使我介然有知 行於大道 唯施是畏 사아개연유지 행어대도 유시시외 大道甚夷 而民好徑 朝甚除 田甚蕪 倉甚虛 대도심이 이민호경 조심제 전심무 창심허 服文綵 帶利劍 厭飮食 財貨有餘 복문채 대리검 염음식 재화유여 是爲盜夸 非道也哉 시위도과 비도야재 의역: 만약 내가 조금이라도 道를 안다면, 반드시 그 길을 따를 것이고 바르지 않은 길로 들어서는 것을 두려워할 것이다. 바른길은 매우 평탄 하건만 사람들은 지름길(샛길)만을 좋아한다. 王과 위정자들을 위한 궁궐은 잘 정돈되어 있으나 백성들이 먹고 살고자 농사지어야만 하는 논밭에는 풀이 무성하고 곡간은 텅 비었구나. 위정자들은 화려한 실크 옷을 두르고, 보검을 차고, 좋은 음식을 먹는 것도 지겨울 정도며, 재물이 남아도는 행위들은 모두 도적질과 같으며 잘못된 길이다. |
53章은 부패한 정치가들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이 또한 정치, 법도와는 거리가 멀다. 타락한 정치에 괴롭힘 당하는 백성들 입장에서 쓴 것이다.
使我介然有知(사아개연유지)
만일 내가 조금이라고 道에 대해 안다면. 介는 조금이라도 라고 해석한다. 무엇을 안다면? 바로 아래에 나오는 대도를 조금이라도 알면.
行於大道 唯施是畏(행어대도 유시시외)
대도의 길에 들어설 것이요 샛길로 빠지는 것을 두려워할 뿐이라. 위 문장까지 연결해서 해석해보자. 만약 내가 조금이라도 도를 안다면, 반드시 그 길을 따를 것이고 바르지 않은 길로 들어서는 것을 두려워할 것이다. 施는 “기울다”로 大道에서 치우치는 것이다.
大道甚夷 而民好徑(대도심이 이민호경)
바른길은 매우 평탄하건만 사람들은 지름길(샛길, 사도)만 좋아한다. 여기에서 지칭하는 사람은 백성들이 아니라 권력으로 재물을 취하려는 권력추종자들이다. 그 이유는 다음 문장에서 조정이 나오기 때문이다.
朝甚除 田甚蕪 倉甚虛(조심제 전심무 창심허)
궁궐은 잘 정돈되어 있으나 밭에는 풀이 무성하고 곳간은 텅 비었다. 除는 掃除(소제)로 먼지나 더러운 것을 쓸고 닦아서 깨끗한 상태다. 궁궐이 매우 깨끗함을 암시한다. 蕪는 황무지로 밭이 황무지처럼 변한 상태다.
服文綵 帶利劍 厭飮食 財貨有餘 是謂盜誇 非道也哉(복문채 대리검 염음식 재화유여 시위도과 비도야재) 화려한 실크 옷을 두르고, 보검을 차고, 좋은 음식 먹는 것도 지겨울 정도며, 재물은 넘치는 행위들은 도적질이요 잘못된 길이라.
이 章도 보는 바와 같이 老子는 정치를 언급할 맘이 전혀 없다. 老子에게 정치는 무조건 나쁜 것이다. 道를 따르지 않기 때문이다. 53章에 어울리는 詩經 한 구절을 올려본다.
不稼不穑 심고 기르지도 않음서
胡取禾三百廛兮 창고는 왜 그리 가득 찼단 말인가?
不狩不獵 사냥도 하지 않았는데
胡瞻爾庭有縣貆兮 어찌 짐승 가죽들로 장식할 수 있단 말인가?
彼君子兮 이러한 군자는
不素餐兮 밥그릇에 밥을 퍼 담을 자격도 없는 놈이라!
-출처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