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좀 된 자료니, 지금 현재 실정을 고려해서 봐주시길 바랍니다.^^
◆ 공무원 5대 信條 ◆
1. 國家에는 獻身과 忠誠을
2. 國民에겐 正直과 奉仕를
3. 職務에는 創意와
責任을
4. 職場에는 敬愛와 信義를
5. 生活에는 淸廉과 秩序를
體質化하여 生活속에서
具體的으로 實踐한다.
1. 면접이란?
인재를 선발하는 채용과정에 있어서 수험생과 면접위원이 직접 대면하여 질문과 대답이라는 과정을
통해 수험생의 잠재적인 능력, 책임감, 인내력, 사고력, 창의력, 업무추진력, 위기 대처능력, 대인관계, 성격 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최근 필기시험에 기초하여 면접시험을 통한 인물 평가를 하고 있다.
필기시험에서는 수험자의 학력과 지식을 양 또는 질은 저울질 할 수
있어도 그
지식 그대로 직무에 활용된다고 할 수 없고, 수험생의 사람 됨됨이를 모두 알 수 없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내용을 가지고
알아보는 인물시험 또는 구술시험이 면접시험이다.
2. 면접시험의 순서
☞ 대기실
면접시험은 이미
대기실에서부터 시작된다. 조용한 태도로 자기차례를 기다리는 동안 예상되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최종적으로 정리하면서 마음을 가다듬는다. 차례가
가까워지면 다시 한 번 자기의 복장을 살핀다.
☞ 호출
담당 직원이 이름을 부르면 똑똑히 대답한다. 면접 실 문을
두세 번 노크한 뒤 응답이 있으면 문을 열고 들어간다.
☞ 입실
면접 실에 들어서면 조용히 문을 닫은 다음 정면을
향하여 가볍게 허리를 굽혀 절을 한다. 그리고 면접위원에게 정식으로 인사를 하고, "××번 ○○○입니다."하고 자기의 수험번호와 성명을 말한 후
의자에 앉아 등받이에 등을 약간 기대는 것이 좋다. 면접위원의 눈을 너무 빤히 쳐다보거나, 시선을 이리저리 돌리지 말고 면접위원의 가슴 부분을
본다. 다리는 꼬거나 너무 벌리지 말고 가지런히 한다. 두 손을 무릎 위에 자연스럽게 올려놓고 질문을 기다린다.
☞ 질의응답
질문이 시작되면 침착하게 질문자를 바라보며 주의 깊게 청취하고 답변할 때는 잠깐 생각을 정리한 뒤 또렷하게 대답한다. 너무 빨리
말하거나 말끝을 흐려 얼버무리는 인상을 주지 않도록 한다. 특히 다음 몇 가지 사항을 주의한다.
솔직하게, 그리고 자신 있는 태도로
대답한다.
대답을 잘 못했다 하더라도 머리를 긁적거리거나 혀를 내밀지 않도록 하고, 질문 내용을 잘 모를 때에는 얼버무리지 말고 다시
묻도록 한다.
질문에 대답할 때 "에~저~"등의 불필요한 말이 나오지 않도록 주의한다.
질문에 대해 자신 있다고 너무 큰 소리로,
너무 빨리, 너무 많이 말하지 말고 또 얼른 대답이 나오지 않는다고 해서 너무 오래 끌거나 잠자코 있어서는 안 된다. “잠깐 생각할 여유를
주십시오.”하고 말한 다음 생각을 정리해 분명한 어조로 말한다.
☞ 퇴장
들어왔을 때와 반대의 동작으로 조용히 면접
실을 나간다. 이 때 주의할 점은 면접시험이 끝났다는 해방감에 무의식적으로 문을 거칠게 닫는 일이 없도록 한다. 면접시험이 끝나고 의자에서
일어나면 앉았던 의자를 정돈한 후 15˚정도의 가벼운 인사를 한다. 퇴실할 때도 힘없는 표정을 짓지 않도록 주의한다. 면접위원은 수험생이
들어오면서부터 나가기까지의 일거수일투족을 관찰하고 있음을 기억해 두어야 한다.
