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여성시대 랄ㅏ라룰류류
<미니분석> 6·27 대책 영향은?
1. 총평
-6·27 가계부채 관리 대책의 핵심은 수도권·규제지역 내 6억원 제한+대출 시 6개월 입주 의무화로 요약할 수 있음
-이번 대책은 최근 과열양상을 띠고 있는 강남권과 한강벨트 주택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고강도 대출규제로 해석됨
-이번 대출 규제로 서울 고가아파트 밀집지역은 수요 감소로 숨고르기 국면으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됨. 따라서 실수요자는 호가대로 추격 매수하기보다는 어느 정도 가격이 낮아진 뒤 저점 매수하는 전략이 좋을 듯
2. 서울, 수도권, 지방 매매시장 영향은?
-상급지 갈아타기나 똘똘한 한 채 열풍 주춤할 것으로 예상됨. 집을 살 때 대출을 많이 내는 고가주택일수록 대출의 민감도가 높음. 일반적으로 강남 아파트는 현금 부자들만 산다는 것은 큰 오해로 대출을 많이 동원하는 게 현실임. 따라서 이번 대출규제는 최근 가격이 급등한 강남권과 한강변 벨트 아파트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됨.
-중저가 아파트 밀집지역인 서울 외곽이나 수도권은 서울 인기지역보다는 영향을 덜 받을 듯. 하지만 대출시 ‘의무 입주 6개월’ 규제로 반사 이익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됨.
-다만 지방은 이번 대출 제한에서 제외되어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을 듯. 지방은 3단계 스트레스 DSR 6개월 유예에 정부의 준공후 미분양 양도세 혜택, 공기업 이전 추진 등으로 다소 온기가 돌 것으로 예상됨. 매물을 소화하면서 바닥을 다지는 양상이 될것으로 판단됨.
-6억원 대출 제한은 중도금 대출에는 제외되나 입주 때 잔금대출로 전환하면 적용됨. 청약 때 자금 조달 계획을 충분이 마련해야 할 것으로 낭패가 없을 것으로 분석됨.
3.전월세 시장 영향은?
-대출시 6개월 의무 거주 조건으로 내집 마련을 한 뒤 일단 전입을 해야 하므로 시장에서 전월세 유통매물이 줄어들 가능성
-가뜩이나 아파트 주물량이 줄어드는데다 빌라전세사기여파로 아파트로 전세수요가 이동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수급불균형이 심함
>>아파트 전세시장이 불안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게 필요
4. 실수요자 대응법
-일단 서울과 수도권 인기지역은 거래가 크게 둔화되면서 단기적으로 '불장'이 식을 가능성이 높음. 따라서 호가대로 묻지마 매수는 금물. 규제여파로 급매물 출회하면 선별 접근하는 게 필요함
-대출문턱이 높아진 만큼 주택을 계약하기에 앞서 반드시 은행창구를 들러 대출가능금액을 알아보는 게 중요. 즉 선 대출확인, 후 계약이 바람직함.
-이번 대출규제로 1주택자 갈아타기는 선매도 후매수 원칙 지켜야 할 것으로 생각됨. 비인기 지역에서 인기 지역, 비인기 지역에서 비인기 지역으로 갈아타기를 할 때 ‘선매수, 후매도’ 방식을 이용하는 것은 위험항. 급한 마음에 집을 덜컥 샀다가 살던 집이 팔리지 않아 곤욕을 치를 수 있기 때문임.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위원)
첫댓글 글써줘서 고마워!
전세가 걱정임..ㅠ 매물없으면 전세가 오르는 수순이잖아.. 이사가야허는디ㅠ
내집마련 쉽지않다 어짜피 수도권이니 좀 기다리면서 가격추이를 봐야겠다
신축분양 전세끼고 대출 불가라더니 대출시 6개월 내 입주 의무화면 신축분양 아니더라도 그냥 집 살 때 전세 끼고 대출이 아예 불가능하네? 이게 진짜 킥인거 같음...
22 그렇네 ㅎㅎ 와 6개월 내 입주해야한다는게 대박이다 👍 그래서 전세끼고 집사기가 안되는구나 왜 안되나 했더니! 앞으로 갭투자 진짜 못하게 되넹 ㅎㅎ 거의 전매제한 있어도 전세끼고 사가지고 거품이 안꺼지드만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를 더 강화했으면 좋겠다
지방에도 갭투기꾼들이 몰려서 집 사서 집 값 올려놔
글 고마워!
지방에 투자해서 지방 집값이 높아지고 그러는건 아니겠지??(부동산 알못)
금융권에서 하반기에 주담대 실행 총액을 줄이겠다는? 스탠스라 지방집값에는 큰 영향은 없을 거라는 의견도 있더라...!
삭제된 댓글 입니다.
