주자는 원래의 베이스에 다시 터치하지 않더라도 아웃의 위험을 무릅쓰고 진루할 수 있었다가 볼 데드가 되어 진루할 수 없다로 바뀌었음. 인 필드 플라이가 선고된 경우는 그것이 우선함. |
구심 | 포수 뒤에서 볼이나 스트라이크 등의 판정이나 시합의 진행을 담당하는 심판. 주심. 볼 엄파이어 (ball umpire). |
구원 투수 | 먼저 던지기 시작한 투수가 상대 타자들에게 계속 안타를 맞거나 위기에 몰렸을 때 그 위기를 넘기기 위하여 등판하는 투수. |
굿 에그 | 득점이 한 점도 없음. |
굿바이히트 | 마지막 말에 경기의 승패를 결정짓는 득점 안타. 그것이 홈런일 때는 굿바이 홈런(good-bey homerun). |
규정타석 | 리그전이나 대회의 개인 타격의 성적을 작성할 때 유자격자를 결정하기 위해 규정한 최소 타석 수. 팀 시합의 3.1배의 타석수를 일반 룰로 정함. |
그라운드 볼 | 땅 위로 굴러가는 타구. 땅볼. 포구. |
그라운드홈런 | 펜스를 넘기지 못한 타구를 처리하지 못하는 동안 타자가 베이스를 돌아 홈인하는 홈런. 러닝 홈 런(running homerun). |
그래스 라인 | 경기장 안의 잔디 경계선. |
그랜드 슬램 | 주자가 만루일 때 홈런을 치는 것. 만루 홈런 |
그립(grip) | 쥐는 것 또는 쥐는 방법. 배트를 잡는 법을 일컫는 경우도 있고 미트나 글러브를 볼을 잡는 법에도 쓰임. |
글러브(glove) | 경기할 때 손에 끼는 가죽으로 만든 장갑. |
기습 번트(bunt) | 타자가 베이스에 나가기 위해 허술한 수비 벽을 뚫고 갑자기 하는 번트 |
나이트 게임 | 야광 등을 켜고 진행하는 야간 경기. 1909년 미국의 신시내티 레드 구장에서 시험적으로 행한 것이 최초로 1930년 마이너리그에서 공식적으로 행했음. |
나인 | 아홉 명이 한 팀을 구성하기 때문에 불리는 주전 선수의 다른 별명. |
낫 아웃 | 세 번째 스트라이크를 포수가 받지 못했을 때 스트라이크 아웃으로 인정하지 않는 규칙. 타자는 공을 친 것으로 간주되어서 야수가 수비하기 전에 1루에 닿으면 살게됨. 단 노 아웃이나 원아웃일 때 또는 1루를 포함한 주자가 있을 때는 해당하지 않음 |
내셔날 리그 | 미국 프로야구 연맹의 하나로 1876년에 8개 구단으로 창단 하였으며 현재는 동서 지구 각 6개 도합 12개 구 단이 있음. 세인트 루이스 커니널즈, 피츠버그 파이레츠, 필라델피아 필리즈, 시카고 커프스, 뉴욕 메츠, 몬트리올 엑스보스(이상 동부 지구) 신시내티 레즈, 휴스턴 아스트로즈,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애틀랜타 브 레이브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트, 샌디에고 파드레스(이상 서부) 아메리칸 리그와 함께 메이저 리그를 이룸. |
내셔날 베이스볼 컨그레스 | 1930년에 설립한 아마추어 야구 통제 기관인 미국 야구협회. |
내야 | 본루,1루, 2루, 3루를 연결한 선의 구역 안. 인 필드(infield) |
내야수 | 내야를 맡아 지키는 1루수, 2루수, 3루, 유격수의 총칭. 인 필더(infielder) |
내야 안타 | 타자가 친 공이 내야에 떨어졌으나 주자가 아웃되지 않은 안타. 내야 히트(infield) |
내추럴 커브 | 투수가 던진 공이 자연스럽게 커브가 되어 들어가는 공. |
너클 볼 | 손가락 공의 겉면에 세워서 던지는 변화구로 공이 회전을 하지 않으며 타자 앞에서 급히 낙하함. 1922년 필라델피아 애틀렌틱스의 투수 에디 론멜이 발명한 것으로 집게와 가운뎃 손가락을 꺾어서 볼을 쥐고 손가락 끝으로 던져 회전을 가하지 않는 투구. 또는 집게와 가운뎃손가락의 둘째 마디에 볼을 받치고 손목을 놀려 손가락을 뻗으면서 낮게 던지는 투구. |
넥스트 배터스 복스 | 다음 타자가 기다리는 곳. 웨이팅 서클(waiting circle) |
노게임 | 5회가 끝나기 전에 중지됨으로 해서 무효가 된 경기. 이 경우 개인의 공수 성적도 인정되지않음. |
노 스텝 | 투수가 던질 때 발을 앞으로 내딛지 않은 경우. |
노 카운트 | 볼이나 스트라이크로 간주하지 않는 공. 투 스트라이크 이후의 파울 볼은 카운트하지 않음. |
노타임 |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던 경기가 재개될 때 심판이 선언하는 말. |
노 터치 | 수비 선수나 주자가 베이스를 터치하지 못하는 경우나 주자가 베이스를 밝지 않고 다음 베이스로 달리는 것. |
노 플레이 | 시합이 정지된 상태에서 행해진 플레이. |
노 히트 노런 | 투수가 9회말 까지 상대방을 무안타 무득점으로이긴 게임. 퍼펙트 게임과 더불어 투수의 빛나는 기록 중의 하나. |
노 히트 플리잉 | 안타를 주지 않는 투구. |
녹커 | 수비 연습을 위해 야수에게 공을 쳐주는 사람으로 코치나 감독이 함. |
녹크 | 수비 연습을 위해 야수에게 공을 쳐서 보내는 일. |
녹크 배트 | 포구 연습에 사용하는 가늘고 가벼운 배트. |
녹크 아웃 | 공격측이 상대 투수에게 난타하여 교체시키는 일. |
누심 | 각 누와 옆에서 심판 일을 맡아보며 구심을 보좌하는 사람. 베이스 엄파이어 |
누타수 | 때린 안타 중 단타를 1루, 2루타를 2로, 3루타를 3으로 홈런포를 4로써 합산한 금액. |
*뉴 래이팅 | 신 타율 또는 신 타율 계산법으로 안타 수만을 계산하던 것을 차점, 득점, 누타 수 등을 합쳐 계산하는 새로운 타율 계산법. 이것은 장타자가 찬스에 강한 타자에게 불리하기 때문에 생긴 방식임. |
니어 볼 | 투수가 타자의 몸 쪽 가까이 던지는 공이나 강자가나 호 타자를 견제하기 위해 타자 깊숙히 투구하는 공. |
다운 스윙 | 수평 타법으로 배트를 들어올리지 않고 두드리듯이 휘두르는 배팅으로 땅볼 이 되기 쉬움. |
다이렉트 | 일직선에 가까운 타구로 야수나 관람석 또는 백 네트로 간 공. |
다이빙 캐치 | 낮게 떨어지는 안타성의 공을 수비자가 다이빙하듯이 몸을 날려서 잡아내는 동작. |
다이아몬드 | 내야의 별칭. 정방향의 경기장. 한복판에 투수가 높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 에 내야 수비가 다이아몬드처럼 보인다고 해서 생긴 말. |
다크 호스 | 실력이 감추어져 뜻밖의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선수나 후보자. |
단타 | 타자 주자가 1루를 얻는 안타. 싱글 히트(single hit). |
대 리그 | 미국 2대 프로야구 리그로 아메리칸리그와 내셔널리그를 합쳐 이르는 말로 메이저리그(major league) 라고 도 함. |
대 리그 변화구 | 변화구 때리기 전용의 연습용 볼로 보통 경구와 같은 크기, 무게이나 전체 10분의 1정도를 잘라 내서 완전히 둥근 모양이 아님. 던질 때 손목을 비틀 필요가 없어서 누구나 자유자재로 던질 수 있으며 평면 부분에는 배트가 절대로 맞지 않음. |
대시 | 상대 진영이나 선수에게 공격해 들어가는 것. 돌진. |
더그아웃 | 선수 대기석. 1루와 3루 쪽에 있는데 평지를 파서 만듦. 벤치(bench) |
더블 스틸 | 두 사람의 주자가 동시에 도루하는 일. 이중 도루. |
더블 엘리미네이션 | 패자 부활제도. 토너먼트 경기에서 패퇴한 사람이나 팀에게 다시 한 번 참 가할 기회를 주는 것. |
더블 플레이 | 수비측이 한꺼번에 두 사람의 주자를 아웃 시키는 일. 병살. 중살. 겟투라 고도 함. 두 개의 아웃 사이에 에러가 있을 때는 더블 플레이라고 하지 않음. 포스 아웃이 연속된 것을 포스 더블 플레이, 두 번째 아웃이 포스 아웃 이 될 주자가 다음 베이스에 닿기 전에 터치 아웃된 것을 리버스 포스 더블 플레이라고 함. |
더블 헤더 | 같은 날 같은 팀이 같은 구장에서 두 번 연속해서 경기하는 일. 다른 팀과 의 경기는 더블 헤더라고 하지 않음. |
더스터 | 머리나 턱을 노리는 공. 빈 볼(bean ball).보통 타자를 타자석 에서 멀리 떨어지게 하거나 타자에게 공포를 느끼게 하는 효과를 노리고 던지는데 규칙에는 금지되어 있는 불법적인 투구법. |
hit by pitch | 사구. 투수가 던진 볼이 타자에 맞는 경우를 일컬음. |
데이 게임 | 주간 시합. 야간 시합(night game)에 대칭 되는 말. |
데이라이트 플레이 | 2루 주자가 있을 때 유격수는 닿을 듯 말 듯한 모양으로 주자의 후방에서 견제를 행하는데주자보다 유격수가 2루에 가까이 했을 때는 주자와 유격수 사이에 간격이 생겨 이 틈을 이용해 주자를 아웃 시킬 수 있으므로 이 간격 을 만들어 견제구의 신호를 행하는 것. |
데지그네이티드 히터 | 지명 타자. |
도루 | 주자가 수비의 허술한 틈을 타서 다음 누로 가는 일. 스틸(steal) |
드래그 번트 | 타자가 살려는 번트로 왼손잡이 타자는 1루로 ,오른손잡이 타자는3루 쪽으로 끌어 서 굴리는 것. 배트를 밀어내듯이 하여 가볍게 공에 맞춰 투수 쪽으로 가게 한 후 전력으로 1루로 달림. |
드래그 히트 | 배트를 밀어내어 가볍게 맞추어 기습적으로 안타를 노리는 타법. 푸시 히트(push hit)라고도 함. |
드래프트 제 | 프로 야구의 신인 선수 쟁탈의 폐해를 막기 위한 제도. 신인 선수를 한데 묶어 놓고 팀의 대표들로 선발 회의를 구성하여 일괄적으로 교섭하는 방법. |
드론 게임 | 무승부로 끝난 시합. |
드롭 | 변화구의 일종으로 타자 앞에서 갑자기 밑으로 뚝 떨어지는 공. |
딜레이드 더블 스틸 | 주자가 1. 3루에 있을 때 1루 주자는 포수가 투수에게 송구하려는 순간 출발하며 이때 포수가 2루에 송구하면 1루 주자는 2루 앞에 멈춰 야수의 태그를 늦추고 이때 3루 주자가 홈인 한 뒤 태그아웃 당하는 변형 이중 도루 |
딜레이드 스틸 | 보통의 도루와 다른 형태로 포수가 공을 받아 투수에게 보내려 할 때나 주자를 견제했을 때 역으로 주자가 다음 베이스로 도루를 꾀하는 플레이. 일반적인 스타일은 투수의 허를 노리는데, 여기서는 흔히 포수의 허를 노리는 점에서 특색이 있음. |
라스트 이닝 | 마지막 회. |
라이너 (liner) | 타구가 거의 지면과 평행으로 곧게 날아가는 것. |
라이트(right) | 우익수. 외야의 오른쪽을 수비하는 외야수로 라이트 필더(right fielder)라고도 함. |
라인 드라이브 | 볼이 그라운드에 닿지 않고 날카롭게 직선으로 야수에게 날아가는 타구. 라이너 (liner). 직구. |
라인 아웃 (line out) | 주자가 베이스와 베이스 사이를 달리고 있을 때 야수의 촉구를 피하려고 베이스 사이의 선에서 3피트 이상 바깥으로 나가서 달린 경우로 이때는 아웃으로 됨. |
라인 업(line up) | 공격 팀 타자들의 타격순서 또는 위치. 배팅 오더(batting order) |
랑데부 홈런 | 두 타자가 한 게임에서 연속 홈런을 치는 경우. |
러닝 스로 | 달리면서 동시에 공을 송구하는 일. |
러닝 캐치 | 달리면서 공을 잡아내는 일. |
러닝 호머 | 친 공이 외야 펜스를 넘지는 않았으나 야수가 공을 쫓고 있는 사이에 타자가 베이스 를 돌아 홈인하는 경우. |
럭키 존 | 본루에서 거리가 가장 넓은 외야의 좌우 펜스 바로 뒤쪽 지역으로 홈런이 되기 쉽다 는 뜻에서 유래. 이와 반대로 외야의 좌우 양익이 짧은 그라운드에서는 홈런이 나오 기 쉬우므로 펜스 위에 철망을 높이 쳐서 난발을 방지하기도 함. |
런(run) | 득점. |
런다운 (run down) | 누와 누 사이에서 주자를 아웃 시키는 수비측의 행위. |
런스 배티트 인 | 타격점. 득점. 득점타. 다음에 드는 행위에 의해 득점을 올린 주자에 하나씩 주어 짐. |
레귤러 스로 | 손을 위로해서 내던지는 오버 스로. |
레귤러 플레이어 | 후보 선수가 아닌 정식 선수. |
레벨 스윙 | 타격법의 일종으로 수평으로 하는 스윙. |
레프트 온 베이스 | 세 명의 아웃으로 교대할 때 남은 주자. 잔루. |
*레프트 핸더 | 왼손잡이. |
렉 가드 (leg guard) | 포수가 정강이를 보호하기 위해서 무릎에 대는 기구. |
로드 게임 | 상대편 팀의 본거지에 가서 행하는 시합. 통상의 경우 프로 야구는 전 공식 시합의 반을 홈그라운드에서 하고 ,나머지 반은 로드 게임 으로 행하게 되어 있음. |
