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사극을 제외하고는 드라마를 거의 시청하지 않는다.
그러나, 아내가 ‘굳세어라 금순아’를 빠지지 않고 시청하여 뉴스를 기다리는 동안, 휴식을 취하는 동안 토막토막 드라마를 보게 되었다. 드라마의 줄거리 전개는 도식적이라 가끔씩 부분부분 보았지만 흐름을 극의 흐름은 이해할 수 있었다.
‘굳세어라 금순아’는 시청자들의 호평을 받으며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다고 하여 마지막 회는 처음부터 시청하였다.
‘굳세어라 금순아’는 변화되고 있는 결혼과 가족제도를 보여 주고 있다.
작가는 이러한 변화에 대한 금기를 깨뜨리며 변화된 가족제도를 인정할 것을 강력하게 극을 통하여 독자들에게 요구하고 있다.
이 연속극을 시청하면서 다음과 같은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첫 번째는 결혼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가장 고전적이고 일반적인 결혼은 총각과 처녀가 만나서 결혼을 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요즈음은 그렇지 않은 예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에는 미혼 남녀의 결혼이 가장 일반적인 것이고, 재혼 남자와 초혼 여자의 결혼이 그 뒤를 이었다. 초혼인 남자와 재혼인 여자의 경우는 그리 흔하지 않았다. 그런데 몇 년전부터인가 초혼인 남자와 재혼인 여자의 결혼이 그 반대의 경우를 상회하게 되었다.
‘굳세어라 금순아’에서는 금순이와 그의 동서 모두 사별하거나 이혼한 여자로 재혼이지만 당당하게 초혼인 남자, 그것도 조건이 괜챦은(?) 남자와 재혼하고 있다.
이는 결혼에 있어서 초혼이냐 재혼이냐를 따지지 않고 당사자간에 좋고 마음이 맞으면 결혼할 수 있다는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자식의 결혼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의 위축이다.
극중에서 재희의 어머니는 재희와 재혼녀인 금순의 결혼을 완강하게 반대하지만 결국은 자식의 의지를 꺾지 못하고 이를 수용한다. 요즈음 대부분의 다른 드라마 역시 이런 도식을 따르고 있다.
이는 ‘자식 이기는 부모가 없다’는 시류를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부모가 자식의 결혼에 대한 결정권을 행사하는 시대가 지나갔고 부모는 자식의 결정을 수용하고 혼례를 주관하는 역할만을 하게 되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끝으로 변화된 가족제도를 보여주고 있다.
부모와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들로 이루어지는 고전적이고 전형적인 가족 이외에 여러 가지 다양한 변형 가족이 생겨나고 있다.
호주제 폐지와 친양자제도 실시는 더 이상 아버지를 중심으로 한 부계 가족제도를 지지하지 않고 있다.
이 드라마에서 금순이와 그의 동서는 각각 전남편에게서 낳은 아들을 재혼한 시집에 당당하게 데리고 들어 간다.
10여년전만하여도 이런 경우 부모와 독립하여 살거나, 아니면 친정에 맡기고 시집으로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그리고,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외할아버지와 외할머니가 되고, 새할머니가 친할머니가 되는 가족관계의 변화가 나타나 있다.
이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으로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작가는 이러한 변화를 알리고 다양한 가족제도를 수용하라는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굳세어라 금순아'는 단순히 금순이라는 한 여자가 역경을 이기고 자기의 삶을 주도적으로 개척하여(여기에는 신데렐라적인 요소도 있지만) 해피엔드로 끝나는 도식적인 연속극의 형태를 띄고 있지만 드라마를 통하여 변화되고 있는 결혼과 가족제도를 보여 주고 있다.
이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는 이 세대가 지나고 난 먼 훗날 평가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