은행어플로도 가능 앱 들어가보면 대출상품에 따라서 한도랑 금리 알아볼 수 있어
내년에 이사가야하는데
전세 어떻게 되려나...
아무래도 전세 오를 것..ㅠㅠ
전세는 지금도 씨가 말랐는데....
근데 전세는 올리는데 한계 정해져있지 않어? 최초 계약 때는 상관없나
한번 갱신할때만 제한있고 신규계약은 상관x 그래서 전세가 보면 어느집은 2억1천만원인데(기존 2억에서 5%증액으로 갱신) 어느집은 3억 이럼
🤖 인기글 알림 봇 🤖
* 여시 개인이 개발한 봇 입니다.
* 인기글은 최대 3번까지 기록됩니다.
* 다음카페 공식 기능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 ※ ========== ※ ==========
🎉 2025년 06월 28일 21시 → 인기글 10위 달성!
전세 없애려는게 이재명정부 기조니까 전세는 갈수록 줄어들고 전세가는 오를수밖에 없을 거 같음.
눈 낮춰서 분수에 맞는 실거주용 1주택 매수하거나, 임대 공급 확정될 때까지는 일단 월세 살면서 주식투자 등으로 시드모아야지 뭐..
전세 공급을 많이 시켜서 전세가를 안정시키려면 다주택자 규제를 할게 아니라 오히려 풀어달라고 요구하는게 맞지않나 싶음
근데 대통령실 정책 아니라고 선그은거는 왜그랬는지 의문이긴 함.. 잘 안되면 발빼려고 하나.. 아는 여시 없나료
대놓고 정부에서 전세 없앤다고 했는데 뭐…월세 살아야지 ㅋㅋㅋㅋ(물론 월세로 살면 돈 안모임)
장기적으로 어케 될진 모르겠지만 이재명 정부 되고서 미친듯이 과열되던 서울 중급지 이상 부동산 시장에 찬물을 확 끼얹어버린 것 같긴함.. 여기서 공급만 더 풀어주면 안정될 수도 있을거같은데 임대주택 말고 찐 공급을 해줬으면ㅠ
ㄹㅇ 지금 공금 때려박겠다고 규제좀 풀고 하먄 (임대주택x 임대는 매매랑 수요층이 완전히 다름) 매수세 꺾이고 시장 안정될것 같은데..솔직히 재재 매물은 다 썩은 구축이라 전월세가율도 겁나 낮아서 안정적이지 않나... 공급 안하면 결국 꼼수던 학습이던 한 사람들이 다시 폭등장 만들거임 지금 기대감이랑 불안감으로 오르는 장이잖아.
전세 오르겟군
근데 서울 조정지역 째리고 있던 매물들 작년8월부터 슬금슬금 호가가 5천이상 올랐어ㄷㄷ 좀 잠잠해졌으면 좋겠네
전세가 사라질 가능성이 있으면 그 시기에 전세세입자 되는것도 고민해봐야함 전세금을 갚아주는건 임대인이 다니고 다음 들어올 세입자니까. 지난번 전세사기터진것도 결국 돈이 안돌아서 다음세입자가 안들어오는 폭탄돌리기의 마지막타자였기때문도 있음
특히 정책이 전세대출 줄이는 방향으로 가는시점이면 전세세입자 되는거 많이 알아봐야함
이미 전국민이 집 한채씩 살 수 있는 공급입니다...투기꾼들이 수십, 수백채씩 끼고있어서 그렇지...
22
지방은 이거 맞는데 수도권은 아님…
그리고 공급에 원룸 오피스텔빼면 과연…
@주사일제만 간다면… 지난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신(新)주택보급률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기준 서울 주택보급률은 93.6%로 2022년 대비 0.1%포인트(p) 하락했다. 이는 2019년 96%를 기록한 이래 4년 연속 하락한 수치이자 2009년(93.1%) 이후 최저치다.
주택보급률이 93.6%라는 뜻은 전체 가구가 100가구라고 가정할 때 주택은 이보다 적은 93.6가구만 있다는 뜻을 의미한다. 서울 가구 수는 414만1700가구지만, 주택 수는 387만8500가구에 그쳤다. 경기와 인천도 각각 99.3%와 99.1%로 100%에 미치지 못한 가운데 지방은 102.5%로 1년 사이 0.4%p 올랐다.
그러네 이제 투기꾼들이 수도권 투기물량 뱉어내고 4% 공급하면 되겠네! 이재명 대통령은 할듯!
일단 전세는 지금도 많이없는데 아예 씨가 마를듯 전세가려는 사람은 어쩔수없이 반전세나 월세로 가야겠네
전세사기 걱정때문에 어차피 전세보다 월세 고려하는거 아니엇나
갭투자자 전세사기꾼들한테 사기당해서 목돈 다 잃고 빚더미 앉는것보단 나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