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과 혼돈의 시대에서 새로운 길 찿기는 가능할까?
어느 시대인들 모든 사람이 진정으로 행복하다고 느꼈던 시대가
있었을까?
요,순 시대에도 불평등은 존재했을 것이고,
이곳저곳에서 불평과 불만은 항상 내재해 있었을 것이다.
인류가 시작된 이래 그 모든 시대는
오늘 이 시대처럼 분열과 혼돈의 시대였을 것이다.
니체는 <권력에의 의지>의 ”유럽의 리힐리즘의 역사“의 서두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나의 벗이여, 우리가 젊었을 때, 우리는 고뇌하고 있었다. 우리는 중병으로 고통스러워하고 있듯이, 청춘 그 자체로 고통스러웠던 것이다. 이것은 우리가 던져 넣어져 있었던 그 나약함의 모든 것으로써, 그리고 그 최선의 강한 것으로서 조차 청년의 마음에 거슬리는, 내면적인 대 퇴락과 대 붕락의 시대가 유발하는 작용이었던 것이다.
붕락, 따라서 불확실성이 그 시대의 특징이었다. 어느 것 한 가지도 확실한 토대 위에 서 있지 않으며, 엄격하게 자기를 믿는 일도 없기 때문이다. 사람은 내일을 위해서 살아간다. 그것은 다가올 모레가 의심스럽기 때문이다. 우리가 걷는 길은 가는 곳마다 미끄럽고, 위험하며. 게다가 그동안, 우리를 어떻게 해서든가 지탱해 주던 얼음조차 심히 얇아지고 있다. 우리 모두가 온풍의 뜨뜻미지근하고 기분 나쁜 호흡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아직도 걸어가려고 하는 곳, 그곳조차도 이윽고 아무도 더이상 걸어갈 수가 없게 될 것이다.
“ 니체의 <권력에의 의지> ‘유럽의 리힐리즘의 역사> 서두에서
그리고 D.H 로렌스는 한 때 위험한 책이라고 알려졌던 <채털리 부인의 연인>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우리들의 시대는 본질적으로 비극적인 시대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것을 비극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거부하고 있다.
큰 변화가 일어났다.
우리는 조그마한 집을 짓기 위해 새로운 일을 시작하고 조그만 희망을 가지려 하고 있다.
그것은 약간 어려운 일이다 .
미래로 통하는 탄탄한 길은 지금은 없다. 그러나 우리는 장애물이 있으면 길을 돌아가거나
뛰어 넘거나 한다. 우리는 살지 않으면 안 된다.
아무리 많은 하늘이 뒤덮여 온다고 할지라도...... ”
니체나 로렌스가 갈파했던 시대 상황과 같이
우리들의 시대 역시 어느 한 곳도 밝지 않다. 그러나 ‘위기는 기회’라는 말이나
"곤란의 한 복판에서 기회가 도사리고 있다"는 아인슈타인의 말처럼
길은 어딘가 있을 것이다.
그 새로운 길이 어디에 있지.?
그 길이 바로 내 앞에, 그리고 그대 앞에 나타나는 날이 있지 않을까?
2025년 2월 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