로우 볼(low ball) | 투수가 낮게 던지는 공. |
로진 백 (rosin bag) | 타자나 투수가 손이 미끄럽지 않도록 할 때 쓰는 송진 가루를 넣어 만든 작은 주머니. 투수는 이 로진 백으로 손에 로진을 발라도 좋지만 타자나 다른 선수가 볼은 물론 글러브나 유니폼에 로진을 뿌리는 것은 룰로 금지되어 있음. |
로테이션 (rotation) | 순환하는 투수의 기용 순서. 이것으로 감독이 투수의 운영법을 정함. 투수를 선발과 릴리프로 나눠 각 투수의 체력에 맞춰 휴양을 위한 기간을 3일 간격이나 4일간격으로 분류하여 스케줄에 따라 각 투수 의 담당 등판을 결정함. |
록킹 모션 | 투수가 투구 준비 동작으로서 팔과 몸을 앞뒤로 흔드는 동작을 말하는데 이것을 많이 되풀이하면 반칙 투구가 될 경우도 있음. |
*롱 드라이브 | 회전 없이 먼 거리를 날으는 타구. |
*롱 스윙 (long swing) | 배트를 길게 쥐고 장타를 노리는 타법. |
*롱 팩(long pag) | 포수가 견제를 목적으로 하여서 직접 2루로 던지는 송구. |
*롱 히트(long hit) | 2루 이상 베이스로 나아갈 수 있는 장타성 안타. |
*루징 피처 | 자기 팀이 진 경기에서 등판한 투수. 패전 투수. 투구 횟수에 관계 없이 처음부터 계속 던지면 최초에 득점을 뺏긴 투수, 중도에서 동점이 되면 그 이후의 승부의 경과에서 패전을 가져온 투수가 루징 피처가 됨. |
*루키(rookie) | 팀에 새로 입단한 신인. 신병이라는 뜻의 리크루트(recruit)가 어원. |
*룰(rule) | 경기 규칙. |
리그(league) |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 어떤 팀이 가장 우수한지를 가리기 위해 서로 경기를 벌이는 경우와 가입한 몇 팀이 돌려 가면서 골고루 경기를 하라는 뜻이 있음. |
리그 프레지던트 | 리그의 회장. 규칙을 시행하고 논쟁을 해결하고 제소 게임의 재정을 정해야 함. |
리드(lead) | 상대 팀의 점수면 에서 앞서는 경우와 주자가 도루하려고 베이스에서 떨어지는 것. |
리드 오프 맨 | 타격표에 따른 1번 타자로 선구안이 빠르고 타격이 정확한 선수가 기용됨. |
리딩 히터 | 시즌을 통해 그 리그에서 가장 타격률이 높은 타자. 수위 타자. |
리버스 포스 더블플레이 | 우선 1루에서 주자를 아웃 시키고 다음 누에 가는 주자를 태그 아웃시키는 병살. |
리터치(retouch) | 주자가 규칙에 따라서 한 번 밟은 베이스를 다시 밟는 행위. |
리틀리그(little league) | 9세부터 12세까지 출전할 수 있는 소년 야구 리그. 1993년에 미국에서 만든 리그로 본부는 미국 펜실베니아주 윌리암스 포트이고 세계 선수권 대회를 행함. 6회제로 경구를 사용함. |
릴레이(relay) | 외야로부터 송구할 때 도중에 이것을 중계하여 송구를 도와주는 것. |
릴리프 피처 | 투수가 지치거나 난타를 당해서 속구가 불가능 한 경우에 교체하는 투수. 구원 투수. |
마스코트(mascot) | 팀에게 행운과 승리를 가져다준다고 믿어서 상징화시킨 작은 완구나 동물. |
마스크(mask) | 포수나 주심이 얼굴을 보호하기 위해 쓰는 방어용 기구. |
마운드(mound) | 투수가 공을 던질 때 서는 약간 높은 곳으로 중앙에 투구판이 있음. 힐(hill)이라고도 하고 중심판을 피처스 플레이트(pitcher'splate)라고 함. |
마운틴 플라이볼 | 높이 뜬 타구. |
마이너리그 | 미국 프로 야구의 소 리그를 일컬음. 그 강약에 따라 AAA' AA' A' 루키의 4단계로 나뉘어 내셔널 어소시에이션의 산하에 포함되어 있음. |
만루 | 1,2,3루 모두에 주자가 있는 상태. 풀 베이스(full base). |
만루 호머 | 풀 베이스 상태에서 홈런을 치는 경우. 그랜드 슬램(grand slam). |
매니저(manager) | 미국에서는 감독을 뜻하는데 팀의 일체의 일을 돌보는 사람의 뜻도 있음. |
매직 볼 (magic ball) | 투수의 볼이 뛰어나서 타자들이 손을 못 대는 경우를 일컬어 하는 말. 마구. |
매티스 시스템 | 다음 타자로부터 범타를 이끌어 내어 더블 플레이를 시도하거나 수비를 쉽게 하기 위해 고의로 만루를 만드는 수비 작전. |
머드 볼(mud ball) | 진흙 묻은 공. |
머프(muff) | 날아오른 공을 받지 못하는 것. 펌블(fumble). |
메이저 리그 | 미국 프로 야구의 최상의 리그. 내셔널 리그와 아메리칸 리그로 나뉘어 양 리그는 각기 12팀으로 구성되어 있음. |
모션(motion) | 선수가 움직이는 동작이나 형태. |
모션 피칭 | 부정 투구가 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동작으로 타자를 혼란시키기 위한 투수의 투구 동작. |
몰수 경기 | 선수 부족. 경기 거부 등의 원인으로 시합을 진행할 수 없을 때 심판에 의해 과실 이 없는 팀에 승리가 선고되는 경기. |
무거운 공 | 야구 해설자가 흔히 무거운 공이라든가 가벼운 공이라는 말을 쓰는데 과학적으로 아직 해명되지 않고 있는 말. 손가락 끝의 힘이 잘 들은 볼은 회전이 빨라서 가벼운공 같은 느낌이 들며 중량이 있는 투수가 전신을 이용 해 던지는 공은 회전이 비교 적 적고 빠르므로 무거운 공이라는 느낌을 줌. 속도가 같고 공의 회전이 다소 다른것만으로 무겁다는 현상이 나올 수 있느냐에 의문점이 많음. |
미라클 캐치 | 야수가 안타성의 어려운 타구를 잘 잡아냈을 경우. |
미스저지(misjudge) | 심판이 잘못 내린 판정이나 야수가 잘못 판단해서 공을 잡아내지 못한 경우. |
미트(meet) | 타자가 투구의 구질에 따라 배트를 공에 맞추는 일. |
미트(mitt) | 포수가 1루수가 끼는 엄지손가락만 떨어져 있는 글러브. |
미트 핸드(meet hand) | 글러브를 착용하지 않은 맨 손. |
믹스(mix) | 투수가 공을 여러 가지 구질로 섞어서 던지는 일. |
바운드 볼(bound ball) | 송구, 투구, 타구 등이 지면이나 다른 것에 닿고 튀는 공. |
바이크(vike) | 포수의 급소를 보호하기 위해 경금속으로 만든 기구. |
반칙 타구 | 규정 외의 배트로 치거나 배터스 복스에서 한 발이나 양발을 완전히 내보내고서 친 타구. |
방어율 | 투수가 상대 팀의 공격을 방어한 비율. 투수의 자책점의 합계를 투구 횟수로 나눈 것에 9를 곱한 숫자. 횟수의 3분의 2회는 끝자리 수를 1로 올리고 3분의 1회는 버 림. 숫자가 낮을수록 좋은 투수임을 나타냄. |
방해 | 상대팀에게 해를 끼치는 행위. 인터피어(interfere). |
배거(bagger) | 누타. 2루타는 투 배거,3루타는 쓰리 배거,1루타는 배거라고 부르지 않음. |
배터(batter) | 배터스 복스에서 공격하는 선수. |
배터 러너 | 타격을 마친 타자가 아웃될 때까지나 주자가 된 것에 대한 경기가 종료될 때까지의 사이를 일컬음. |
배터리(battery) | 투수와 포수를 통틀어 일컫는 말. 전신의 송신자와 수신자가 배터리(전지)로 이어져 있는 뜻에서 생긴 용어. |
배터리 에러 | 배터리 잘못으로 타자를 한 누로 진출시킨 경우. |
배터리 콤비네이션 | 투수와 포수가 손발이 잘 맞는 정도. |
배터 업(batter up) | 타자에게 즉시 타석에 서도록 촉구하는 심판 용어. |
배터 인 더 홀 | 볼 카운트 2-0,2-1처럼 타자에게 불리한 상태. |
배터스 라인 | 타석을 표시한 선. |
배터스 복스 | 타자가 타격을 하기 위해 들어서는 곳. 본루 좌우에 흰 선으로 그려진 너비 4파트 (1.22m), 길이 6피트(1.82m)의 장방형 테두리의 안을 말함. 타석. |
배터 캅 히터 | 투구한 볼이 자기 몸에 닿을까 봐 겁내는 타자. |
배트(bat) | 타자가 투구할 때 사용하는 방망이. |
배팅(batting) | 타자가 투수가 던진 볼을 배트로 치는 것. |
배팅 애 버리지 | 타수와 안타의 비율. 포 볼과 희생타 방해 등은 타수로 계산하지 않음. |
배팅 아이(batting eye) | 타자가 투구 코스나 구질을 분별할 수 있는 능력과 센스. 선구안. |
배팅 오더 | 공격할 때 치는 순서. 라인 업(line up). 타격순. 타순. |
배팅 찬스 | 타자가 스윙을 해도 기회가 또 있기 때문에 마음놓고 배트를 휘두를 수 있는 볼 카 운트. |
배팅 케이지 | 돈을 받고 타격 연습을 하는 장소. 손님은 피칭 머신을 이용하여 네트 안에서 요금 만큼 공을 침. |
백 그린(back green) | 타자에게 공이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해 센터 뒤쪽에 설치한 푸른빛의 담. |
백 네트(back net) | 홈 플레이트 뒤의 공을 막는 철망 그물. |
백 스윙(back swing) | 타자가 볼을 칠 때 배트를 뒤쪽으로 끌어당겨 흔들어 올리는 동작. 투수의 경우는 투구 동작의 개시에 있어서 허리, 몸통, 어깨, 등을 뒤쪽으로 당기는 것. |
백 스톱(back stop) | 본루 뒤의 백 네트. |
백 업(back up) | 어떤 야수가 폭투나 실책에 대비하여 직접 볼을 받고 있는 수비 선수의 뒤쪽으로 돌아가 이중수비 태세를 갖추는 일. 바쳐 주기. |
백 핸드 캐치 | 글러브를 낀 손의 반대쪽에 오는 공을 손만 그 방향으로 향하여 포구하는 일. 역 싱글. |
백 홈(back home) | 주자가 본루에 귀환해서 득점하는 것을 막기 위해 야수가 타구를 본루로 송구하는 일이나 주자가 홈으로 들어오는 것. |
버스트 업(bust up) | 투수가 타자에게 눌려 곤경에 빠지는 경우. |
번트(bunt) | 타자가 공이 가까운 거리에 떨어지도록 배트를 공에 가볍게 대는 일. 연타. |
번트 앤드 런 | 번트하고 주자의 진루를 돕는 작전. 1루 주자는 투구와 동시에 2루로 스타트 함. 이 경우 3루선에 번트하는 것이 좋으며 타자에 유리한 카운트일 때 행함. 미리 타자와 주자가 짜고 타자는 반듯이 번트하는 공격법. |
범타 | 안타가 되지 못한 평범한 타격. |
베스트 나인(best nine) | 아홉 명의 실력이 우수한 선수. |
베스트 텐(best ten) | 리그에 소속된 여러 팀 가운데서 가장 우수한 열 명의 선수. |
베스트 피칭 | 투구를 가장 잘 하는 상태. |
베이스(base) | 내야의 네 귀퉁이에 있는 방석같이 생긴 물건. |
베이스 라인(base line) | 베이스와 베이스를 연결하는 선. |
베이스 러닝 | 주자가 베이스 사이를 달리는 일. |
베이스 맨(base man) | 베이스를 지키는 1,2,3루수의 총칭. |
베이스 스틸 | 베이스를 훔쳐서 진루하는 일. |
베이스 엄파이어 | 누심. |
베이스 온 볼 | 타자가 포 볼(four ball)로 1루에 나가는 일. |
베이스 커버 | 베이스가 비어 있을 때 다른 야수가 대신 맡는 일. |
베이스 코치 | 1루나 3루의 코치의 복스(coacher's box)내에 위치하여 타자나 주자를 지휘하는 사람. |
베이스 히트(base hit) | 안타. |
베이스 히트 번트 | 번트 타법의 하나로 타자가 수비측의 허점을 찔러 행하여 1루로 살아 나가는 것. 이 번트를 할 때는 투수의 손에서 투구가 떨어질 때까지 시늉을 해선 안되며 타자의발이 빨라야 하는 것이 필수임. 희생 번트와는 정반대의 개념. |
벤치(bench) | 선수나 감독들이 앉는 자리, 더그아웃(dugout). |
벤치 워머 | 대기 중인 후보 선수를 이르는 말. |
벤치 코치 | 벤치에 앉아서 선수들에게 작전 지시를 하는 사람. |
변화구 | 타이밍을 교란시키기 위해 공의 진행방향에 변화를 주는 투구 기법. |
병살 | 두 사람의 주자를 한꺼번에 아웃시키는 일. 겟투(get two). 더블 플레이(double play). |
보내기 번트(bunt) | 누상의 주자를 전진시키기 위한 번트. 희생번트. |
보디 스윙(body swing) | 투수나 타자가 투구와 타격을 위한 컨디션을 조절하기 위해 하는 예비 운동. |
보살 | 야수가 잡은 공을 어느 누수에게 보내어 주자를 아웃시키는 일을 돕는 일. 어시스트 (assist) |
