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 삶의 형태
<김형석 교수>
노인들의 삶은 가지가지입니다.
노선(老仙)이 있는가 하면,
노학(老鶴)이 있고,
노동(老童)이 있는가 하면,
노옹(老翁)이 있고,
노광(老狂)이 있는가 하면,
노고(老孤)가 있고,
노궁(老窮)이 있는가 하면,
노추(老醜)도 있습니다.
첫째, 노선(老仙)입니다.
늙어 가면서 신선 처럼
사는 사람이지요.
이들은 사랑도 미움도 놓아 버렸습니다.
성냄도 탐욕도 벗어 버렸습니다. 선도 악도 다 털어 버렸습니다.
삶에 아무런 걸림이 없습니다.
건너야 할 피안(彼岸)도 없고
올라야 할 천당도 없고 빠져버릴 지옥도 없습니다. 다만 무심히
자연 따라 돌아갈 뿐이지요.
둘째, 노학(老鶴)입니다.
늙어서 학처럼 고고하게 사는 것입니다. 이들은 심신이 건강하고
여유가 있어, 나라 안팎을 수시로 돌아다니며 산천경계를 유람하지요. 그러면서도 검소하여 천박하질 않습니다. 많은 벗들과 어울려 노닐며 베풀 줄 압니다.
그래서 친구들로 부터 아낌을 받지요. 또 틈나는 대로 갈고 닦아 학술논문이며 문예작품들을 펴내기도 합니다.
셋째, 노동(老童)입니다.
늙어서 동심으로 돌아가 청소년
처럼 사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이들은 대학의 평생 교육원이나
학원 아니면 서원이나 노인 대학에 적을 걸어두고 못다 한 공부를 합니다. 시경(詩經) 주역(周易) 등 한문이며 서예며 정치 경제 상식이며 인터넷 카페에 열심히 들어갑니다. 수시로 동지들과 어울려 여행도하고 노래며 춤도 추고 즐거운 여생을 보냅니다.
넷째, 노옹(老翁)입니다.
문자 그대로 늙은이로 사는 사람을 말하지요. 집에서 손자들이나 봐주고 텅 빈 집이나 지킵니다.
어쩌다 동네 노인정에 나가서
노인들과 화투나 치고 장기를 두기도 합니다. 형편만 되면 따로 나와 살아야지 하는 생각이 늘 머릿속에 맴돌면서 하루하루를 보냅니다.
다섯째, 노광(老狂)입니다.
미친 사람 처럼 사는 노인입니다. 함량 미달에 능력은 부족하고 주변에 존경도 못 받는 처지에 감투 욕심은 많아서 온갖 장을 도맡으려고 합니다. 돈이 생기는 곳이라면 체면 불고하고 파리처럼 달라붙지요. 권력의 끄나풀이라도 잡아 보려고 늙은 몸을 이끌고 끊임없이 여기 저기 기웃거리는 사람을 말합니다.
여섯째, 노고(老孤)입니다.
늙어가면서 아내나 남편을 잃고
외로운 삶을 보내는 사람입니다.
삼십대의 아내는 기호식품 같다고 합니다.
사십대의 아내는 어느덧 없어서는 안 될 가재도구가 돼버립니다.
오십대가 되면 아내는 가보(家寶)의 자리를 차지합니다.
육십 대의 아내는 지방 문화재라고나 할까요?
그런데 칠십대가 되면 아내는 국보의 위치에 올라 존중을 받게 됩니다. 그런 귀하고도 귀한 보물을 잃었으니 외롭고 쓸쓸할 수밖에 없지요.
일곱째, 노궁(老窮)입니다.
늙어서 수중에 돈 한 푼 없는 사람입니다. 아침 한 술 뜨고 나면 집을 나와야 합니다. 갈 곳이라면 공원이나 광장뿐입니다.
점심은 무료 급식소에서 해결합니다.
석양이 되면 내키지 않는 발걸음을 돌려 집으로 들어갑니다.
며느리 눈치 슬슬 보며 밥술 좀 떠 넣고 골방에 들어가 한숨 잡니다. 사는 게 괴롭지요.
여덟째, 노추(老醜)입니다.
늙어서 추한 모습으로 사는 사람을 말합니다. 어쩌다 불치의 병을 얻어 다른 사람 도움 없이는 한시도 살 수 없는 못 죽어 생존하는
가련한 노인이지요.
어떻습니까?
지금 우리의 삶은 어느 곳에 해당할까요? 하늘은 짓지 않은 복을 내리지 않습니다. 만약 우리의 삶이 외롭고 고달프다면 내생을 위해서라도 공덕을 쌓지 않으면 안 됩니다.
그러므로 원(願)은 큰 데에 두고, 공(功)은 작은 데부터 짓는 것입니다. 그리고 대우에는 괘념(掛念)치 말고 공덕 쌓기에만 힘을 쓰면 큰 공과 큰 대우가 돌아오게 마련이지요!
# 오늘 깨우침의 글
먼 길을 떠나는 사람은 많은 짐을 갖지 않는다. 높은 정상에 오르기 위해서는 무거운 것들은 산 아래 남겨두는 법이다. 정신적 가치와 인격의 숭고함을 위해서는 소유의 노예가 되어서는 안 된다.
소유는 베풀기 위해 주어진 것이지 즐기기 위해 갖는 것이 아니다.
- 김형석 교수, '백세일기' 중에서 -
🍓 오늘도 건강 조심하시고 웃으면서 좋은 친구들과 즐겁고 행복한
주망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