4. 질의․응답에 임하는 자세
적과
싸워 이기려면 먼저 적을 알아야하는 것과 같이 면접위원이 자기에게 어떠한 질문을 할 것인지를 미리 파악해 둘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긴장을 풀면서
면접위원을 똑바로 응시해야한다. 아래로 내려 깐다든지 하면 정서 불안, 자신감의 결여, 또는 소극적(내면적)인 인상을 주게 된다. 필요 이상의
답변은 금물이다. 아는 대로 대답하여 패기를 보여 주면 된다. 대개 면접위원은 자기 마음에 드는 유형이 있게 마련이지만, 개별 면접시험이
아니고서는 편견이 점수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수험생은 또한 우월감이나 열등감을 보여서는 안되며, 신경질, 엉터리 배짱, 고집, 무관심,
난폭 등의 표현 또는 태도를 보여서도 안된다. 다만 차분함과 명석한 판단, 건전한 사고력을 바탕으로 한 논리 전개, 쾌활한 인상을 심어주기를
잊지 말아야 한다.
☞ 발랄한 태도
시종 침착하면서도 밝은 표정으로 예의를 지킨다. 때로는 부담스러운 질문을 받더라도
우물거리지 말고 패기만만한 자신을 드러내 보이는 것이 좋다.
☞ 음성은 또렷하게
조용하면서도 분명한 대답을 하자.
모르는 것이 있으면 얼버무리지 말고 "모르겠습니다."라고 대답하고 못 알아들은 질문이 있으면"죄송하지만 다시 한 번 말씀해 주시겠습니까?"라고
다시 반문해도 된다.
☞ 바른말과 존대어
정성 들여 겸손한 태도로 응대 했다 해도 적절한 상황에서 그에 상응하는
존댓말을 잘못 쓴다면 응답의 내용까지도 의심받게 된다. 예를 들어 "지금 질문자가 말한 것인데"라고 응답하는 수가 종종 있는데, 그럴 경우
"지금 말씀하신 것이지만"으로 정정해야 한다. 또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바른말 쓰기이다. 아무렇게나 "전에 말했지만"하고 말하지 말고 "전에
말씀드렸지만"하는 표현처럼 바르게 써야 한다. 혹은 친구들 사이에 자연스럽게 쓰였던 약어나 은어들이 대화 중에 나올 수가 있으니 이런 사항들도
주의해 두는 것이 좋다. 바르고 올바른 말이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일상생활에 있어 항상 조심하여 올바른 언어생활이
습관화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 자신 있는 대답
질문에 대한 대답은 논리적이어야 한다. 우물우물 면접위원이 알아들을
수 없는 말은 삼가야 한다. 그리고 일단 질문에 대한 답은 내용이 조금 빈약하더라도 당당하게 이야기한다.
☞ 과장, 거짓 대답은
피한다.
질문사항에 대한 거짓이나 과장은 금물이다. 그리고 필요 없는 사족을 달면서 너절하게 수다를 떠는 것도 좋지 않다.
간단명료하면서 정확히 이야기하면 된다. 모르는 것은 큰 죄가 되지 않지만, 모르면서도 아는 체하는 것은 낙방을 자초하는 일이 될 수도 있다.
☞ 지나치게 평론가적인 언동은 삼가
예컨대 시사 문제나 읽은 책에 대한 감상을 물었을 때, 섣불리 아는 체한다던가 TV에
나오는 평론가의 흉내를 내면서 하는 서투른 언동은 오히려 자신의 인격만 깎아 내리는 행동이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면접위원은 단순히
응시자의 사회적 관심도를 시험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질문 받은 문제라든가 자기가 읽은 책에 대해서 자기 나름대로의 의견을 가식 없이 말해야
한다. 그러는 것이 설사 표현 방법이 세련되지 못했다 하더라도 솔직하게 비쳐질 수 있다.
