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연봉 2800정도에 운 좋고 이것저것 합하면 4000 약가 못 돼게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매우 많이 주는 회사 중 하나) 스펙보다는 실력을 중시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면접을 거의 2시간 이상 볼 겁니다. 그리고, 내부 추천을 받으면 서류통과 90%정도 되구요. 위 두 회사는 서로 다른 회사인데, 합치게 되었습니다.
대략 스펙은 대기업 이상, 학점 4.0과 토익900언저리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작년에 오토모티브에 넣어볼려고 이곳저곳 알아본결과 서류통과되신분들이 대략 저정도 이상이시더군요...vdo도 비슷하리라 판단됩니다. 마일즈님 얘기처럼 토익도 높아야겠지만, 회화능력이 다른 업체들에 비해 많이 요구됩니다...건승하시길~~~
경력을 100퍼센트 인정 못받는다구요? Simens VDO Automotive 는 자동차 전자부품쪽에 있어서 최고의 회사입니다. 이회사에서 만든 제품들이 BMW나 벤츠같은 최고의 차에 들어가고요, 물론 국내에 있는 Siemens의 제품은 국내에 있는 자동차회사로 공급되지만, 저런독일의 발전된 기술력을 습득하는 엔지니어가 과연경력을
저도 현재 SIEMENS VDO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람입니다.저 역시 한국계 대기업에서 잠시 근무를 하고 이 곳으로 이직을 했지만, 절대 후회 하지 않습니다. 한국의 모 S,L,H 기업 보다 연봉 수준도 좋고 복리 후생 역시 우수합니다. 유수 외국계 기업체에서 스카웃 제의도 많이 들어오곤 합니다.
드디어 기다리던 글이 올라왔네요^^씨멘스가 다른건 괜찮은데...아직 홍보가 좀 미흡한게 사실인거 같네요! 저두 여기저기 찾아봤지만 정보가 많이 없더군요! 그래서 아까운 인재를 놓치는 일이 있는것도 사실인거 같습니다. 위에 세분의 글 고맙습니다. 많은 참고가 됐습니다.^^
첫댓글 연봉 2800정도에 운 좋고 이것저것 합하면 4000 약가 못 돼게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매우 많이 주는 회사 중 하나) 스펙보다는 실력을 중시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면접을 거의 2시간 이상 볼 겁니다. 그리고, 내부 추천을 받으면 서류통과 90%정도 되구요. 위 두 회사는 서로 다른 회사인데, 합치게 되었습니다.
영어로 대화 및 업무, 전공 토론, 설득 등이 가능해야 합니다. 토익 성적보다는 실제 활용능력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부품 업체이기 때문에 나중에 이직을 하실 때 경력을 100%인정 받지 못하실 확률이 높습니다.
지멘스...오토모티브와 vdo를 모르셨나보군요...^^ 현기차도 들가기 힘들지만 이쪽이 취업하기 쉽다면이란 가정이 나오는것을보니..^^ 소위말하는 갑과 을관계에 현기차등 완성차 업체가 갑이긴하지만, 을관계에 있는 만도, 케피코, 지멘스, 모비스등이 높은 스펙과 실력이 요구됩니다. 물론 훨씬 들가기도 힘들구요.
대략 스펙은 대기업 이상, 학점 4.0과 토익900언저리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작년에 오토모티브에 넣어볼려고 이곳저곳 알아본결과 서류통과되신분들이 대략 저정도 이상이시더군요...vdo도 비슷하리라 판단됩니다. 마일즈님 얘기처럼 토익도 높아야겠지만, 회화능력이 다른 업체들에 비해 많이 요구됩니다...건승하시길~~~
제가 말씀드린 스펙이란건 머...학교네임벨류에 따라 많이 틀릴수도 있단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학점 or 토익...이 아니라 학점 and 토익입니다...^^;;;
산학장학생이긴 하지만 3.78에 930인데 떨어졌네요...ㅋㅋ....도대체 얼마나 높은 스펙을 원하는지 모르겠구요..대학은 소위 말하는 90점 대학입니다..ㅋㅋ...담에 또 지원 할거예요.....