보크(balk) | 주자가 있을 때 투수가 규칙에 어긋난 투구 동작을 취하는 경우로 이런 경우 주자는 1루씩 자동 진루함. 주자가 없을 경우는 일리걸 피치(illegal pitch)를 하면 투구 는 볼로 셈함. |
복스 시트(box seat) | 네트 위의 관람석. |
본루 | 홈 베이스(home base). 홈 플레이트(home plate). |
본루타 | 홈런. |
본 플레이(bone play) | 판단을 잘 하지 못해서 서투르게 치른 경기. |
본 헤드 플레이 | 머리 쓰는 일이 둔한 플레이. 1898년 필립스의 감독이었던 조지 스토링스가 그의 팀의 나쁜 플레이를 이렇게 말한데서 시작 되었음. |
볼(ball) | 공 또는 스트라이크가 아닌 투구. |
볼 낫 인 플레이 | 경기 저지구. |
볼 데드(ball dead) | 경기 정지구. |
볼 인 플레이 | 경기가 속행되고 있는 상태. |
볼 카운트(ball count) | 한 타자에게 투수가 던진 공의 스트라이크와 볼의 수. |
볼 컨트롤(ball control) | 마음먹은 대로 공을 던질 수 있는 능력이나 상태. |
볼티모어 촙 | 본루에서 가까운 그라운드에 때려 눕히듯이 배트를 휘두르고 높은 바운드의 땅볼을 굴리는 타법. |
봉살 | 타자가 주자가 되었기 때문에 진루의 의무가 생긴 주자가 다음 베이스에 닿기 전에 주자 또는 그 베이스에 닿아서 죽는 경우. 포스 아웃(force out). |
부정위 타자 | 타격 순번이 아닌 타자. |
불펜(bullpen) | 구장 외야석과 내야석 사이의 통로에 마련된 투수 연습장. 투우가 투우장에 출입하는 통로에서 유래되었음.(불은 황소, 펜은 오두막 ) 전에는 구원 투수가 펜스 앞에서 연습하는 것이 관습이었는데 그 장소에 불덤이라는 담배 회사의 광고인 소의 장식이 설치 되어 있을 때가 많았음. 그래서 소를 가두는 울타리 속에 있는 것 같이 보여서 이런 명칭이 생겼 다고 함. |
브레이크(break) | 투수가 던진 공이 휘어지는 각도 |
블록(block) | 야수가 주자의 주로 또는 진루하려는 베이스를 막는 일. 야수가 볼을 포구하기 직전이나 이미 볼을 가지고 있을 때만 베이스 라인 위에 위치하는 블록이 허용되고있음. |
블록 볼(block ball) | 타자가 친 볼이나 투수가 던진 볼이 경기와 관련이 없는 사람에게 터치되던가 정지되었을 때를 일컬음. 이 경우 주심은 즉시 타임을 선언함. |
블록 사인(block sing) | 감독 또는 투수와 포수간의 사인을 상대편에게 간파당하지 않기 위해 여러 가지 동작을 섞어 복잡하게 만든 신호. |
비지팅 팀 | 원정을 온 팀으로 원정팀은 빛깔이 있는 유니폼을 착용하고 3루측에 홈팀은 흰색의 유니폼을 입고 1루측에 위치하는 것이 관례임. |
비하인드(behind) | 리드(lead)의 상대어로 경기 중에 상대방보다 자기 팀의 득점이 적은 경우. |
빈 볼(bean ball) | 투수가 고의로 타자의 머리 부근을 향해 던진 볼. 빈은 미국 속어로 머리라는 뜻. 또 더스터(duster)도 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으나 이것은 반드시 타자의 머리를 노리는것이 아니고 타자를 플레이트에서 멀리 떨어지게 하기 위해 타자 근처에 던지는 볼임. |
사구(base on ball) | 포 볼(four ball). 볼이 네 개가되어 타자가 1루로 진출하는 것. |
사구 | 데드볼. 투구된 공이 타자의 몸에 맞았을 경우로 1루로 진출함. |
사우스 포(south paw) | 왼손잡이 투수. 남미 출신의 선수들 중 왼손잡이로 훌륭한 선수가 많이 배출된 데서 유래되었다고 함. |
사이드 스로 | 팔을 옆으로 휘둘러 던지는 투구법. |
사이드 핸드 스로 | 팔을 몸 쪽으로 해서 던지는 투구법. 사이드 스로. |
사이클 히트(cycle hit) | 타자가 한 게임에서 1루타, 2루타, 3루타, 홈런을 모두 친 경우. 순서는 상관없음. |
사인(sing) | 자기 팀의 선수에게 상대팀 몰래 작전을 지시하는 신호. |
사인 플레이(sign play) | 감독이 특수한 지시를 내려 선수가 이것을 받아 움직이는 플레이. 같은 사인 플레이 라도 야수간에서만 사인에 따라 플레이가 이루어지는 것은 빅 오브 플레이라 함. |
삼관왕 | 타율, 타점, 홈런 부분에서 1위를 차지한 선수. |
삼루수 | 삼루를 지키는 선수. 서드 베이스맨(third base man). |
삼자범퇴 | 한 회의 공격에서 세 명의 타자가 베이스로 진출하지 못하고서 연달아 아웃이 되는 경우. |
삼중살 | 세 사람의 주자를 한꺼번에 아웃시키는 일. |
삼진 | 타자가 스트라이크를 세 번 당하여 아웃이 되는 경우. 스트라이크 아웃(strike out) |
새크리파이스 번트 | 타자는 아웃되었지만 주자를 다음 누로 진출시키는 번트. |
새크리파이스 히트 | 희생 번트나 희생 플라이가 성공한 경우. |
샤인 볼(shine ball) | 투수가 글러브나 유니폼으로 공을 문질러서 표면을 매끄럽게해서 던지는 반칙의 한가지. |
섀도우 플레이 | 공을 사용하지 않고 정규의 수비 위치에서 동작만 수비하는 흉내를 내는 일. |
서브마린 피처 | 언더스로 투수의 속어. 서브마린은 잠수함으로 물위로 떠오르는 모습이 마치 언더 핸드 스로의 투구와 비슷하므로 이렇게 이름 붙여짐. |
서스펜디드 게임 | 일시 정지 시합. 부득이한 장애(법률에 의한 시간 제한,연맹규약에 의한 시간 제 한,조명 고장 등)에 의해 마감하는 시합으로 나중에 나머지 회만 속행할 수 있음. 단정식 시합이 될 횟수가 끝나지 않으면 안 되지만 조명의 고장 경우에는 횟수에 관계없이 서스 펜디드 게임이 됨. |
서킷(circuit) | 네 개의 베이스를 일주한다는 뜻으로 홈런을 의미함. |
선구 | 타자가 투구의 스트라이크나 볼을 잘 분간하는 일. 셀렉션 볼 (selection ball). |
선구안 | 타자가 선구하는 능력. 배팅 아이(batting eye). |
선발 투수 | 1회부터 출전하는 투수. 스타팅 피처(starting pitcher). |
선심 | 좌우 파울 라인 외야 펜스 가까이에 위치하는 두 명의 심판. |
세이브(save) | 구원 투수의 공적을 한층 더 명확하게 기록에 남기려고 고안해 낸 것으로 구원 승리 수에 세이브수를 가산하는 것. 팀이 리드하고 있을 때 릴리프 하여 규정된 대로 리드를 유지하는데 유효한 투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승리 투수가 되지 못했을 때 세이브가 주어지게 되어 있음. |
세이프(safe) | 주자가 아웃을 면하는 일. |
세이프티 리드 | 주자가 다음 베이스로 가기 위해 송구되어도 안전한 범위까지 베이스에서 떨어지는 일. |
세이프티 번트 | 배트로 공을 가볍게 밀어서 1루로 살아 나아가려는 타법. |
세이프티 히트 | 기습 번트로 타자가 1루에 진루하는 경우. |
세컨드(second) | 2루수. 세컨드 베이스맨(second base man). |
세트 포지션 | 1950년부터 만들어진 규칙 용어로 투수의 투구 자세의 하나. 투수가 디딤발을 전부 투구판 위에 놓던가 투수판 양끝에 닿게 해 놓고 다른 발을 투수판 앞에 놓고 공을 양손으로 몸 전면에서 1초 이상 정지했다가 투구하는 자세. |
센터(center) | 중견수. 센터 필더(center fielder). |
센트럴 리그 | 일본 프로 야구 리그의 하나. 가맹 팀은 요미우리 자이언트, 한신 타이거즈, 주니 치 드래곤즈, 다이요 휠즈, 히로시마 동양 카프, 야구르트 스왈로즈의 6개 구단이있음. 약칭하여 세 리그라고도 함. |
셀러(seller) | 리그 중에서 실적이 가장 나쁜 팀. |
셧 아웃(shut out) | 상대편에게 득점을 주지 않고 영패를 지키는 것. 완봉. |
솔로 홈런 | 주자가 없을 때 단독으로 홈런을 쳐서 1점을 얻는 것. |
쇼트(short) | 유격수. |
쇼트 바운드 | 투구나 타구가 잡히기 직전에 지면에 떨어져서 작게 바운드 되는 것. |
쇼트 스윙(short swing) | 배트를 짧게 쥔 상태에서 확실히 공을 맞추는 타법. |
쇼트 스톱(short stop) | 3루와 2루 중간쯤에서 수비를 맡아보는 선수. 유격수. |
쇼트 팩(short peg) | 투수나 유격수,2루수가 2루에 짧게 볼을 던지는 것. |
숄더 볼 | 타자의 어깨 부위를 겨냥해서 던지는 공으로 플라이나 파울 볼로 유도하려고 하나 자칫하면 홈런을 당할 수도 있음. |
수비율 | 내야와 외야의 수비 성적으로 자살과 보살의 수비의 합계를 자살과 보살과 실책 수 의 합계를 나눈 백분율. 여기서 자살이란 견제구로 타자를 잡는 경우를 말하며보살 이란 자기가 타구를 잡아 처리한 경우를 말함. |
수위타자 | 타율이 가장 높은 타자. 리딩 히터(leading hitter). |
슈어 배터(sure batter) | 안타를 잘 치는 믿음직스러운 타자. |
슈트(shoot) | 커브처럼 눈에 띠게 휘어져 들어오지는 않지만 타자의 몸 가까이 에서 자연스럽게 휘는 투구. 오른손잡이 투수의 경우에는 타자의 왼쪽으로, 왼손잡이 투수의경우에 는 타자의 오른쪽으로 구부러짐. |
스냅(snap) | 공을 던질 때의 손목의 움직임이나 그 힘. |
스냅 스로(snap throw) | 손목의 힘을 강하게 써서 던지는 투구법. |
스리런 호머 | 타자를 포함해서 한꺼번에 세 점을 득점하는 홈런. |
쓰리 번트(three bunt) | 타자가 투 스트라이크 후에 번트하는 것. 파울의 경우 등으로 이것이 실패하면 아웃 됨. |
쓰리 쿼터 | 사이드 스로와 오버 스로의 중간 투구법으로 4분의 3 투구법. 대다수의 오버 스로 투수는 이 형임. |
쓰리 피트 라인 | 1루 중간에서 시작해서 내야 바깥쪽에 그어진 9.14cm의 장방형의 선. 타자 주자는 이 라인 바깥쪽 또는 파울 라인 안쪽을 달려 베이스로 의 송구를 받으려는 야수의 동작을 방해했다고 심판이 인정하면 그 주자는 라인 아웃으로 아웃이 됨. |
스모그 볼(smoke ball) | 연기와 같이 타자의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스피드가 있는 투구. |
스위치(switch) | 부진한 투수를 교체시키는 것. |
스위치 히터 | 좌우 어느 쪽으로든 잘 칠 수 있는 타자. |
스윙(swing) | 타자가 배트를 휘두르는 동작. |
스윙 아웃(swing out) | 투 스트라이크일 때 배트를 휘둘렀거나 볼을 헛침으로 삼진으로 아웃이 되는 것. |
스카우트(scout) | 유망한 선수를 찾아내서 프로 구단에 알선하는 일이나 사람. |
스코어(score) | 경기의 득점. 득점표. |
스코어링 포지션 | 단타만 때려 주어도 홈인할 수 있는 2루나 3루의 위치로 주로 2루에 주자가 있는 경우. |
스코어보드 | 경기의 득점이나 경과를 알리는 게시판. 전광판. |
스퀴즈 번트 | 희생 번트의 하나. 무사 또는 1사에서 3루 주자의 득점을 목적으로 행하는 번트. 투수의 투구와 동시에 3루 주자는 스타트하는 수사이드 스퀴즈 (suicide squeeze) 와 타자의 번트를 확인하고서 달리는 세이프티 스퀴즈(safety squeeze)의 두 가지 가 있다. |
스크레치 히트 | 당연히 아웃이 될 타구가 불규칙 바운드 등에 의해 우연히 히트가 되는 경우. |
스크루 볼(screw ball) | 리버스 커브라는 별명을 갖은 변화구의 하나. 커브와는 반대로 비틀기를 볼에 가함. 투구법은 커브와 비슷한데 집게손가락을 투구 때 힘을 넣어 가운뎃 손가락으로공의 방향을 걸도록 하여 엄지손가락으로 공을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 사이에서 밀어내 듯이 던짐. 매우 위력이 좋은 공이지만 팔에 부담을 주어서 투수로서의생명을 단축 시키는 결과를 낳기도 함. |
스키퍼(skipper) | 감독이나 주장. |
스타팅 멤버 | 시합 개시 전에 양 감독에 의해 교환되는 멤버를 말하며 약칭하여 스타 맨 이라고 함. |
스타팅 피처 | 선발 투수. |
스탠드 업 슬라이딩 | 슬라이딩 직후 베이스에 닿는 순간 연속 동작으로 일어서는 슬라이딩. |
스탠드 플레이 | 관중들에게 잘 보이려고 하는 과장된 동작의 플레이. 그랜드 스탠드 플레이(grand stand play)라고도 함. |