☞ 다변. 궤변은 금물
자기는 어떤 식으로든지 합격하겠다는 욕망이 지나쳐 필요 이상의 말을 하는 잘못을 범해서는 안 된다. 특히 집단면접 혹은 집단토론을
할 경우 주의해야 할 질문에 대한 응답에 있어서 논리에 맞지 않는 궤변보다는 자기 나름대로 정리해서 결론부터 분명하고 간결하게 대답해야 한다.
☞ 버릇은 제 2의 천성
남과 대화할 때 은연중에 자신만이 갖고 있는 독특한 버릇이 나타날 수 있다 질문을 받으면서
입에 손을 댄 다던가 응답하면서 손을 흔든다든가, 자신도 모르게 이와 같은 일상의 버릇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의식적으로라도 양손을 무릎 위에
단정히 놓고 자세를 바르게 하며, 평소 자기에게 무슨 버릇이 있나, 가족이나 가까운 친구들에게 조언을 얻어 고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응답할 때에는 질문에 답할 때는 질문한 면접위원의 얼굴을 향하고 상대방 눈에 시선을 맞춘다. 상대방이 말하고 있을 때는 적당한 데서
맞장구를 치는 것도 좋다. 그럼으로써 진지하게 듣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대답하기 곤란하거나 짓궂은 질문을 받게 되더라도 상황에 맞춰
재치 있게 받아넘길 수 있어야 한다. 노골적으로 싫은 표정을 짓거나 불쾌한 표정을 지어서는 안 된다. 그리고 면접위원이 계속 꼬리를 물고 질문을
던져올 때는 적절한 대답을 하여 빠져 나오도록 해야 한다. 면접시험도중 질문에 대답을 제대로 못했다거나 뜻밖의 실수를 했다고 해서 도중에
면접시험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마지막 순간까지 최선을 다해 성의를 보인다면 이는 충분히 만회할 수도 있다.
4. 면접 당일의
준비
아침에 일어나 조간신문을 읽는다.
충분한 수면으로 안정감을 유지하고 첫출발의 신선한 마음가짐을 갖는다. 그날의 뉴스가
질문 대상에 오를 수도 있다. 특히 경제면, 정치면, 문화면 등에 유의해 둘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 중에서 시사성의 기사를 수험생에게
질문함으로써 그날그날 돌변하는 정세를 알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사람도 있다.
☞ 복장 점검
① 구두는 잘 닦여
있는가?
② 옷은 깨끗이 다려져 있으며 스커트 길이는 적당한가?
③ 손톱은 길지 않고 깨끗한가?
④ 머리는 흐트러짐 없이
단정한가?
특별히 화려한 복장과 요란한 화장을 하지 않도록 주의하면 되고, 안색이 좋지 않은 사람은 피부화장에 신경 써야 한다.
