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동차업계가 악화일로에 있는 대내외적 경영환경과 급격하게 밀려오는 변화의 물결 앞에서 우왕좌왕하는 모습이다. 그런데 현재 국내 자동차업계가
겪는 위기는 스스로 자초한 측면도 없지 않다. 현대차만 해도 그렇다. 1960년대 정부주도형 개발정책 아래 국민적 희생을 바탕으로 국가의 모든
역량을 자동차 산업육성에 쏟아 붓은 결과 오늘날 현대기아차가 존재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대차가 성장의 과실이 맺기 시작한 90년대 이후 현대차 노사는 성공의 열매를 오로지 자신들만의 것인 양 매년 임금투쟁에
나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협력업체 근로자들과 비정규직들이야 죽든 말든, 자신들만 나눠먹는데 열을 올리는 이기적임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국민과 시민, 다른 산업 노동자, 심지어 자신들의 자동차를 구매하는 애국소비자마저 안중에 없었다.
현대기아차 노사는 “뿌린 대로 거둔다.”는 옛 속담을 마음속 깊이 새겨야 한다. 지난해 말부터 현대기아차는 중국의 사드문제와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수출에 직격탄을 맞았다. 현대기아차는 지난 4월 국내외에서 전년 동기대비 11.7% 줄어든 36만4225대를 판매했다. 신차
효과로 국내 판매는 1.5% 늘긴 했지만, 껍데기만 살짝 바꾸는 얄팍한 상술이라 비판받던 탓에 신차효과도 힘을 쓰지 못했다. 더욱이 해외 판매도
13.9% 감소하며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자발적 리콜을 거부했던 현대기아차가 결국 리콜 처분을 받게 됐다. 정부는 해당 결함과 관련해 은폐 여부도
수사기관에 수사 의뢰했다. 이번에 리콜 처분된 5개 결함을 가진 것으로 시정대상 차량만 12개 차종에 24만대로 추정된다. 이번 사태로
현대기아차의 소비자 신뢰가 어디까지 추락할지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다.
결국 현대기아차가 살아남기 위한 방법은 노사 간 대화와 소통, 생산성 제고와 기술개발 등을 통한 경쟁력 강화 정도일 것이다.
머지않아 전기차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엔진조립라인은 사라지고 로봇이 그 자리를 대신할 날이 머지않았다. 그때 가서 노조가 일자리 보존을
요구한다고 가능하겠는가. 현대차는 소비자와의 상생을 위한 배려가 통할 때만 존재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기사입력: 2017/05/14 [18:43] 최종편집: ⓒ 광역매일
http://www.kyilbo.com/index.htm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