스탠스(stance) | 치기 직전의 타자 자세. |
스테일 게임 | 지겹고 재미없는 경기. |
스텝(step) | 걸음 동작. 볼에 배트를 닿게 하기 직전에 타자는 투수에 가까운 발을 딛는 것을 가리킴. 스트라이드(stride)라고도 함. |
스토브 리그 | 동계 시즌 휴정 동안에 선수의 트레이드, 신인의 획득 등을 둘러싸고 팀 사이에 벌 어지는 동향. 스토브를 둘러앉아 괜히 그 뜬소문을 나누고 있는 것에서 유래. |
스톨른 베이스 | 도루. |
스트라이크(strike) | 투수가 던진 공이 스트라이크 존을 지나치는 일이나 타자가 볼을 헛친 경우 혹은 파울팁도 스트라이크로 침. |
스트라이크 아웃 | 삼진. 타자가 세 개의 스트라이크를 못 치거나 헛친 경우. |
스트라이크 존 | 투수가 던진 공이 스트라이크로 판정되는 범위. 타자가 타격 자세를 취했을 때 겨드랑이와 무릎 사이에 해당되는 높이의 홈 플레이트 위의 공간. 타자의 키나 자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 |
스트레이트(straight) | 포 볼로 타자를 1루에 내보내는 것이나 직구. |
스트레이트 볼 | 직구. |
스트레치(stretch) | 세트 포지션 때 투수가 투구할 때 팔을 모아서 두 손으로 공을 감싼 채 신체의 전 방에서 일단 완전 정지한 상태. |
스틸(steal) | 도루. |
스틸 앤드 슬램 | 히트 앤드 런을 할 때 투수가 웨이스트 볼을 던져 주자만 도루하는 것. |
스프레이 히터 | 좌우 어느 방향으로나 잘 치는 능란한 타자. |
스프링 캠프 | 봄에 행하는 연습. |
스핏 볼(spit ball) | 볼에 침을 발라 스냅이 잘 되도록 하여 회전을 증가시킴으로써 커브나 드롭이 잘 되 도록 던지는 볼. 1969년부터는 투구하는 손에 입 또는 입술에 대는 것을 금지하고있음. |
슬라이더(slider) | 속구의 일종으로 수평으로 외각에 흐르는 투구. 공을 타자 가까이 에서 미끄러지듯 이 바깥 쪽으로 빠지게 던지는 일. |
슬라이딩(sliding) | 볼에 터치 당하는 것을 피해서 발끝, 손, 머리부터 베이스에 미끄러져 들어가는 기술. 손부터 들어가는 것을 헤드 슬라이딩(head sliding),발부터 들어가는 것을 훅슬라이딩(hook sliding)이라고 함. |
슬라이딩 캐치 | 미끄러지면서 어려운 공을 잡아내는 동작. |
슬러거(slugger) | 장거리 타구를 잘 치는 타자. 강타자. |
슬러깅 애 버리지 | 장타율. 단타를 1,2루타를 2,3루타를 3,홈런을 4로 계산해서 그 총계를 타수로 나 눈 것. |
슬럭 페스트(slug fest) | 안타가 많이 나오는 것. |
슬럼프(slump) |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부진한 상태가 오래 가는 현상이나 침체된 경기. |
슬로 볼(slow ball) | 속구에 대응하는 느린 볼. |
승률 | 투수나 팀의 승리수를 전 시합으로 나눈 백분율로 무승부 시합은 시합 수에 가산하 지 않음. 승률이 1에 가까울수록 좋으며 리그전일 경우는 팀 순위를 이 승률로 결정함. |
승리 투수 | 한 시합에서 팀 승리에 가장 공적이 있던 투수. 승리 투수가 되려면 선발 투수는 5 회 이상 던져야 하며 그 투수의 등판 중 자기 팀이 리드하고 있는 것이 필요함. 중간에 동점이 되면 그 이후의 투수의 성적으로 승리 투수를 정함. |
시구식 | 시합을 시작하기 직전에 저명인사가 처음으로 포수에게 공을 던지는 의식. |
시그널(signal) | 심판이 몸짓이나 손으로 선고하는 행동. |
시리즈(series) | 계속되는 경기. |
시소 게임 | 형세가 서로 엇비슷한 일진일퇴의 경기. |
시트(seat) | 선수의 수비 위치. |
시트 노크(seat knock) | 수비 연습의 하나. 야수가 각기 정해진 위치에서 포수와 투구 연습을 할 수 있게 홈에서 배트로 공을 쳐내는 일. |
시프트(shift) | 타자의 특성에 따른 야수의 수비 위치를 이동하는 일이나 수비 태세. |
실책 | 실수. 에러(error). 미스 플레이(miss play). |
싱글 핸드 캐치 | 한 손으로 공을 잡는 행동. |
싱글 히터 | 단타를 잘 치는 타자. |
싱글 히트 (single hit) | 1루로 출루할 수 있는 안타. 1루타. |
싱커 (sinker) | 볼이 타자에게 가까이 와서 가라앉듯이 떨어지는 변화구. |
아마추어 야구 | 실업단 야구 |
아메리칸 리그 | 1900년에 시카고의 반 존슨을 중심으로 결성된 미국의 프로 야구 연맹의 하나. 내 셔널 리 그와 함께 메이저 리그를 형성함. 동부 지부 소속에는 뉴욕 양키즈, 보스톤 레드삭스, 클리블랜드 인디언즈,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볼티모어 올리온즈, 밀워키 브류워즈, 토론토 블루제이스가 있고 서부 지부 에는 시카고 화이트삭스. 텍사스 레인저스, 오클랜드 애틀렌틱스, 미네소타 트윈즈, 캘리포니아 앤젤스, 캔자스시티 로열즈, 시애틀 매리너스 팀이 소속 되어 있음. |
아웃(out) | 타자와 주자가 공격할 자격을 잃는 일. |
아웃 드롭(out drop) | 투수가 던진 공이 타자 앞에 와서 갑자기 떨어지는 듯하면서 바깥쪽으로 꺾이는 투구. |
아웃 슈트(out shoot) | 투수가 던진 빠른 공이 타자의 몸 가까이에 와서 급히 밖으로 휘는 공. |
아웃 카운트(out count) | 아웃의 수. 원 아웃,투 아웃, 쓰리 아웃이라 부름. |
아웃 커브(out curve) | 투수가 던진 공이 타자 앞에 와서 갑자기 바깥쪽으로 꺾이는 공. |
아웃 코너(out corner) | 타자 쪽에서 보아 홈 베이스의 중앙부의 바깥쪽 부분. 외각. |
아웃코스(out course) | 타자로부터 먼 쪽으로 지나치는 공의 길. |
아웃 필더(out fielder) | 외야수. |
안전 진루권 | 타자를 제외한 각 주자가 아웃되지 않고 한 개씩 그 앞의 베이스를 차지하는 경우. 보크나 타자가 사사구를 얻었을 때 등에 주어짐. |
안타 | 타자가 베이스까지 안전하게 나아갈 수 있도록 공을 치는 일. 히트(hit). |
알파승(alpha) | 먼저 수비한 팀의 득점이 먼저 공격한 팀보다 득점이 많을 경우에는 최종회 공격을 하지 않 고 경기를 마치고 승리하는 것. |
애드저지드(adjudged) | 심판원의 판단으로 내리는 재정. |
앳 배트(at bat) | 타자가 타격을 완료한 횟수. 사사구, 희생타, 타격 방해가 되었을 경우에는 포함하 지 않음. 타수. |
야수 | 내야수와 외야수의 총칭. 필더(fielder). |
어드밴티지(advantage) | 유리한 상황. |
어시스트(assist) | 수비하는 데 있어서 다른 선수가 자살하는 것에 보조적인 역할을 한 선수에게 주는 기록상 의 용어. 보살. |
어퍼 스윙 | 낮은 공을 아래에서 위로 올려치는 스윙. |
어필 플레이 | 수비 팀이 공격측 팀의 규칙 위반을 지적하여 심판원에게 아웃을 선고하도록 요구하는 일. 어필은 비구를 잡았는데 주자가 귀루하지 않은 경우, 주자가 주를 지날 때 터치하지 않은 경우, 1루를 오버런 하거나 오버 슬라이드하고 곧 되돌아가지 않은 경우, 주가 본루에 닿지 않고 더구나 다시 터치하려 하지않는 경우, 타순을 바꿔 타격이 끝난 경우에 할수 있음. |
어헤드(ahead) | 자기 팀이 상대방 팀보다 득점이 많은 경우. 리드(lead). |
언더 셔츠(under shirt) | 유니폼 속에 입는 팔이 긴 셔츠. |
언더 핸드 스로 | 팔을 어깨 밑으로부터 위쪽으로 치켜올리면서 공을 던지는 방법. 낮게 찌르는 타구에는 적당하지 않음. |
언드 런(earned run) | 자책점. 투수의 책임이 되는 상대팀의 득점. 안타, 희생타, 도루, 야수 선택, 포 볼 등에 의해 상대팀이 득점하는 경우나 투수의 폭투 및 보크로 생환하여 득점하는 경우를 일컬음. 자책점이 적을수록 좋은 투수임. |
언더 런 애 버리지 | 투수의 방어율. |
엄파이어(umpire) | 심판원. 그 임무에 따라 구심, 누심, 선심으로 나눔. |
에러(error) | 잡을 수 있는 타구나 송구를 실수하는 것. 실책. |
에버스 시스템 | 미국 메이저 리그 초기 존 에버스가 고안한 방법으로 번트하는 체하여 내야수를 앞 으로 유인한 후 주자의 도루를 도와주는 것. |
에이스(ace) | 팀의 기둥이 되는 피처. 주전 투수. |
엑스트라 이닝 게임 | 연장전이 된 회. |
엑시비션 게임 | 승부를 두지 않고 기술을 공개하는 목적으로 하는 모범 경기. |
엔타이틀 투 베이스 | 타구가 원 바운드로 스탠드에 들어가거나 던진 공이 폭투가 되어 덕아웃에 들어갔을 때 타 자와 주자에게 두 개의 베이스가 주어지는 안전 진루권. |
영구 결번 | 프로 야구의 구단이 재적한 선수의 활약에 보답하기 위해 그 선수의 백넘버를 다른 선수에 게 물려주지 않고 퇴단 후 영구히 보존하여 공로에 보답하는 일. 미국에서는 뉴욕 양키즈에서 타격왕이라고 불린 루 레릭그 1루수의 4번이 최초이며 홈런왕 베이 브 루스의 3번, 조 대마지오의 5번, 미키 맨틀의 7 등이 영구 결번임. |
오너(owner) | 프로 야구단의 대표자. |
오소독스(orthodox) | 오른손잡이 투수나 직구로 타자와 승부를 거는 정통파 투수. |
오버 런(over run) | 주자가 달리던 가속도 때문에 베이스를 지나친 상태. |
오버 슬라이드 | 주자가 슬라이딩한 여세로 베이스에서 떨어져 아웃이 될 상태에 놓여지는 경우. |
오버핸드 스로 | 팔을 머리 위로 휘둘러 올려 아래로 던지는 투구법. |
오클럭 시스템 | 주심을 포함한 심판이 주자가 이동하는 플레이 때 시계 방향으로 위치를 돌려 플레 이상의 판정을 내리는 형태. |
오펜스(offense) | 공격 중인 선수나 팀. |
오픈 게임(open game) | 시즌 오프 등에 행해지는 연습 경기. |
오피셜 룰즈 | 공인 야구 규칙. |
올 라운드 플레이어 | 잘 치고 잘 지키고 잘 달리는 만능 선수. |
올마이티 히터 | 사이클 히트(cycle hit)를 친 선수. |
올터네이트 볼 | 주심이 보관하는 예비용 볼. |
올스타 게임 | 미국의 아메리칸 리그와 내셔널 리그의 우수 선수를 선발하여 매년 7월에 행하는 게 임이 시초임. 팀 구성은 리그의 전년도 우승 팀의 감독이 되며 팬 투표로 투수를 제외한 8명의 선수, 코치를 정하고 그 밖의 선수는 감독이 결정함. |
옵스트럭션 | 주루 방해. 야수가 볼을 갖고 있지 않거나 처리 할 태세를 갖추고 있지 않을 때 주 자의 진 루를 방해하는 반칙. |
와인드 업(wind up) | 투구의 예비동작. 투수가 잘 쓰이는 팔을 크게 돌리거나 양손을 머리 위로 높이 쳐드는 일. |
와인드 업 포지션 | 투수의 투구 자세. 디딤발을 전부 투수판 위에 놓거나 투수판의 앞 끝에 닿도록 놓고 다른 발은 투수판 위에 놓거나 투수판을 벗어나게 놓을 때는 그 뒤 끝 선보다 뒤쪽에 놓고 두 손으로 볼을 보지 하는 자세. |
와일드 스로 | 좋지 못한 나쁜 송구. |
와일드 피치 | 투수가 폭투하는 일로 포수가 잡지 못할 경우. |
완봉 | 투수가 완투하여 상대팀에게 전혀 득점을 주지 않은 승리. 셧 아웃 (perfect game). |
완전 경기 | 한 사람의 투수가 히트, 사구, 데드볼을 주지 않고, 실수에 의한 출루도 없고 매 회마다 세 사람으로 공격을 끝낸 한 게임. 퍼펙트 게임(perfect game). |
외야 | 내야 뒤쪽의 파울 라인 안의 지역. |
외야수 | 외야를 맡아서 수비하는 선수. 아웃 필더(out fielder). |
우드 플레이어 | 타격은 뛰어나지만 수비가 좋지 못한 투수. |
우익수 | 1루와 2루의 중간 후반에 위치하는 외야수의 한 사람.라이트 필더(right fielder) |
원 사이드 게임 | 일방적으로 승부가 정해져 한 팀이 압도적으로이기는 경기. |
원 포인트 릴리프 | 수비측이 한 타자만을 아웃 시키고자 구원으로 내세우는 투수. |
원 히트 투 런 | 한 개의 안타로 두 점을 얻어내는 일. |
월간 MVP | 센트럴 리그에서 1975년부터 마련한 상이 최초로 각 월간 중 그 팀의 승리에 가장 공헌이 많았던 선수에게 자료를 바탕으로 주어지는 상. |