☞ 면접시 옷차림
면접에서 옷차림은 간결하고 단정한 느낌을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색상과 디자인 면에서 지나치게
화려해 야한 색상이나, 노출이 심한 디자인은 자칫 면접 관의 눈살을 찌푸리게 할 수 있다. 단정한 차림을 유지하면서 자신만의 독특한 멋을
연출하는 것, 지원하는 회사의 분위기를 파악했다는 센스를 보여주는 것 또한 코디네이션의 포인트다. 여성의 경우, 신체의 선이 어느 정도
살아나면서 단정해 보이는 투피스를 기본으로 옷차림을 연출하는 것이 좋다. 가장 무난하면서도 부드러운 인상을 어필하는 경우로 단정한 라인의 재킷과
무릎위로 올라오는 짧은 스커트의 투피스에 블라우스와 니트 조끼를 받쳐 입는 형태가 좋다. 재킷은 요란하지 않은 것으로 남성들의 양복처럼 깃이
있는 테일 러드 칼라 스타일이 보편적이며 스커트는 무릎 위에서 너무 많이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물론, 활동적이며 실용성이 돋보이는 통이
넓은 바지도 깔끔하게 차려입으면 세련된 느낌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너무 유행에 민감한 차림새보다는 각자의 체형과 분위기에 맞는 디자인과
색상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문제는 색깔의 조화인데, 겉옷은 다소 짙은 색으로 블라우스 등 이너 웨어는 부드럽고 잔잔한 무늬로 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코디네이션이다. 블라우스는 둥근 칼라보다는 각이 지고 딱딱한 칼라가 좀더 짜임새 있어 보인다. 체형에 따라서 주의해야 할 점은 키가
작고 뚱뚱한 사람은 어깨 패드가 너무 강조된 것과 재킷의 깃이 너무 넓은 디자인은 피해야 하며, 키가 크고 마른 사람은 밝고 따뜻한 색상을
선택해서 볼륨과 여유로 움을 연출하는 것이 좋다. 키가 작은 사람은 재킷의 깃이 너무 넓은 것은 피한다. 패션소품은 그 사람의 센스를 엿볼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잘 활용하면 좋은 인상을 심어줄 수 있다. 가을철 소품으로 많이 활용할 수 있는 스카프로, 잔잔한 꽃무늬 스카프는 여성스러운
것을, 경쾌한 물방울무늬 넥타이는 활발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무엇보다 자신감 있는 면접태도와 함께 깔끔하고 활달한 인상의 옷차림이라면
면접관에게 후한 점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면접시험 금기사항
※ 지각은 절대금물이다. 10분 내지 15분
일찍 도착하여 시험장을 둘러보고 환경에 익숙해지는 것이 필요하다.
※ 앉으라고 할 때까지 앉지 말라. 의자로 재빠르게 다가와
앉으면 무례한 사람처럼 보이기 쉽다.
※ 옷을 자꾸 고쳐 입지 말라. 침착하지 못하고 자신 없는 태도처럼 보인다.
※ 시선을 다른 방향으로 돌리거나 긴장하여 발장난이나 손장난을 하지 말라.
※ 응답시 너무 말을 꾸미지 말라.
※ 질문이 떨어지자마자 바쁘게 대답하지 말라.
※ 혹시 잘못 대답하였다고 해서 혀를 내밀거나 머리를 긁지 말라.
※ 머리카락에 손대지 말라. 정서불안으로 보이기 쉽다.
※ 면접 실에 타인이 들어올 때 절대로 일어서지 말라.
※ 농담을 하지 말라. 쾌활한 것은 좋지만 지나치게 경망스런 태도는 취업에 대한 의지가 부족하게 보인다.
※ 대화를 질질
끌지 말라.
※ 질문에 대해 대답할 말이 생각나지 않는다고 천장을 쳐다보거나 고개를 푹숙이고 바닥을 내려다보지 말라.
※ 자신 있다고 너무 큰 소리로, 너무 빨리, 너무 많이 말하지 말라.
※ 면접위원이 서류를 검토하는 동안 말하지
말라.
※ 과장이나 허세로 면접위원을 압도하려 하지 말라.
※ 최종 결정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급여에 대해 언급하지
말라.
※ 은연중에 연고를 과시하지 말라.
6. 면접시험 잘 보는 방법
● 대기실에서
※ 30분전쯤 면접장소에 도착하여 대기실에서 침착하고 조용하게 면접을 기다린다. 입실 할 때 면접실의 문이 닫혔을 경우 가볍게
노크한다.
※ 자신감 있는 자세로 들어서면서 면접관을 향해 미소 띤 얼굴로 목례한다. 자기 의자 앞으로 가서 수험번호와 성명을
말하고 다시 정중히 인사한 후 자리에 앉는다.
● 질의, 응답 때
1. 첫인상이 당락의 50%를 결정한다.
