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승원(徐承元)
서노조(徐老祖)....?
서문택(徐文澤)
[진사] 숙종(肅宗) 13년(168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17위(47/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11CBB38D0DDB1657X0
자(字) 윤장(潤章)
생년 정유(丁酉) 1657년 (효종 8)
졸년 병술(丙戌)(주1)【補】 1706년 (숙종 32)
합격연령 31세
본인본관 대구(大丘)
거주지 서원(西原)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 후기에, 주부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윤장(潤章).
판서 서성(徐渻)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달성위(達成尉) 서경주(徐景霌)이고, 아버지는 직장(直長) 서진리(徐晉履)이다.
형 서문환(徐文渙)과 함께 송시열(宋時烈)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1687년(숙종 13)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된 뒤 한때 출사(出仕: 벼슬길에 오름)하여 주부(主簿)를 지냈다.
1689년 원주유생 안전(安𤩴) 등이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을 문묘에서 축출할 것과 송시열의 처단을 주장하는 상소를 올렸다. 이에 성균관에서 서문택을 소두(疏頭)로 변무(辨誣), 반박하는 소를 올리려 하였지만, 문하인들이 만류하여 끝내 올리지 못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서문택은 과거 응시를 포기하였다.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재집권하였지만 영의정 남구만 등이 남인 처벌에 소극적이자 서문택이 성균관 집강의 자격으로 소를 올려 비판하였다.
이후 희릉참봉(禧陵參奉), 경기전참봉(慶基殿參奉), 광흥창봉사(廣興倉奉事), 평시서직장(平市署直長), 광흥창주부(廣興倉主簿)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금강산사군유산기(金剛山四郡遊山記)』가 있다.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관직 주부(主簿)
부모구존 영감하(永感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서진리(徐晉履)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행상의원직장(行尙衣院直長)
[처부(妻父)]
성명 : 홍일우(洪一宇)[進]【補】(주2)
본관 : 남양(南陽[唐])【補】
[안항(鴈行)]
형(兄) : 서문제(徐文濟)
형(兄) : 서문환(徐文渙)
형(兄) : 서문부(徐文溥)
서형(庶兄) : 서문윤(徐文潤)【補】(주3)
[주 1]졸년 : 서종급(徐宗伋, 1688~1762)의 『퇴헌유고(退軒遺稿)』 卷之7, 徐文澤家狀.
[주 2]처부홍일우 : 서종급(徐宗伋, 1688~1762)의 『퇴헌유고(退軒遺稿)』 卷之7, 徐文澤家狀.
[주 3]서형서문윤 : 『대구서씨임자보(大丘徐氏壬子譜)』(1995) 권2 pp.460(徐景霌)-3子:徐晋履-徐文潤.
[출전]
『정묘식년사마방목(丁卯式年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182])
서경주(徐景霌)
출생 연도 1579년(선조 12)
사망 연도 1643년(인조 21)
조선 중기에, 통헌대부, 봉헌대부, 숭덕대부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대구(大邱). 자는 자순(子順), 호는 송강(松岡).
아버지는 판중추부사 서성(徐渻)이며, 어머니는 여산송씨(礪山宋氏)로 송영(宋寧)의 딸이다.
부인이 선조의 딸이다.
1592년 정신옹주(貞愼翁主)와 혼약하였으나 임진왜란이 일어나 혼례를 올리지 못하고 선조를 호종하였다. 이듬해 환도한 뒤 혼례를 올려 달성위(達城尉)에 봉해졌다.
정유재란 때는 선조의 총애를 받아 총관 겸 상방제조(摠管兼尙方提調)로서 항상 측근에서 시종하였다. 이때 『선원록(璿源錄)』을 감수한 공로로 통헌대부·봉헌대부로 계속 품계가 올랐다. 광해군 때,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仁穆王后)에 대한 폐모론이 일어나자, 아버지 서성과 함께 반대하다가 아버지는 영해(寧海)로 유배되었고 그 역시 크게 서용되지 못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아버지가 복직되고,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인조를 호종한 공이 인정되어 숭덕대부로 품계가 올랐다.
상례를 끝마치고 금화내자제조(禁火內資提調)를 겸하였다.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인조를 따라서 온 가족이 강화도로 피난을 갔지만 정신옹주가 피난생활을 힘들어한다는 이유로 서울로 돌아왔다. 사헌부에서 국가와 존망을 함께해야할 근신(近臣)과 거실(巨室)의 행위가 아니라며 삭탈관직을 청하자 인조가 그를 파직시켰다.
1631년(인조 9) 아버지가 죽자 잠시 관직에서 물러났다가, 만년에 다시 상방원(尙方院) 및 관상감(觀象監) 제조와 총관(摠管)을 겸하였다.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죽음집(竹陰集)』
『대동야승(大東野乘)』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서성(徐渻)
[문과] 선조(宣祖) 19년(1586) 병술(丙戌) 알성시(謁聖試) 을과(乙科) 1[亞元]위(02/09)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C11CC131FFFFB1558X0
자(字) 현기(玄紀)
호(號) 약봉(藥峰)
시호(諡號) 충숙(忠肅)【補】(주1)
생년 무오(戊午) 1558년 (명종 13)
졸년 신미(辛未) 1631년 (인조 9)
향년 74세
합격연령 29세
본인본관 대구(大丘)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 중기에, 평안감사, 호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현기(玄紀), 호는 약봉(藥峯).