웨이버(waiver) | 프로 야구 구단이 선수 계약을 해제하려 할 경우에는 그에 앞서 다른 구단에 대해 계약 양 도를 희망하는가 어떤가를 공시하는 것. 한 선수에게 복수 구단의 지명이 집중되는 경우에는 하위 구단부터 우선 순위가 주어짐. |
웨이스트 볼 | 투수가 도루나 스퀴즈 플레이를 경계하여 타자가 치지 못하도록 일부러 스트라이크 존을 벗 어나게 던져 포수가 송구하기 좋게 던지는 볼. 정식으로는 피치드 아웃 (pitched out)이라고 함. |
웨이팅 서클 | 다음 타자석. 직경 5피트의 서클이 설정되어 있음. 넥스트 배터스 서클 (next batters circle). |
웨이팅 시스템 | 투수가 일부러 피곤하게 하거나 컨트롤을 흩어지게 할 목적으로 볼이 좋지만 찬스를 |
위닝 런(winning run) | 승부를 판가름할 수 있는 중요한 1득점. |
위닝 볼(winning ball) | 투수가 타자를 아웃 시키기 위해 던지는 쓰리 스트라이크 째의 정확한 볼 결정구. |
위닝 피처 | 승리 투수. |
위닝 히트(winning hit) | 승리를 결정지은 안타. |
윈드 브레이커 | 투수가 유니폼 위에 덧입는 재킷. |
유격수 | 2루와 3루 사이에서 2루 쪽으로 있는 수비 선수. 내야수. |
유니폼(uniform) | 선수들이 똑같이 입는 운동복. |
유틸리티 플레이어 | 공격과 수비를 모두 잘 하는 선수. |
이닝(inning) | 양 팀이 공격과 수비를 한 번씩 끝내는 시간 . 한 회. |
이닝 피치드 | 투수가 던진 투구 횟수. |
이레귤러 바운드 | 공이 그라운드의 요철로 인해 예상외의 방향으로 바운드 되는 것 으로 안타로 기록 됨. |
이십 초 룰 | 투수의 규칙에 주자가 누에 없을 때 투수는 볼을 받은 후 20초 이내 에 타자에 투구 하지 않 으면안 되고 이를 어길 때는 심판이 볼을 선언함. 이 규칙은 시합을 스피드 업(speed up)시키기 위해 정한 것. |
이어플랩 헬멧 | 타자가 귀를 보호하기 위해 쓰는 헬멧. |
이중 사인(double sing) | 특히 2루에 주자가 있는 경우에 포수로부터의 사인을 도둑맞지 않기 위해 투수가 사인을 보내 포수가 이것을 받아 사인을 낸다는 혼합 방식. |
이지 플라이(easy fly) | 별로 어렵지 않게 잡아낼 수 있도록 위로 솟구친 볼. |
인공 잔디 | 합성수지 소재의 고무를 깔아 놓은 잔디. 이 특징은 불규칙 바운드 가 거의 없어 안타가 |
인 더 홀(in the hole) | 투수가 타자의 카운트가 불리하게 되었을 경우. 예를 들어 피치 인 더 홀은 노스트라이크 쓰리볼일 때이고 배터인 더 홀은 투 스트라이크 노 볼과 같은 경우임. |
인 도어 베이스볼 | 실내 야구. |
인 드롭(in drop) | 타자 가까이 에서 안쪽으로 굽어 들며 아래로 처지는 투구. |
인디케이터(indicator) | 구심이 타자의 볼 카운트를 잊지 않기 위해 사용하는 계수기. |
인사이드 볼 | 안쪽으로 굽어서 들어오는 공. |
인사이드 시스템 | 2루에 주자가 있을 때 2루심이 세컨 베이스의 안쪽으로 들어와서 진행을 지켜보고 판정을 내리는 일. |
인사이드 워크 | 교묘하게 플레이를 하기 위해 머리를 쓰는 일. 두뇌 플레이. 주로 포수의 투수 리드를 |
인사이드 프로텍터 | 주심이 유니폼 속에 착용하는 가슴 보호용 막이. |
인 슈트(in shoot) | 투수가 던진 빠른 공이 타자의 몸 가까이에 와서 급히 안으로 휘는 공 |
인 제퍼디(in jeopardy) | 공격측의 선수가 아웃이 될 위험에 있는 상태. |
인 커브(in curve) | 투수가 던진 공이 타자 안쪽으로 꺾이는 공. |
인 코너(in corner) | 타자측에서 보아 홈 베이스의 안쪽. |
인 코스(in course) | 타자 가까이로 지나치는 공의 길. |
인터벌(interval) | 투수의 타자에 대한 투구 간격. |
인터피어런스 | 포수의 타격 방해, 공격측의 수비방해, 심판의 방해, 관중의 방해 등 상대방의 플 레이를 고의로 방해하는 일. |
인텐셔널 베이스 온볼스 | 경원사구, 고의사구, 포수와 투수가 타자를 꺼려 고의로 걸려 보내는 공. |
인플라이트(inflight) | 공이 지면에 닿기 전에 떠 있는 상태. |
인 필더(in fielder) | 내야를 수비하는 선수의 총칭. |
인 필드(in field) | 내야, 본루,1루,2루,3루로 에워싼 사각형 부분. |
인 필드 프렉티스 | 수비수들이 자기 위치에서 녹커가 쳐주는 공을 받고 던지는 수비 연습. |
인 필드 플라이 | 무사 또는 1사에서 주자가 1,2루 또는 만루 때 내야수가 당연히 포구할 수 있는 페어플라이를 친 경우. 심판이 즉시 이를 선고하며 타자는 포구되거나 못 하거나 불문하고 아웃이며 주자는 볼 인플레이이므로 위협을 무릅쓰고 진루할 수 있음. 플라이가 누상의 주자에게 닿은 경우는 타자만 아웃으로 시합은 정지되고 베이스를벗어 난 주자에 맞으면 타자와 주자가 모두 아웃이 되며 시합은 정지됨. 번트의 페어 히트가 플라이 된 경우는 인 필드 플라이가 아님. 이 규칙은 고의로 내야 비구를낙구 하여 중살을 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규정된 것. |
인 필드 히트 | 내야에서 공이 떨어져 안타가 되는 경우. |
일리걸 피치 | 반칙 투구. 투수가 투수판에서 발을 떼고 투구하는 행위. 공에 다른 것을 더 대거 나 이 물질을 묻혀서투구하는 경우, 타자의 허를 노려 투구하는 행위 등으로 보크 가됨. |
일리걸리 배티드 볼 | 반칙 타구. 공격 중인 타자가 한발 또는 양발을 배터 복스의 선 밖으로 내딛고서 투수의 공을 치는 행위로 이는 아웃이 됨. 규칙 위반의 배트로 친 타구도 반칙으로인정됨. |
임팩트(impact) | 투구한 공이 배트에 맞는 순간. |
자살 | 주자가 주루를 베이스와 베이스 사이에서 수비진에 잡혀 아웃이 되는 일. 또 야수가 플라이를 잡거나 다른 데서의 송수에 의해 타자와 주자를 아웃시키는 일. 런다운(run down). 척살. |
자유계약 선수 | 프로 야구 구단에서 자유로이 어느 구단에도 계약할 수 있는 선수 로 구단과의 계약이 해소된 선수나 어느 프로 구단과도 계약한 적이 없는 선수를 일컬음. |
자책점 | 사구, 안타 등 투수의 잘못으로 상대팀에 준 점수. 자기팀의 에러나 페스트 볼 등이 얽힌 경우는 해당되지 않으며 방어율을 산출하는 기초가 됨. 언드 런(earned run). |
잔루 | 공격 팀과 수비 팀이 교체할 때에 주자가 본루에 돌아오지 못하고 베이스에 남아 있는 일. |
장타 | 2루타 이상의 안타. 롱히트(long hit). |
저글(just meet) | 공을 잡을 때 글러브 안에서 공이 튀는 것. |
저스트 미트 | 타이밍이 잘 맞춰서 공의 중심을 배트에 맞추는 것. |
저지(judge) | 심판원이나 판정. |
적시 안타 | 누상에 주자를 두고 때려 타점을 올리는 안타. 적시타. 타임리 히트(timely hit) |
전천후 구장 | 눈이나 비에도 야구를 볼 수 있도록 지붕이 있는 구장. 1965년 미국 텍사스 주 휴스턴의 애스트로 돔(해리 스 카운트 스타디움)이 세계 최초의 지붕이 있는 구장임. |
제구력 | 투수가 마음먹은 데로 공을 던질 수 있는 능력. |
제소 게임 | 프로 야구에서 심판원이 규칙에 위반되는 판정을 했을 때 감독이 그 판정에 대한 심의를 청구하는 제소를 할 수 있으며 소청 위원회 에서 그것을 받아들이면 위반이되는 그 상황에서 게임을 다시 하는 것. |
져킹 (jerking) | 달리다가 갑자기 멈추는 것. |
좌익수 | 3루수와 유격수의 중간 외야의 수비에 서 있는 선수. 레프트 필더(left fielder). |
주루 | 주자가 누에서 누로 달리는 것. 베이스 러닝(base running). |
주심 | 구심. |
주전 투수 | 여러 팀과 투수들 가운데 가장 뛰어난 투수. |
중견수 | 2루 베이스의 후방을 수비하는 외야수. 센터 필더(center fielder). |
중도 | 두 주자가 동시에 도루하는 것. 더블 스틸(double steal). |
지명 타자 | 투수의 대타로 타순에 넣은 타격 전문의 선수로 공격 때만 시합에 참가함. DH(designated hitter)로도 쓰임. |
직구 | 곧게 던지는 공. |
진루 | 주자가 다음 베이스로 옮기는 것. |
척살 | 상대방의 타자와 주자를 아웃시키는 마지막 수비. |
체인지(change) | 쓰리 아웃이 되어 공수를 바꾸는 일. |
체인지 업 볼 | 볼에 변화를 가한 투구. 폼은 바꾸지 않고 구질이나 공의 코스를 바꿔 타자의 타이 밍을놓치게 하는 공. |
체인지 오브 페이스 | 타자가 볼을 잘 쳐내지 못하도록 타이밍을 바꾸는 기술로 번갈아 변화시킴. 체인지 업(change up). |
초크 히터(choke hitter) | 짧게 배트를 잡고 공을 가볍게 치는 타자. |
촉구 | 야수가 공을 잡은 글러브나 공을 주자에게 대는 것. |
촙 히터(chop hitter) | 배트를 짧게 쥐고 단타 위주로 때리는 타자. |
최우수 구원 투수상 | 1976년에 미국에서 처음 고안한 상으로 세이브수와 구원승리수의 합계가 가장 많은 투수에게 수여되는 상. |
최우수 방어율 투수 | 시즌을 통해 가장 방어율이 우수한 투수로 한 팀 당 짜여져 있는 시합 총수와 같은 수 이상의 이닝을 투구해야만 자격이 주어짐. |
최우수 선수 | 약칭으로 MVP(most valuable player)라고도 하며 그 시즌을 통해서 모든 점에서 가장 우수했던 선수에게 주어지는 명칭. |
카드(card) | 경기승부, 경기내용, 경기진행순 등을 지칭 |
카운트(count) | 볼 또는 아웃카운트의 약어 |
카펫(carpet) | [양탄자]란 뜻으로, 인조잔디구장을 지칭. |
| 중계방송을 담당하는 아나운서 |
캐쳐(catcher:C:2) | 포수 |
| 투수가 투구할 때까지 포수가 위치해야 할 장소 |
캐치(catch) | 1)포수노릇을 하는 것. 2) 투구나 타구 등을 글러브나 손으로 확실하게 잡아서 정확하게 움켜쥐는 행위. 일명 포구. |
| 경기 직전에 준비운동을 겸해 야수들끼리 볼을 던지고 받는 연습. |
캔버스(canvas) | 캔버스백 |
캔버스백(canvas-bag) | 황마가 재료인 두꺼운 천으로 만든 누의 표시장비. 일명 캔버스. 백 |
캔오브콘(can-of-corn) | [식료품점 진열대 위에 올려놓은 옥수수 통조림을 꺼내는 것만큼 쉬운]이란 뜻으로, 잡기 쉬운 평범한 플라이볼을 지칭 |
캠프(camp) | 스트링캠프 |
캠프인(camp-in) | 스프링캠프나 합숙에 들어가는 것. |
캡틴(captain) | 팀의 주장. |
커미셔너(commissioner) | 프로야구리그 주관처의 대표자로, 한국의 경우 한국야구위원회의 총재. |
커버(cover) | 베이스커버 |
커브(curve) | 변화구 |
커즌(cousin) | 1920년대 뉴욕 양키스 웨이트 호이트 투수가 요리하기 쉬운 타자들을 사촌처럼 잘 대해준다]라고 한 데서 유래된 [밥 . 봉]이란 뜻으로, 상대하기 만만한 팀, 타자, 투수를 지칭. |
커티시러너(courtesy-runner) | 1)[상대팀의 호의로 허용된 대주자] 뜻으로, 야구규칙에서는 이를 금하고 있음. 2)불의의 사고를 당한 주자를 대신하여 출장하는 선수, 즉 대주자를 지칭. |
커프트배트(cupped-bat) | 선단을 컵처럼 둥글게 도려낸 배트 |
커피 한잔 | 1)[커피 한잔 마시는 시간]이란 뜻으로 2군에서 잠깐 1군에 올라왔다가 경기에 임해보지도 못하고 다시 2군으로 밀려난 선수나 1군에 머무른 시간을 지칭. 2)[커피 한잔 마시듯] 쉽게 상대할 수 있는 2군에서 갓 올라온 신출내기 선수를 지칭. 일명 컵오브커피. |
컨버트(convert) | 전환하다[란 뜻으로, 본래의 포지션을 바꾸는 것이나 바꾸어 수비하는 것. |
컨트롤(control) | 투수가 자신이 마음먹은 대로나 포수의 사인대로 볼을 던지는 투구능력. 일명 볼 컨트롤 . 제구력. |
컴배커(combacker) | [원래 시작되었던 곳으로 다시 돌아가는 타구]란 뜻으로, 투수 앞 강습타구를 지칭. |
컴플리트(complet) | [완성하다[란 뜻으로, 투수가 완투하는 것을 지칭. |