대개의 면접관들이 '응시자의 첫 인상을 중요시 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무엇보다 밝은 인상, 청결한 자세가 중요하다. 손톱청소,
면도, 이발 상태와 의상, 구두 등에 만전을 기해야 하는데 전날 미리 준비해 두어야 하며 표정연습도 해 두는 노력이 필요하다. 미국 빙상스타
'카타리나비트'는 완벽하게 웃는 표정을 만들어내기 위해 거울 앞에서 3천번을 연습했다고 한다. 운동선수라 하더라도 인정받기 위해서는 운동기술
외적인 요소도 중요하다는 걸 간파한 '비트'의 지혜를 빌리자.
2. 귀를 열어 잘 듣는다.
면접관이 질문을 하는데
긴장된다고 해서 손을 만지작거리거나 시선을 이리저리 옮기면 크게 감점된다. 면접관이 말할 때는 그의 입술을 바라보며 진지하게 듣고 있다는 표정을
짓는다. 면접관이 나이 지긋하신 분일 경우 간혹 질문보다 설명이나 훈계조의 말이 길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라도 지루한 표정을 짓지 말고
끝까지 듣는 진지함을 보여야 한다. 왜냐? 긴 설명 중 갑자기 '자넨 어떻게 생각하나?'라는 적시타가 터지므로.
3. 적절한
경어를 사용한다.
올바른 경어사용법은 쉽지 않다. 특히 경어를 사용할 자리에 오면 신세대들은 '어머님머리님에 파리님이 계세요'라는
식의 경어법을 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면접관에게 경어 사용법도 모른다는 인상을 주면 곤란하다. 어른들은 '버릇없는 아이'를 제일 싫어하므로,
미리 시간, 장소, 사람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경어를 익히도록 한다. 특히 지원회사를 언급할 때 회사이름을 직접 말하지 말고 '귀사'라고 하면
호감을 준다는 점을 기억해 둘 것.
4. 자신의 평소 스타일로 대화한다.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문 발표하듯이 문어체
표현을 사용한다거나 군기 든 이등병처럼 말하면 대화의 경험이 없어 보인다. 그렇다고 특정인의 '대화법'을 흉내 내는 것도 꼴불견이다. 자신이
평소 남들과 이야기할 때의 대화법을 조리 있게 사용해야 어색하지 않다. 덧붙여 말꼬리 흐리는 버릇을 가진 사람은 조심.
5.
알아듣기 쉽게 말한다.
'알아듣기 쉽게'라는 건 두 가지 의미가 있다. 말의 하드웨어적 측면에서 보면 너무 빠르게, 너무 많이
말하지 말라는 얘기이다. 말의 핵심을 놓치거나 가벼워 보이면 좋을 것이 하나도 없다. 소프트웨어적인 면으로는 어려운 용어나 전문 용어, 대학가의
은어, 사투리 등을 절제 없이 사용하지 말라는 뜻. 면접관이 소외감 느낀다.
● 위기 상황 때
1. 위트로 탈출한다.
만약 당신이 나이 서른쯤 된 늙은 지원자라고 하자. 면접관이 필기합격자의 평균연령이 몇 살인지 아느냐고 물었다. 이 말은 '당신의
나이가 너무 많지 않느냐'는 우회적 물음이다. 이 때 '나이와 업무는 상관관계가 없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답변하면 분위기만 굳어진다. 이럴 땐
레이건처럼 유머를 동원하는 기지가 필요하다. "저는 동료들이 나이 어려서 경험이 부족하고 아직 미숙하다 하더라도 결코 얕보지 않고 제 성숙함으로
도와주며 일할 자신이 있습니다."
2. 솔직함으로 대처한다.
모르는 질문을 받았을 때 아는 체하려 변명을 늘어놓으면
거짓말에 능숙하다는 인상을 받으며 답변이 생각나지 않는다고 고개를 숙이거나 먼 산을 보면 패기가 없어 보인다. 차라리 솔직하게 모르겠다고 말하고
부족함을 채우기 위해 더욱 열심히 노력하겠다는 겸양으로 대신한다.