스펙이 꼭 중요하지만은 않습니다. 학부성적 2점대 토익 ㅜㅜ, 대학원 성적은 제외한거지만 면접이 중시됩니다. 상당히 오래 봤구 다대일 면접이라서 긴장되는 분위기입니다. 영어는 회화가능하면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경력을 100퍼센트 인정 못받는다구요? Simens VDO Automotive 는 자동차 전자부품쪽에 있어서 최고의 회사입니다. 이회사에서 만든 제품들이 BMW나 벤츠같은 최고의 차에 들어가고요, 물론 국내에 있는 Siemens의 제품은 국내에 있는 자동차회사로 공급되지만, 저런독일의 발전된 기술력을 습득하는 엔지니어가 과연경력을
인정못받는다고 말할수 잇을까요?제생각엔학사졸업생으로서대기업에서R&D라는곳에서일하기도어렵고한다고해도,그리중요하지않은곳에일한다고들었습니다.그런면에서Siemens는최고의R&D기술력을키울수있는최고의회사라고생각됩니다.또한VDO한라는아시아허브의R&D Center를목표로계속투자하고있고요..
또한,모든사무가영어로이루어지고,또한 제2외국어교육과 잦은연수 기회는글로벌시대의최고의경쟁력을가질수있는엔지니어를양성하기에 제격입니다. 님이앞으로10년후의자기모습을 생각한다면, 겉보기에커보이고사람들이다아는기업보다는내실이있고탄탄하고,최고의기술력을갖춘회사를뽑으리라생각합니다.갑,을이런관계..
엔지니어가자기의 분야에서최선을다해서 실력으로 승부를해야지, 무슨갑,을 관계나 따지고, 무슨 남들시선이나따지면, 무슨엔지니어 입니까? 정말 자기분야에서최선을 다하는 엔지니어가 최고의 엔지니어가 될자격이있고요, 설령현재 알아주지 못할지라도, 언젠가는 기술력으로 판가름남니다, 너무 글이 많았군요..그냥참고
하셨으면 합니다..^^
씨멘스오토모티브다니는사람인데요..TO가 적다보니 최근사원들의 학력이 높은건 사실입니다.S대가 반이 넘어가죠. 일부 y,k대학출신. 병특으로 일하기 매우 좋은 회사입니다. 그리고 갑회사는 아닙니다. 하지만 보쉬,델파이와 함께 세계를 이끄는 자동차 전장회사입니다.
회사분위기,연봉,근무여건은 좋습니다. 하지만 갑이 좋으신 분에겐 비추입니다. 삼성이나 현대같은 곳보다 규모가 매우 작다는 점도 단점입니다.
저도 현재 SIEMENS VDO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람입니다.저 역시 한국계 대기업에서 잠시 근무를 하고 이 곳으로 이직을 했지만, 절대 후회 하지 않습니다. 한국의 모 S,L,H 기업 보다 연봉 수준도 좋고 복리 후생 역시 우수합니다. 유수 외국계 기업체에서 스카웃 제의도 많이 들어오곤 합니다.
David Yang 님 말씀 너무 멋집니다!! 엔지니어는 실력으로 승부한다.. 갑,을 이 뭐가 그리 중요하겠습니까..최고의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회사에서 최고의 엔지니어가 되어야죠!!
드디어 기다리던 글이 올라왔네요^^씨멘스가 다른건 괜찮은데...아직 홍보가 좀 미흡한게 사실인거 같네요! 저두 여기저기 찾아봤지만 정보가 많이 없더군요! 그래서 아까운 인재를 놓치는 일이 있는것도 사실인거 같습니다. 위에 세분의 글 고맙습니다. 많은 참고가 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