컷오프플레이(cutoff-play) | 1)다른 주자의 진루에 대비하거나 아웃시킬 목적으로 어느 야수를 향해 던지는 볼을 목표점의 중간에서 제3의 선수가 가로채는 플레이. 2)중계플레이 |
컷트(cut) | 1)커브볼을 잡아채듯이 치는 것. 2)야수의 송구가 목적한 야수에 도달하기 전에 다른 야수가 중간에서 가로채듯이 잡는 것. |
케네디스코어 (Kennedy-score) |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J. F. 케네디가 야구는 8-7의 스코어가 가장 흥미있는 게임이라고 한 데서 비롯된 용어로, 8-7의 스코어를 지칭. |
케이(K) | 1860년대 뉴욕 헤럴드지의 M. J. 켈리기자에 의해 쓰이기 시작했던 스트럭아웃, 즉 삼진을 뜻하는 단어의 기록용 이니셜. 삼진(struck out)의 이니셜은 S이나 희생타(sacrifice hit)의 S와 중복되기 때문에 스트럭(struck)의 끝글자 K를 부호로 쓴 것임 |
케이비오 (Korea Baseball Organization :KBO) | 한국야구위원회 |
코너스톤(cornerstone) | [초석]이란 뜻으로, 그 역할이 건축에서 초석만큼 중요하다는 의미로 포수를 지칭. |
코너워크(corner-work) | 투수가 교묘한 컨트롤로 홈플레이트를 벗어날 듯 말듯한 볼을 던지는 것. |
코르크(cork) | 고무계열의 볼을 만드는 심의 재질. |
코리언시리즈 (Korean-series) | 한국시리즈 |
코스(course) | 1)타구의 방향. 2)투구의 코너 |
코처(coacher) | 베이스코치 |
코치(coach) | 팀의 유니폼을 입은 일원으로서 베이스코치임무를 담당할 뿐 아니라 감독이 지시하는 직무, 즉 타격, 수비, 투수, 주루, 작전, 배터리훈련 등을 수행하기 위해 감독이 지명한 사람. |
| 1루 및 3루 베이스라인에서 약 4.75m 떨어져 있는 곳에 공격팀 주루코치가 위치할 수 있도록 된 장소. 일명 코치스 라인 . 코처스박스 |
코칭스태프(coaching-staff) | 선수를 지도할 수 있는 입장에 잇는 감독을 포함한 모든 코치진의 총칭. |
코트스릴링(caught-stealing:CS) | 도루자 |
콘택트히트(contact-hitter) | [딱딱 맞히는 타자]란 뜻으로, 단타를 위주로 하는 타자를 지칭. |
콜(call) | 1)심판원이 판정을 내리는 것이나 선언하는 것. 2)야수들이 의사전들을 하기 위해 외치는 소리. |
콜드게임(called-game) | 1)어떤 이유로든 줏미이 종료를 선언한 경기. 2(규정이닝을 마친 상태에서 강우, 정전, 소요 등 부득이한 사유로 경기의 속행이 어려워 주심에 의해 종료선언된 경기로, 경기의 승패는 경기가 중단된 상태에서의 득점으로 결정. |
콜드스트라이크(called-strike) | 주심이 스트라이크를 선언함으로써 타자 입장에서 놓친 스트라이크를 지칭. |
콜포플라이볼(call-for-fly-ball) | 야수가 플라이볼을 자신이 잡겠다는 의지를 표시하는 큰소리. 일명 마인 . 아이갓잇 . 마이볼. |
콤비네이션(combination) | 1)야수들이 수비에서 보여주는 연결동작으로, 짜임새있는 협동플레이. 2)투수가 투구시 스트라이크와 볼을 적절히 배합하는 것. |
쿠션(cushion) | [방석]이란 뜻으로, 1.2.3루 베이스를 지칭. |
퀵리턴피치(quick-return-pitch) | 타자에게 타격자세를 취할 틈을 주지 않고 재빨리 투구하는 반칙투구행위 |
퀵피치(quick-pitch) | 퀵리턴피치의 약어. |
퀵훅(quick-hook) | [빠르게 낚아챈다]란 뜻으로, 조그만 위기만 맞아도 투수를 강판시키는 등 투수를 자주 교체하는 경향이나 그러한 감독을 지칭. |
크로스파이어(cross-fire) | 사이드암스로나 언대핸드스로의 볼처럼 홈플레이트의 각을 좌우로 가로지르는 투구. |
크로치(crotch) | 글러브의 엄지와 검지사이의 V자형 부분. |
크리켓(cricket) | 영국의 국기로, 약 100m 사방을 필드로하여 2개의 위킷을 20m 거리로 세워놓고, 1팀당 11명으로 된 2팀이 나무로 된 볼(목구)을 배트로 쳐 위킷을 넘어뜨리는 경기. |
클라우드버스터(cloud-buster) | [고층건물]이란 뜻으로, 높은 플라이를 지칭. |
클라우트(clout) | [때리다]란 뜻으로, [찬스나 위기]에 강한 타자를 지칭. |
클럽(club) | 경기장과 이에 부속되는 시설을 준비하고 팀을 구성하는 데 책임을 지는 개인이나 단체로, 리그와 관련하여 그 팀을 대표함. |
클로드스라인(clothesline) | [빨랫줄]이란 뜻으로, 라이너를 지칭. |
클로스게임(close-game) | 양팀의 전력이 엇비슷해 백중세를 이루는 경기 |
클로저(closer) | [닫는 것]이란 뜻으로, 최종회를 지칭. |
클로즈드스탠스(closed-stance) | 홈플레이트에 가깝게 하는 스탠스. |
클로즈드스트라이드(closed-stride) | 홈플레이트 가까운 쪽으로 발을 내딛으면서 하는 스트라이드. |
클린더베이스(clean-the-base) | 홈런으로 누상의 주자를 모두 불러들인 경우를 지칭. |
클린업(cleanup) | [대청소]란 뜻올, 4번타순이나 강타자를 지칭. |
클린업트리오(cleanup-trio) | 중심타선인 3.4.5번 타자를 지칭 |
클린업히터(cleanup-hitter) | 4번타자를 지칭. |
클린히트(clean-hit) | 타구를 배트중심에 정확히 맞힌 라이너성안타. |
키스톤(keystone) | [홈에서 2루를 보면 아치꼭대기의 종석처럼 보인다]는 뜻올, 2루를 지칭. |
키스톤플레이(keystone-play) | 2루를 중점으로 병살타 등을 처리하는 2루수와 유격수 간의 협동플레이. 일명 키스톤콤비네이션 |
키스톤히트(keystone-hit) | 2루타의 별칭 |
타격 방해 | 수비자가 타자의 타격을 방해하는 것으로 벌칙으로 1루가 주어 지는 규정. 그러나 동점 9회말에서 1사 주자 3루일 때 다음 타자가 외야에 희생 플라이가 될 듯한 1타를날리면 이것은 굿바이 게임 이지만 포수의 미트 가 배트에 닿아 타격 방해가 된 타자는 1루에, 3루 주자는 그 자리에 머무름. |
타석수 | 타자가 타석에 들어서서 타격을 완료한 횟수로 포 볼,희생타, 희생 번트, 플라이, 타격 방해, 주루 방해로 1루를 얻은 횟수를 제외한 수. |
타율 | 타자의 강약을 나타내는 지수로 안타에서 타수를 뺀 것으로서 이때 타수는 타자의 타석에 등장한 타석 수에서 포볼,희생타 및 타격이나 주루 방해 등으로 출루한 경우는 제외한 비율. 배팅 애버리지(batting aver-age). |
타이 게임(tie game) | 5회 또는 그 이상 게임을 행하고 날씨 사정 등의 기타 이유로 마감하는 게임에서 무승부로 끝나는 경우. 정 식 시합의 일부로 개인 기록은 가산됨. |
타임(time) | 정규로 플레이가 진행되는 시간. |
타임리 에러 | 결정적 실수. |
타임리 히트 | 적시타. |
타임 앳 배트 | 타구를 다루는 야수에 주자가 접촉하면 고의든 고의가 아니든 주자 아웃이 원칙인데 이 경우는 달릴 권리를 인정함. 그러나 주자가 고의로 부딪히면 아웃됨. |
타점 | 타자가 안타 등으로 자기 팀에 얻게 한 점수. |
태그(tag) | 야수가 확실하게 공을 잡고 그 신체를 주자나 베이스에 대는 행위. |
터치(touch) | 공을 주자에게 갖다 내는 일. |
터치 아웃(touch out) | 수비측이 주자의 몸에 공을 대서 아웃시키는 일. 척살. |
터칭 베이스 | 주자를 아웃시키기 위해 공을 베이스에 내는 것. |
턴 오버(turn over) | 타구가 베이스에 닿았다가 위로 넘어가거나 옆으로 빠져나가는 경우, 혹을 배팅할 때 양손을 바꿔 잡는 동작. |
테이크 더 마운드 | 투수가 투수판 위에 등장함. |
테일 앤드(tale end) | 리그전에서의 최하위 성적의 팀. |
텍사스 히트(texas hit) | 평범한 타구가 공교롭게도 외야와 내야의 중간에 떨어져 안타가 되는 경우. 텍사스 리거(texas leaguer). |
토너먼트(tournament) | 경기 때마다 패자를 제외시켜서 최후에 남은 둘이서 우승을 결정하게 하는 경기 방식. |
토스(toss) | 한 야수로부터 다른 야수에게 송구할 때 둘 사이의 간격이 짧아 가볍게 밑으로 공을 던지는 것. |
토스 배팅(toss batting) | 가까이 에서 던져진 느린공을 타자가 가볍게 맞추는 타격 연습. |
톱 배터(top batter) | 각 회에 첫 번째로 치는 타자. 혹은 타순의 첫 번째를 치는 타자. |
톱 볼(top ball) | 연식 야구공, 에보나이트의 심을 털실로 싸고 그 위로 스펀지 모양의 고무로 쌌음. |
투구 | 투수가 타자에게 던지는 공. |
투 런 홈런 | 주자가 한 명일 때 친 홈런으로 2점을 얻음. |
투 베이스 히트 | 2루타. |
투수 | 내야의 중앙에서 포수에게 공을 던지는 선수. 피처(pitcher). |
투수 교대 제한 | 같은 회에 투수 이외의 수비 위치에 두 번 이상 교대할 수 없음. |
투수판 | 투수가 투구할 때 반드시 발의 일부가 닿아야 하는 판자. |
투스텝(two step) | 투수가 타자에 투구할 때 투수판을 두 번 바꾸어 밟고 던지는 것으로 부정 투구가 됨. |
투 플러툰 시스템 | 똑같은 실력의 선수를 한 수비 위치에 두 사람씩 배치한 후 두 가지의 멤버를 구성해서 상대 투수나 작전에 따라 분간해서 두 사람을 쓰는 방식. |
트랩 플레이(trap play) | 함정에 빠뜨리는 플레이. 잡을 수 있는 공을 일부러 떨어뜨리고 타자나 주자를 아웃시키는 것 같은 플레이. |
트레이드(trade) | 프로 야구 팀간의 이적. |
트리플 스틸 | 수비측의 세 명이 한꺼번에 도루하는 일. |
트리플 크라운 | 프로 야구에서 수위타자, 홈런 왕, 타점 왕의 세 개를 한 사람이 독점한 사람. 3관왕. |
트리플 플레이 | 삼중살. 수비측이 연속 플레이에 의하여 공격측 선수를 세 명이나 잇달아 아웃시키는 경우. 세 개의 아웃 사이에 에러가 있는 경우는 예외임. |
트릭 플레이(trick play) | 속임수를 구사하여 상대 주자를 아웃시키는 일. |
팀 컬러(team color) | 팀이 가지고 있는 분위기나 특색. |
팁(tip) | 배트를 스치고 그대로 포수에게 노 바운드로 잡힌 공. 파울 팁(foul tip). |
파괴력 | 타력 |
파울(foul) | 1)파울볼의 약어. 2)타격의 결과를 파울볼로 선언하는 심판원의 콜. |
파울라인(foul-line) | 페어와 파울지역을 구별하기 위해 홈-1루-우측펜스와 홈-3루-좌측펜스 사이를 연장한 폭 7.62cm의 석회 등으로 표시된 백색선으로, 파울라인 자체는 페어지역임. 일명 파울선 . 라인 . 선. |
파울볼(foul-ball) | 타자가 정규로 친 볼로서 다음에 해당되는 것. (a)홈-1루 또는 홈-3루 사이의 파울지역에 멈춘 것. (b)1루 또는 3루를 굴러서 외야쪽으로 넘어갈 때, 파울지역에 닿으면서 통과하거나 또는 파울지역상의 공간을 통과한 것. (c)1루 또는 3루를 넘은 파울지역안에 최초로 떨어진 것. (d)파울지역 안 똔느 그 위쪽 공간에서 선수 또는 심판원의 몸이나 땅 이외의 것에 닿은 것. |
파울선 | 파울라인 |
파울스트라이크(foul-strike) | 스트라이크로 카운트되는 파울볼. |
파울지역 | 홈-1루-펜스 및 홈-3루-펜스 밑까지 연장한 직선(파울라인)과 그 각 선에 수직이 되는 위쪽 공간의 바깥쪽 부분을 말하며, 파울라인은 페어지역임. 일명 파울테리토리 . 파울그라운드. |
파울팁(foul-tip) | 타자가 친 볼이 날카롭게 배트에 스치고 포수의 손이나 미트로 가서 포구된 것을 말하며, 포구하지 못한 것은 파울팁이 아ㅣ며, 투스트라이크 이전까지는 스트라이크로 되고 투 스트라이크 이후에는 스트라이크아웃으로 됨. 또한 파울팁은 볼인플레이이고 앞서의 타구가 최초에 포수의 손이나 미트에 닿은 뒤 튀어나간 것이라도 포수가 땅에 닿기 전에 잡으면 파울팁이 됨. |
파울볼(foul-pole) | 홈플레이트에서 1.3루의 파울선을 펜스까지 그어서 끝나는 지점에 높게 세워 올린 경계기둥으로, 타구가 파울폴에 맞고 페어지역으로 떨어지면 홈런임. 폴대라는 말은 폴 자체가 [대]란 뜻을 갖고 있으므로 적절치 않음. 일명 폴. |