● 퇴장할 때
퇴장할 때 예의바른 자세와 태도를
끝까지 유지한다. 자리에서 일어나 '면접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하고 정중히 인사한 후 문 쪽으로 간다. 문 앞에서 가볍게 목례를 하고
나간다. 어떤 사람은 지나친 겸손으로 뒷걸음질쳐서 나가는 경우도 있는데 그러다 넘어지면 큰일 난다.
7. 면접 점검 사항
● 면접의 7가지 포인트
면접을 충분히 대비하고도 알고 있는 바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거나 호감을 주지 못하면
쓸모가 없다. 면접관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이기 위해선 다음의 7가지 사항을 명심해야 한다.
1. 우선 첫 대면에서 깨끗하고
참신한 인상을 심어줘야 한다.
2. 자기 생각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의도를 명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3. '예', '아닙니다'라고 자기 생각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도 공감을 사는 방법이다.
4. 자신도 이해하지
못하는 어휘나 유행어를 쓰면 경박해 보일 수 있으니 예절바른 경어로 말해야 한다.
5. 대답하기 곤란하거나 짓궂은 질문을 받더라도
재치 있게 받아넘길 수 있어야 한다.
6. 집단토론의 경우 대개 옳고 그름이 뚜렷이 가려지는 주제가 제시되지 않으므로 어느 쪽이든
자신의 의견을 조리 있게 발표할 수 있도록 한다.
7. 마지막으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면접이 끝난 뒤 면접관에게 인사하는
일이다. 면접을 잘 치르고도 '볼 일 끝났다'는 식으로 나갔다간 따놓은 점수도 모두 잃게 되니 주의해야 한다.
● 지양해야 할
복장
※ 정장 개념의 신사복에 흰 양말을 신는 것
※ 포켓에 볼펜․만년필․안경․명함을 꽂아 부풀어 오른 것
※ 구두 뒷 굽이 너무 닳아 경사진 것
※ 지나치게 몸에 꼭 맞거나 깃에 풀을 먹인 것
※ 여성의
경우 요란한 색깔의 스타킹․그물망 스타킹을 신는 것
※ 소매부리에 드레스셔츠 끝이 나오지 않거나 너무 많이 나온 것(드레스셔츠
끝이 1~1.5cm 나와야 함)
※ 바지부리가 지나치게 접히는 것
※ 새끼손가락에 반지를 낀 것
※
넥타이를 지나치게 길게 혹은 짧게 맨 것
※ 바지에 허리띠를 두르고도 멜빵을 하는 것
※ 신사복의 기본 색상인
청색이나 회색 정장 차림새에 갈색조의 구두를 신은 것
※ 한 벌 같 춤이 아닌 위․아래 다른 색깔의 정장 양복 차림을 하는 것
※ 지나치게 검은 색조로 차려 입거나 화려한 색조로 차려 입은 것
※ 조끼 밑으로 셔츠나 벨트가 보이는 것
※ 길이가 무릎 위로 올라간 짧은 오버 코트나 스커트를 입은 것
● 면접 전 마지막 체크 사항
※
약속된 면접시간 10분 전에 도착하도록 스케줄을 짤 수 있다.
※ 면접 실에 들어가서 공손히 인사한 후 또렷한 목소리로 자기
수험번호와 성명을 말할 수 있다.
※ 앉으라고 할 때까지는 의자에 앉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
※ 면접 시
면접위원을 편안한 마음으로 바라보며 이야기할 수 있다.
※ 자신에 대해 5분간 이야기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다.
※ 자신의 긍정적인 면을 상대방에게 바르게 전달할 수 있다.
※ 자신이 지원한 직렬(직류)의 지원 동기를 분명하게
해 둔다.
(예) 교정직 공무원으로 지원한 동기는 무엇인가?
왜 교정직 공무원이 되려고 하는가?
