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안녕하세요. 저는 중2 아들 하나를 키우고 있습니다.
학교에서 같은 반 친구가 저희아이를 계속 외모를 비하하면서 놀렸다고 해요. 얼굴이 크다는 등 여자 같다는 등의 수치감이 들 정도의 말을 섞어가면서 놀렸다고 하더라고요. 근데 이게 한 두 번이 아니었던 것 같고 놀리는 수위도 점점 높아지고 신체적인 폭력도 이어졌다고 하더라고요. 한 번은 저희 아이가 너무 화가 나서 커터칼을 들고 그 놀린 친구를 위협했다고 해요. 한 번만 더 거들이면 죽여버리겠다고 소리지르면서 덤벼 들었는데 상대친구도 같이 칼을 들고 죽여보라고 하면서 교실이 아수라장이 됐다고 하더라고요. 담임 선생님께 얘기 듣고 어찌나 놀랐던지 이게 무슨 일인가 싶었습니다. 집에서는 이정도의 모습을 보인적은 없었거든요. 중학생이 되고나서 좀 까칠해졌고 간간히 반항을 하길래 그저 사춘기가 시작된 거라 생각했어요. 저희 아이가 말로만 듣던 분노조절장애인건지 아니면 뭔가 다른 이유가 있는 건지 너무 답답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또 이런 일이 일어날까봐 너무나 염려되고 두렵습니다. 제가 어떻게 아이를 대해야 될까요? 도와주세요.
A. 안녕하세요.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입니다.
안녕하세요. 중2 아들의 공격적이고 충동적인 행동에 놀라고 염려가 되셔서 문의해주신 것으로 이해됩니다. 중학교 2학년이면 사춘기로 신체적, 정서적으로 큰 변화를 겪는 시기이며 아이들도 자기들의 감정적 변화에 당황하기도 하고 힘들어 하기도 하는데요. 자꾸만 짜증이 난다거나 자기가 분노조절장애가 아닌지 모르겠다며 염려하는 아이들도 볼 수 있습니다. 어머니께서 써주신 내용만으로는 학생이 평소에도 충동성 조절에 어려움이 있었는지 알 수는 없습니다. 다만 써주신 내용을 보면 상대방 아이가 화가 날 정도로 계속해서 놀렸고 점차 신체적인 폭력까지 이어지면서 커터칼을 꺼내들며 분노를 표현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아이들이 자존감에 큰 손상을 입을 때(존중받지 못했다고 느끼거나 무시 받았다고 느낄 때) 큰 분노가 일어나고 그때 충동성 조절이 어려우면 누군가를 때리거나 우려할 만한 위험한 행동을 하기도 하는데요. 현재 학생이 상대방을 화가 날만큼 지속적으로 놀리거나 커터칼을 꺼낸 행위만 볼 때는 공격성의 어려움과 충동성 조절의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짐작이 됩니다. 그리고 이 일이 발생 후에 어떻게 해결이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학생은 적절한 벌을 받았는지도 궁금합니다.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적절한 처벌을 받아야 할 것입니다. 그래야 아이들은 다음에도 똑같은 일로 벌 받지 않으려고 위험한 행동을 하지 않게 됩니다. 학생이 평소에도 공격성이나 충동성 관련해 어려움이 있다면 센터에 방문하셔서 아이의 심리정서적 상태를 파악하시고 적절한 심리치료 개입을 고려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아이의 짜증 탈출을 돕는 바른 개입 3단계
1. 아이가 짜증이 난 원인과 공간을 분리해주세요.
아이가 짜증이 난 원인과 공간을 분리해주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장난감을 갖고 놀고 있는데 잘 안 돼서 아이가 너무 화가 나 있을 경우 아이가 지나치게 자기 세계에 머물면서 짜증이 계속 올라가지 않도록 아이를 지나치게 짜증나게 만들고 있는 개입물인 장난감으로부터 아이를 살짝 떨어트려야 되는 상황이라고 인지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때는 짧게 “조절이 좀 안 되면 아빠가 도와줄게”라고 얘기한 후에 아이를 번쩍 안 아서 장난감이 없는 방으로 살짝 들어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공간이 환기가 되는 것만으로도 아이는 자기 짜증에서 나오기 훨씬 더 쉬운 환경이 됩니다.
2. 아이가 감정에서 나올 수 있도록 눈을 마주쳐 주세요.
아이가 스스로 그냥 나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눈 마주침을 유도를 해 봅니다. “00야, 짜증 많이 났지? 잠깐 멈추고 아빠 눈을 보자. 멈추고 아빠 봐야해.” 아이가 눈을 마주 친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아이가 자기 세계에 머물러 온갖 짜증을 내고 있다가 눈을 들어서 상대를 보는 순간 감정의 환기가 되는 느낌을 아이가 그때도 느낄 수 있습니다.
3. 아이가 짜증을 인지하고 스스로 진정됐다고 말 할 수 있도록 유도해주세요.
우리가 아이들에게 감정 코칭을 해줄 때 가장 중요한 것 중에 하나는 “네 짜증을 조절해야 돼!”가 아니고 “너의 짜증을 먼저 인지해야 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짜증을 조절하지 못하는 사람의 상태는 어떠할까요? 자기들이 짜증을 내면서도 짜증을 내고 있는 걸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화를 내면서도 그 화에 지나치게 몰입되어 있다는 걸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는 [자신의 안에 갇혀 있는 상태] 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해줘야 되는 것은 “너 스스로 갇혀 있는 상태에서 마음의 정리하고 나와.” 혹은 “너 스스로 마음 정리하고 나오지 못하면 엄마는 너를 외면하고 피할거야 너 알아서 해”라는 것도 아니고 아이가 스스로 나올 수 있게끔 최대한 환경을 만들어주고 약간의 넛지를 통해서 “00야, 아빠 봐 감정을 나올 때는 단계가 필요하지. 먼저 주변에 환기하고 너를 인식하고 아빠를 보고 진정되면 도와줄 거야. 진정 됐니?”라고 얘기해서 아이가 “진정됐어요.”라고 스스로 얘기할 수 있게끔 유도하는 게 좋겠습니다. 이런 메시지를 계속 반복해서 주면 아이들은 뭘 배울 수 있냐면 “내가 지금 현재 감정 상태가 지나치게 흥분되어 있고 짜증에 몰입되어 있구나.”라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한 가지 물건에 집착/교우 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학생
[상담 후기] >> 개별 및 사회성 치료 초등 저학년 후기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이향숙 소장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박사 (아동심리치료전공)
상담 경력 24년, 대학교수 및 외래교수 경력 29년
현) KG 패스원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평생교육원 외래교수
KBS, MBC, SBS, EBS, JTBC,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청와대신문 등 아동청소년가족상담 자문
자격) 미국 Certified Theraplay Therapist (The Theraplay Institude)
심리치료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부부가족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사티어 부부가족 상담전문가 1급 (한국사티어변형체계치료학회 공인)
청소년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공인)
재활심리치료사 1급 (한국재활심리학회 공인)
사티어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강사/ 사티어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강사
MBTI 일반강사/ 중등2급 정교사/ Montessori 교사/ 유치원 정교사/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
*참고문헌
신혜민. “아동․청소년을 위한 분노 조절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양대학교 논문지 (2016): 8-10
짜증, 분노 조절 안 되는 아들 마음 다루는 진짜 현실적인 방법 [최민준]_최민준의 아들TV
https://www.youtube.com/watch?v=wsxGuhtCoFo
*사진첨부: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수련인턴 윤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