파울플라이(foul-fly) | 파울지역상에 뜬 것이나 처리된 플라이볼. |
파울히트(foul-hit) | 파울볼이 되게 타격하는 것. |
파워(power) | 타격이나 투구시 가해진 힘이나 힘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 |
파워배팅(power-batting) | 정교한 타법보다는 힘에 의존한 타법을 구사하는 배팅으로, 어떠한 구질의 볼을 칠 때도 결대로 치는 것이 아니라 볼을 감아 끌어치는 배팅. |
파워어호머 (power-a-homer) | 홈런을 치는 것. |
파워커브(power-curve) | 투수의 구질 중 속도감, 중량감, 큰 낙차가 있는 커브. |
파워피칭 (power-pitching) | 체인지오브페이스 등을 통한 컨트롤 위주보다는 힘에 의존한 투구를 구사하는 투구법으로, 주무기가 속구인 피칭. |
파이어맨(fireman) | [소방수]란 뜻으로, 구원투수를 지칭. |
파이어볼(fireball) | [번개같이 빠른 볼]이란 뜻으로, 강속구의 별칭. |
파이어볼러(fireballer) | [파이어볼을 던지는 사람]이란 뜻으로 강속구투수를 지칭. |
파이어워크스(fire-works) | 한꺼번에 많은 안타를 집중적으로 퍼붓는 것. 일명 집중안타 . 집중타. |
파인타타월(pine-tar-towel) | 배트의 손잡이에 송진을 뿌리는 대신 수건으로 닦으라고 송진을 흠뻑 적셔놓은 수건. |
파인플레이(pine-play) | 야수가 보통의 상태에서는 처리하기 힘든 타구를 멋지게 잡아내거나 훌륭하고 우수한 플레이. 일명 미기. |
파코너(far-corner) | [내야 중 1루와의 거리가 가장 먼 코너]란 뜻으로, 3루를 지칭 |
파티시페이션인트리플플레이(participation in triple play:PTP) |
|
팜볼(palm-ball) | 손바닥에 볼을 닿게하여 던지는 투구법으로, 스피드가 거의 없이 홈플레이트 부근에서 뚝 떨어지는 구질. |
팜시스템(farm-system) | 메이저리그에 소속된 팀이 마이너리그에 소속된 구단과 계열관계를 갖고 선수의 위탁이나 스카우트 등을 통해 전력보강을 목적으로 하는 일종의 2군제도. (farm) [농장]이란 뜻으로, 1군선수를 2군에 맡기는 것을 지칭. |
팜팀(farm-team) | 미국 마이너리그 소속으로, 팜시스템 목적에 부합되도록 만들어진 팀. 일명 팜 클럽 |
팝(pop) | 내야플라이를 치는 것. |
팝플라이(pop-fly)) | 야수가 쉽게 처리할 수 있을 정도로 빗맞아서 내야에 뜨거나 처리된 플라이볼. 일명 팝업. |
패러슈츠(parachutes) | [낙하산처럼 낙하지점을 예측할 수 없다]란 뜻으로, 블루퍼의 별칭 |
패스(pass) | 타자를 4구로 걸어가게 하거나, 4구로 인한 출루. |
패스볼(pass-ball) | 패스트볼 |
패스트라이징볼 (fast-rising-ball) | 속구의 일종이고, 목표점 부근에서 갑자기 떠오르는 볼로, 투수가 공의 실밥을 걸쳐서 잡고 던지면 공은 빠르게 떠오르는 볼이 됨. |
패스트볼(fast-ball) | 강속구 |
패스트볼 (passed-ball:PB) | 투수의 투구를 포수가 보통의 수비로 잡을 수 있는데도 이를 잡지 못하고 놓치거나 처리하지 못해 주자를 진루시키는 것. 일명 포일 . 일구. |
패스트볼러(fast-baller) | 강속구 투수. |
패전투수 | 규정에 의해 소속팀의 패전에 대한 책임을 지는 투수. 일명 루징피처. |
패턴(pattern) | 팀이나 선수가 작전이나 투구 등에서 일정한 형식을 반복적으로 적용하는 프로그램이나 틀. |
패트피치(fat-pitch) | [살찐 볼을 던진다]란 뜻으로, 타자가 쉽게 때릴 수 있게 변화없이 던지는 볼을 지칭. |
팬(fan) | 1)1890년대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의 독일태생 구단주 크리스 폰 에이히의 억센 독일어사투리발음을 인용하여 출입기자였던 샘 크린이 최초로 사용했던 용어로, 경기를 광적으로 즐기는 사람, 즉 퍼내틱의 약어. 일명 관중. 2)[헛스윙으로 바람을 일으킨다]란 뜻으로, 삼진을 지칭. |
팬북(fan-book) | 구단에서 해마다 선수의 프로필, 경기일정, 기록 등의 내용을 수록하여 팬들에게 나누어줄 목적으로 만든 책자. |
팬서비스(fan-service) | 구단이 팬들에게 사은의 뜻으로 하는 유형, 무형의 서비스. |
팬케이크(pancake) | [팬케이크처럼 얇다]란 뜻으로, 땅볼을 재빨리 걷어올릴 수 있도록 글러브의 패딩된 부분이 얇아 마치 팬케이크같다는 데서 유래된 말로, 주로 내야수용의 얇은 글러브를 지칭. |
퍼시픽리그 (Pacific-League:PL) | 일본프로야구리그의 하나이고 동부와 서부지구로 분리됨. |
퍼펙트게임 (perfect-game) | 투수가 상대팀에게 안타, 4사구, 실책, 타격방해, 주루방해 등으로 단 1명의 타자도 출루시키지 않고 무득점으로 막아낸 경기. 일명 완전경기 |
퍼포스피치 (perforce-pitch) | 고의로 던지다]란 뜻으로, 빈볼을 지칭. |
펌블(fumble) | 땅볼이나 바운드된 볼을 야수가 실수로 잡았다가 놓치거나 빠뜨리는 것. 일명 보블 . 부츠. |
펌프와인드업 (fump-windup) | 투수가 와인드업하는 과정에서 신체를 상하로 굴리는 동작. |
펑고(fungo) | 야수에게 연습타구를 날리기 위해 타격하는 사람. 자신이 공중에 볼을 던져 올리고 내려오는 것을 치는 것. 일명 노크. |
페넌트레이스 (pennant-race) | 1)우승기를 놓고 겨루는 경기, 즉 각팀이 우승을 목표로 승률을 쌓아가는 장기리그전. 2)연습, 시범, 시즌오프 등의 번외경기가 아닌 공식경기 |
페널티(penalty) | 경기자의 규칙위반행위에 대한 벌. |
페어(fair) | 1)페이볼의 약어. 2)타격의 결과를 페어볼로 선언하는 심판원의 콜. |
페어볼(fair-ball) | 타자가 정규로 친 볼로서 다음에 해당하는 것. (a)홈-1루 또는 홈-3루 사이의 페어지역 안에 멈춘 것. (b)1루 또는 3루에 바운드하면서 외야쪽으로 넘어갈 때 페어지역에 닿으면서 통과하거나 또는 그 위의 공간의 통과한 것. (c)1루, 2루, 3루에 닿은 것. (d)최초에 떨어진 곳이 1루 또는 3루 뒤의 페어지역이었을 경우. (e)페어지역안 또는 페어지역 위의 공간에서 선수 또는 심판원의 몸에 닿은 것. (f)인플라이트의 상태로 펜스를 넘어갈 때 페어지역의 위쪽공간을 통과한 것 |
페어지역 | 홈-1루-펜스 및 홈-3루-펜스 밑까지 연장한 직선(파울라인)과 그 각 선에 수직이 되는 위쪽공간의 안쪽부분을 말하며, 파울라인은 페어지역임. 일명 페어테리토리 . 페어그라운드 |
페어테리토리 (fair-territory) | 페어지역 |
페어히트(fair-hit) | 안타 |
페이스(pace) | 1)투수의 투구속도. 2)경기력의 전력여부 |
페인트모션 (feint-motion) | 상대를 속이기 위한 견제동작 |
페퍼(pepper) | [원기왕성하다]란 뜻으로, 타자와 야수의 반복동작이 활기차게 보이는데서 비롯된 말로, 타자가 몸을 풀기 위해 배트를 들고 야수와 짝을 이뤄 가볍게 때리고 야수는 다시 타자에게 볼을 던져주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을 지칭. |
페퍼게임 (pepper-game) | 경기 직전 가볍게 몸을 풀기 위해 두 사람이 가깝게 마주서서 한사람이 글러브를 끼고 공을 던져주면 또 한사람은 배트로 가볍게 툭 때려줘 타격과 수비연습을 동시에 하는 것. |
펜스(fence) | 외야의 수비한계를 표시하고 홈런의 기준이 되도록 한 경계담장으로, 야수를 보호하기 위해 완충성있는 물질로 덧씌우고 색깔은 타구와 수비게 구분되게 녹색계통으로 함. |
펜스버스터 (fence-buster) | [펜스를 부수는 사람]이란 뜻으로, 장타자나 강타자를 지칭. |
포그(fog) | [안개처럼 흐릿하게 하다]란 뜻으로, 강속구를 던지는 것을 지칭. |
포그볼(fogball) | [연구]란 뜻으로, 강속구를 지칭. |
포배거(four-bagger) | [4루타]란 뜻으로, 홈런을 지칭. |
포볼(four-ball) | → 베이스온볼스 |
포수(捕手) | 홈 뒤쪽에 있는 캐처스박스에 위치하여 투수리드, 투수포구, 주자견제 등의 임무를 띤 야수. 일명 캐처. |
포스더블플레이 (force-double-play) | 더블플레이중 포스아웃이 된 연속된 플레이. 예를 들면, 주자 1루시 1루수 앞 땅볼을 쳤을 때 1루수가 유격수에게 던져 1루 주자를 아웃시킨 다음 다시 1루로 던져 타자주자를 포스아웃시킨 경우에 해당됨 |
포스아웃(forceout) | 누에 있는 주자가 자신의 누로 다른 주자가 달려오기 때문에 다음 누로 가야만 하는 플레이 |
포스트시즌 (postseason) | 공식전 이후 시즌, 즉 페넌트레이스 이후에 진행되는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한국시리즈 등과 같은 경기가 열리는 시즌. |
포스플레이(force-play) | 타자가 주자가 된 까닭에 누상의 주자가 규칙에 따라 그 누의 점유권을 상실한 것이 원인이 되어 생기는 플레이, 즉 야수가 주자를 직접 태그하지 않고 주자가 의무적으로 가야 할 누만을 터치해도 아웃이 성립되는 플레이 |
포지션(position) | 야수의 위치나 수비위치 |
포켓(pocket) | 1)야수들이 글러브로 볼을 포구할 때 가장 안전하고 깊은 곳. 2)미트의 오목한 부분. |
포크볼(fork-ball) |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을 잔뜩 벌려서 공을 잡고 던지는 볼로, 회전이 적어 목표점 부근에서 뚝 떨어지거나 휘는 등의 변화가 심하게 일어나는 볼. |
포크핸더(forkhander) | 양식에서 포크를 잡는 손]이란 뜻으로, 왼손잡이 투수를 지칭. 일명 사우스포. |
포트사이더(portside) | [왼손잡이]란 뜻으로, 좌완투수를 지칭 |
포피티드게임 (forfeited-game) | 몰수경기 |
폭투(暴投) | 투수가 투구시 포수가 도저히 잡을 수 없을 정도로 난폭한 투구를 하는 것. 일명 와일드피치 . 와일드피칭. |
폴로스로(follow-throw) | 투구에 힘을 가하거나 컨트롤을 유지하는 등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팔의 스윙을 진행하는 방향으로 계속하여 휘두르는 동작 |
푸시번트(push-bunt) | 타자 자신이 살 목적으로 우타자는 투수, 1루수, 2루수 중간지점으로, 좌타자는 투수, 포수, 3루수 사이의 파울라인 가까이로 볼을 밀어서 굴리는 기습번트의 일종. 일명 세이프티번트 |
풀베이스(full-base) | 만루 |
풀스윙(full-swing) | 배트를 크게 휘둘러 스윙폭을 크게하는 타법으로, 힘은 최대한 발휘할 수 있으나 정확도가 떨어짐 |
풀카운트(full-count) | 볼카운트가 가득찬 상태로, 투스트라이크 스리볼의 상태를 말함. |
프랜차이즈(franchise) | [이익을 독점하는 등의 특권을 갖는다]는 뜻으로, 프로구단이 특정한 도시를 근거지로 하여 거기에서 특별한 흥행권을 갖는 것이나 제도 |
프레임(frame) | [스코어보드로 전광판이 사용되기 전에 나무로 만든 정사각형의 판에 페인트로 글씨를 쓴 점수판]이란 뜻으로, 한이닝이나 이닝의 별칭 |
프로야구 | 직업야구. |
프리배팅(free-batting) | 타자가 타격감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배팅볼투수가 정규의 위치에서 볼을 던져주어 마음대로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윙연습배팅으로, 타자는 예상투수의 구질, 주자, 상황, 작전 등을 감안한 효과적인 배팅을 해야 하며 배정된 시간을 엄수해야 함. |
프리에이전트 (free-agent) | 자유계약선수 |
플라이 볼(fly-ball) | 공중에 높이 뜬 타구. 일명 비구. |