언양현감(彦陽縣監) 서거광(徐居廣)의 현손이며,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서팽소(徐彭召)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예조참의 서고(徐固)이고, 아버지는 서해(徐嶰)이다. 어머니는 청풍군수(淸風郡守) 이고(李股)의 딸이다. 이이(李珥) · 송익필(宋翼弼)의 문인이다.
1586년(선조 19) 알성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권지성균학유(權知成均學諭)가 되었다.
이어 인천부교수(仁川府敎授), 예문관의 검열 · 대교(待敎) · 봉교(奉敎), 홍문관의 전적(典籍)을 거쳐, 감찰과 예조좌랑을 지냈다.
병조좌랑을 거쳐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를 호종하다가 호소사(號召使) 황정욱(黃廷彧)의 요청으로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함경도로 길을 바꾸었다가 국경인(鞠景仁)에 의해 임해군(臨海君) · 순화군(順和君) · 황정욱 등과 함께 결박되어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포로가 되었으나 탈출하였다.
왕의 명령으로 행재소에 이르러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 병조정랑 ·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을 역임하고 명나라 장수 유정(劉綎)을 접대하였다.
다시 지평과 직강을 거쳐 삼남지역(三南地域)에 암행어사로 파견되어 민정을 살피고 돌아온 뒤 전수(戰守)의 계책을 아뢰었다. 이로 인해 제용감정(濟用監正)으로 승진하고, 경상감사에 발탁되었으나 대간의 반대로 내섬시정(內贍寺正)으로 바뀌었다.
그 뒤 경상우도감사로 내려가 삼가(三嘉)의 악견산성(嶽堅山城)을 수리하고 민심을 진정시켰다.
이어 동부승지 · 병조참의 · 비변사유사당상(備邊司有司堂上) · 승문원부제조(承文院副提調)를 겸하였다.
다시 병조참의 · 도승지 · 황해감사 · 함경감사가 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하고 있다가 평안감사로 나아가 평양 아전들의 환심을 얻었다.
판중추부사로 신구(伸救:죄가 없음을 사실대로 밝혀 사람을 구원함)하고, 성혼(成渾)과 정철(鄭澈)을 헐뜯는 정인홍(鄭仁弘) 일파를 배척하다가 왕의 미움을 받았다.
이어 판윤(判尹)으로 비변사와 훈련도감의 제조를 겸하고, 형조판서 · 병조판서 · 지중추부사를 거쳐 함경감사로 나갔다.
다시 호조판서로 지의금부사를 겸하다가 경기감사가 되고, 그 뒤 우참찬을 거쳐 개성유수가 되었다.
1613년(광해군 5) 계축옥사가 일어나자 이에 연루되어 단양에 유배되었다.
그 후 다시 영해와 원주 등지로 옮겨지는 등 11년 간이나 귀양살이를 하다가, 1623년 인조반정으로 방환주3되었다.
이어 형조판서 · 대사헌 · 경연성균관사를 겸하고, 1624년 이괄(李适)의 난 때 왕을 호종하고 판중추부사 ·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도 왕을 강화도까지 호종했고, 숭록대부(崇祿大夫)로 승격하였다. 학문을 즐겨 이인기(李麟奇) · 이호민(李好閔) · 이귀(李貴) 등과 남지기로회(南池耆老會)를 조직하여 역학(易學)을 토론했고, 서화(書畫)에도 뛰어났다.
영의정에 추증되고, 대구의 구암서원(龜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약봉집(藥峯集)』이 있다.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이력사항]
선발인원 09명 [甲1・乙2・丙6]
전력 유학(幼學)
관직 한림(翰林)
관직 병조판서(兵曹判書)
관직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관서 기사(耆社)
문과시제 표(表):당이필걸환형산(唐李泌乞還衡山)
기타 고명7신(顧命七臣) 죽음찬지(竹陰撰誌) 청음찬비(淸陰撰碑)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서해(徐嶰)
[조부(祖父)]
성명 : 서고(徐固)[文]
[증조부(曾祖父)]
성명 : 서팽소(徐彭召)[文]
[외조부(外祖父)]
성명 : 이고(李股)[進]
본관 : 고성(固城)【補】
[처부(妻父)]
성명 : 송령(宋寧)(주2)
본관 : 여산(礪山)【補】
[가족과거]
숙부(叔父) : 서엄(徐崦)[文]
자(子) : 서경우(徐景雨)[文]
손(孫) : 서상리(徐祥履)[文]
증손(曾孫) : 서문상(徐文尙)[文]
증손(曾孫) : 서문중(徐文重)[文]
증손(曾孫) : 서문익(徐文翊)[文]
증손(曾孫) : 서문유(徐文裕)[文]
[주 1]시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시호를 추가.
[주 2]처부 : 『대구서씨세보(大丘徐氏世譜)』(1979) 甲編, [7~8쪽]을 참고하여 처부 본관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八(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