플라이 아웃(fly-out) | 타자가 플라이볼을 쳐서 아웃되는 것. |
플러툰(platoon) | 1950년대 뉴욕 양키스의 케이시 스텐젤 감독에 의해 애용되던, 한 포지션에 공격전문과 수비전문의 복수의 선수를 기용하는 것이나 그러한 전법. 예를 들면, 경기가 종반에 접어든 상태에서 팀이 리드를 하고 있으면 수비를 굳히기 위해 수비가 뛰어난 선수로 교체하는 전법임 |
플레이메이커 (play-maker) | 공격을 풀어가거나 이끌어가는 선수 |
플레이볼(play-ball) | 주심이 경기의 개시나 재개를 선언하는 것. |
플레이오프(play-off) | 페넌트레이스가 끝난 뒤 갖게 되는 지역의 우승결정전. 한국의 경우는 한국시리즈에 진출하기 위한 2, 3위 간의 경기 |
플레잉코치 (playing-coach) | 선수를 겸하는 코치. |
피벗맨(pivot-man) | 더블플레이를 위해 중계위치로 들어가는 선수. 6-4-3의 더블플레이인 경우 2루수가 해당됨 |
피스오브아이언 (piece-of-iron) | [쇠붙이]란 뜻으로, 초창기에 나무배트가 좀더 단단해지라고 쇠붙이로 두드린 데서 유래된 말로, 쇠처럼 단단하고 좋은 배트를 지칭 |
피안타 | 투수가 안타를 허용하는 것. 일명 히트퍼미티드 |
피처(pitcher:P:1) | → 투수 |
피처스듀얼(pitcher's-duel) | [투수들 싸움]이란 뜻으로, 양팀간에 서로 득점치 못하는 팽팽한 투수전을 지칭. |
피처인더홀 (pitcher-in-the-hole) | 볼카운트가 노스트라이크 스리볼이나 원스트라이크 스리볼의 상태에 처해 있는 투수. 즉 불리한 볼카운트에 처해있는 투수를 지칭. |
피치아웃(pitchout) | 투수가 도루나 스퀴즈플레이를 경계하여 타자가 치지 못하도록 포수와 짜고 일부러 스트라이크존을 벗어나게 던지는 투구. 일명 피치트아웃, 웨이스트볼, 버리는 볼, 빼는 볼. |
피치어라운드 (pitch-around) | 누수가 강타자를 맞아 정면승부를 피해 스트라이크존 근처로 조심스럽게 코너워크를 구사하는 것. |
피칭(pitching) | 1) 피치 2) 투구법. 일명 헐 |
피클(pickle) | [곤경]이란 뜻으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곤란한 상황이라는 데서 유래된 말로, 런다운플레이를 지칭. |
피홈런 | 투수가 홈런을 허용하는 것. 일명 홈런퍼미티드 |
픽업(pickup) | 야수가 글러브나 미트로 타구가 땅에 떨어지자마자 채듯이 잡는 것. |
픽오프(pickoff) | 1) 견제구로 터치아웃시키는 것. 2) 터치아웃 |
픽오프플레이 (pickoff-play) | 1) 투수나 야수, 포수나 야수가 작전에 의한 견제로 주자를 아웃시키려는 플레이 2) 최선을 타하는 플레이. |
핀치러너 (pinch-runner) | 대주자 |
핀치히터 (pinch-hitter:PH) | 대타자 |
필더베이시스 (fill-the-bases) | 만루로 만드는 것. |
필드(field) | 1) 넓은 의미로 내.외야, 좁은 의미로 외야. 2) 수비측이나 야수. |
필딩(fielding) | 1) 야수가 볼을 받거나 송구하는 등의 수비훈련. 일명 노크 2) 수비 |
필딩애버리지 (fielding-average:FA) | 수비율 |
필딩포지션 (fielding-position:POS) | 수비위치 |
필즈맨(fieldsman) | 야수(특히 회야수) |
하이볼(high-ball) | 높게 던지는 투구나 송구. 일명 높은 볼 |
하이파이브(high-five) | [손가락 5개를 높이 들어올린다.]란 뜻으로, 선수들끼리 손을 높이 들어 손뼉을 치는 행위 |
하프스윙(half-swing) | 타격시 완전스윙은 아니지만 배트끝이 투수쪽으로 상당히 돌 정도의 스윙을 하는 타격행위로, 하프 스윙은 스트라이크가 되며 스윙 여부의 판정은 심판원이 함. |
하프웨어(halfway) | 타구가 외야플라이가 되었을 때 타구처리 여하에 따라 진로를 결정할 목적으로 누와 누 사이의 중간정도로 나가있는 주루플레이 |
한국시리즈 | 1982년부터 시작된 한국프로야구소속팀간의 레이스 결과 최종적으로 남은 상위 두 팀간의 7전 4선승제로 벌이는 챔피언결정전 |
한국야구기록연구회 | 한국프로야구를 관장하는 최고의결기구로, 명예총재, 총재, 사무총장, 사무차장, 운영부장, 총무부장의 직책과 총회, 이사회의 회의와 규칙위원회, 기록위원회, 심판위원회, 특별보좌역의 위원회등으로 구성됨. 일명 KBO. 위원회. |
한국프로야구연감 | 한국야구위원회가 발행하는 1년간의 사건, 기록, 기록, 통계 등을 심은 연 1회의 전기간행물. 일명 야구연감. 연감. 오피션베이스볼가이드 |
핫볼(hot-ball) | 간하게 맞은 타구 |
핫스토브리그 (hot-stove-league) | 시즌이 끝난뒤의 겨울, 즉 비시즌 또는 시즌이 끝난 후 선수동향 및 다음 시즌에 대한 야구팬들의 [난롯가에서의] 이야기를 지칭. 일명 스토브리그 |
핫코너(hot-corner) | 1880년대 신시내티의 힉카벤터 3루수가 한 경기에서 7개의 강한 타구를 처리한 것을 본 렌 멀포드 기자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뜨거울 정도로 강한 타구가 많이 가는 코너. 즉 3루를 지칭 |
해설자 | 중계방송시 캐스터와 함께 도움말을 하는 사람. |
해트트릭(hat-trick) | 1) [1800년대 영국에서 공3개를 연속으로 때려 연속으로 집어넣은 크리켓선수에게 새 모자를 상으로 준다]란 뜻으로, 투수가 연속 3명의 타자를 아웃 시키는 것. 2) 타자가 한 경기에서 연속 3개의 홈런을 치는 것. 3) 사이클히티를 지칭. |
헤드업(head-up) | 배트를 휘두르는 스윙동작 때 턱이 위로 치켜올라가 눈이 볼에서 떨어지는 타격자세로, 헤드업이 되면 볼을 정확히 맞힐 수 없게 됨. |
헤드워크(head-work) | 머리를 써서 경기를 운영하는 것. |
헤드퍼스트슬라이딩 (head-first-sliding) | 손을 쭉 뻗으면서 머리가 먼저 누쪽으로 향해 미끄러지듯 들어가는 슬라이딩으로, 귀루에의 슬라이딩으로 적합. 일명 헤드슬라이딩 |
헤비배터(heavy-batter) | 강타자를 지칭. |
헤지테이션피치 (hesitation pitch) | [완급투구]란 뜻으로, 1950년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페이지 투수가 시도한, 와인드업시 머뭇거리면서 타자의 타이밍을 뺏기 위한 체인지업의 일종 |
헬멧(helmet) | 투수의 투구나 야수의 송구시 타자나 주자의 머리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단단한 모자로 타자가 타석에 들어설 때는 귀덮개가 있는 헬멧을 의무적으로 착용케 되었음. |
현역선수(現役選手) | 1)연도선수권대회에 출장할 수 있도록 구단에 의해 등록이 완료된 선수. 2)엔트리에 등록된 선수, 즉 언제든지 경기에 출장이 가능한 선수. |
현역선수명단 | 엔트리 |
호머(homer) | 홈런의 약어 |
홀(hole) | 1)[구멍]이란 뜻으로, 야수 사이로 타구가 빠져나가는 공간을 지칭. 2)수비가 약한 야수나 그러한 야수의 수비위치를 지칭. |
홀러가이(holer-guy) | 경기중인 선수를 격려하기 위해 쉴새없이 고함을 지르는 선수나 코치를 지칭 |
홀오브페임(hall-of-fame) | 명예의 전당 |
홈(home) | 1)내야 수비위치의 한 곳으로, 시작점이자 최종적인 귀환 목표점의 홈플레이트가 놓인 수비위치. 2)홈플레이트의 약어. 일명 본루 |
홈경기 | 자기 본거지에서 벌이는 경기 |
홈그라운드(home-ground) | 그 팀의 소재지에 있는 그라운드 |
홈런(homerun:HR) | 타구를 직접 펜스 밖으로 넘기는 등의 타격, 즉 한 번의 타구로 타자 자신이 홈까지 들어올 수 있는 안타. 솔로홈런/투런/스리런/그랜드슬램. 일명 호머 . 본루타 . 롱볼 . 서킷드라이브 . 서킷클라웃 . 다운타운 . 곤 . 라운드트리퍼 . 블래스트 . 딩거 . 포배거 . 머니스매시 |
홈런더비 (homerun-Derby) | 더비는 영국 슈레이주 앱솜에서 매년 6월에 거행되는 대경마대회에서의 대경쟁이라는 뜻으로, 홈런경쟁을 지칭 |
홈런퍼미티드 (homerun-permitted :H게) | 피홈런 |
홈런히트(homerun-hit) | 타자가 홈까지 살아서 돌아올 수 있도록 친 안타 |
홈베이스(home-base) | 홈플레이트 |
홈스틸(home-steal) | 3루주자가 홈으로 하는 도루 |
홈인(home-in) | 런인을 지칭. |
홈팀(home-team) | 1)어느 팀이 자기구장에서 경기를 할 경우 자기팀을 지칭. 2)이닝의 말공격을 하는 팀. 3)비지팅팀에 대한 상대적 호칭 |
홈플레이트(home-plate) | 홈의 위치표시나 스트라이크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구역표시장비인 5각의 백색고무판. 일명 홈베이스 . 플래터 . 본루 . 디시 |
홉(hop) | 1)땅볼이 튀어오르는 것. 2)타자 근처에서 볼이 갑자기 떠오르는 투구 |
홉플라이(hop-fly) | 배트에 볼이 잘못 맞아서 튀어오르는 것 |
화이트워시 (white-wash) | [하얗게 씻다]란 뜻으로, 공격이 아무런 색깔을 찾지 못하고 그냥 백지상태임을 표현한 말로, 완봉승을 지칭. |
확률야구 | 기록야구 |
횟수 | 1)되풀이되는 일이나 차례의 수효. 2)이닝의 수 |
후위주자(後位走者) | 동시에 2개 이상의 누상에, 주자가 있을 때 뒤의 누를 점유하고 있는 주자 |
희생번트 | 희생타 |
희생타(犧牲打) | 투아웃 이전에 타자가 자신은 아웃될 것을 전제로 주자를 진루시키기 위해 볼을 가볍게 땅으로 굴리는 타격으로, 희생타는 타수에서 제외됨. 일명 희생번트 . 보내기번트 . 새크리파이스 . 새크리파이스번트 . 새크리파이스히트 . 희타 |
희생플라이 | 무사 또는 1사에 3루에 주자를 두고 타격을하여 깊숙한 타구로 자신은 아웃되지만, 주자가 태그업플레이로 득점할 수 있도록 하는 플라이. 희생플라이는 타수에서는 제외되지만 출루율에서는 계산됨 |
히든볼(hidden-ball) | 트릭플레이를 위해 주자 모르게 숨겨 가지고 잇는 볼. |
히든카드(hidden-card) | 결정적일 때 출전시키기 위해 아껴두는 선수. |
히터(heater) | [볼이 빨라 뜨거울 정도]란 뜻올, 강속구를 지칭 |
히트(hit:H) | 안타 |
히트더코너(hit-the-corder) | 구석을 찌른다]란 뜻으로, 코너위크된 스트라이크를 지칭. |
히트맨(hit-man) | 암살자]란 뜻으로, 난폭한 선수를 지칭 |
히트바이피치트볼 (hit by pitched ball :HP:DB:D) | 타자가 투수의 투구에 의해 스트라이크존이 아닌 곳에서 스윙하지 않은 상태에서 신체의 어느 부분에 볼을 맞는 것. 일명 데드볼 . 몸맞은 볼 . 사구. |
히트배츠맨 (hit-batsman) | 몸에 볼을 맞은 타자 |
히트앤드런 (hit-and-run) | 보통주자. 1루상태에서 병살방지와 1개의 안타로 2개의 누까지 진루시킬 목적으로, 타자는 어떠한 볼이라도 반드시 때리고 주자는 투수의 투구동작과 함께 스타트하는 작전에 의한 공격법. 일명 치고 달리기 |
히트퍼미티드 (hit-permitted:HTP) | 피안타 |
히트페스트(hitfest) | 난타전을 지칭 |
히팅스트리그 (hitting-streak) | 연속안타 |
히팅시스템 (hitting-system) | 타자가 유리한 볼카운트에서 볼을 기다리지 않고 적극적으로 타격하는 것이나 작전. |
히팅포사이클 (hitting-for-cycle) | 사이클히트 |
힐(heal) | [비열한 사람]이란 뜻으로, 악역적인 스타선수를 지칭. |
힐(hill) | [언덕]이란 뜻으로, 마운드의 별칭 |
원문출처:서울 초중등 생활체육 교육연구회
첫댓글 오래전에 동호회회원님이 올리셨던 글이에요 정리해서 올렸습니다.
유용한 자료 감사해요.
처음듣는 용어도 많네요
감사합니다
유익한 자료 감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