8. 면접에 관한
질문의 예
● 지망동기에 대한 질문사항
1. 공무원 시험을 준비한 것은 언제부터이며, 어떤 동기에 의해서 입니까?
2. 다른 회사를 지망한 적이 있습니까?
3. 공무원이 되기 위해서 본인이 특별히 노력한 것이 있습니까?
● 직무에 대한 인식
1. 갑작스런 일이 주어졌는데 사전에 약속이 있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2.
당신은 공무원으로 재임 시 어떤 직위에까지 오를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3. 상사와 의견이 다를 경우 당신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4. 여성과 일에 대한 당신의 사견은?
● 자신에 대한 소개
1. 5분 안에 자신을
소개하시오(자기 PR).
2. 본인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말씀해 주십시오.
3. 살아오면서 가장 기뻤던 경우와
가장 슬펐던 경우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
4. 자신에게 있어 가장 소중한 것은 무엇입니까?
5. 타인의 입을 통한
본인의 평가는 어떻다고 생각하십니까?
● 학창시절에 대하여
1. 본인의 전공은 무엇이며, 전공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2. 학창시절 동아리 활동을 한 경험은 있나? 있다면 동아리 이름과 활동 내용에 대해 말하여라.
3.
아르바이트를 해본 일이 있습니까?
● 개인의 인생관
1. 좌우명이 있다면 말해 보시오
2. 자신의
인생지표가 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이유는?
3. 주량은 어느 정도입니까?
4. 즐겨하는 스포츠가 있다면 어떤
것입니까?
5. 10년 후의 당신의 모습을 그려보십시오.
● 허를 찌르는 질문(사례 질문과 연계할 것)
1. 오늘자 일간지에 난 기사 중 가장 인상에 남는 것은 무엇입니까?
2. 내일 지구가 사라진다면 당신은 오늘 무슨
일을 하시겠습니까?
3. 당신은 전통 찻집과 화려한 커피숍 중 어떤 스타일입니까?
4. 가장 최근에 본 영화가
있다면, 보고난 소감은?
5. 휴가 일정이 상사와 겹쳤습니다. 한 사람만 갈 수 있다면 당신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6. 지금 당장 1,000만원이 생긴다면 어떻게 하겠습니까?
7. 선약이 되어있는 주말에 비상근무가 생겼습니다.
어떻게 하겠습니까?
◆ 일반적인 사항에 관한 질문(공무원으로서의 정신 자세 등)
● 공직관
1. 공무원이 되고자 하는 이유는(공무원의 보수가 민간 기업체에 비해서 낮은 데도 불구하고)?
(예) 제가 공무원을 하고자
하는 이유는 첫째, 안정된 직장의 분위기를 기초로 공익을 위하여 일생동안 국가와 국민을 위해 봉사하고 싶고, 사회 각계각층에서 분출되는 다양한
욕구를 수렴 및 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 보람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cf) 교정직 공무원이 되고자 하는 이유도 철저히
정리
2. 업무 수행에 있어서 상사와 충돌이 있을 경우 어떻게 하겠는가(위법하거나 부당한 지시를 받을 경우 등)?
(예) 무조건
상사의 명령을 듣는 것 보다는 동료 직원이나 다른 상사들과 의논을 하는 등 최대한 충돌을 억제할 수 있는 합리적 방향을 모색하겠다.
3.
공무원은 어떤 의무를 가지고 있는가? 아는 대로 답하시오.
(예) 직무(법령준수․복종․직무전념․친절공정),
신분(청렴․비밀엄수․품위유지), 성실, 선서
4. 공직자로서 보람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예) 안정된 직장을 바탕으로 국민을
위해 일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5. 현재 국민이 공무원에게 요구하는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며 그 이유는?
(예) “공무원은
국민전체에 대한 봉사자이며, 국민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고 헌법에 규정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무원들은 자신이나 자신의 조직에만 의존하는 사익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국민 전체의 이익을 위해 존재하기에 국민들을 위해서 공직자로서의 책무를 다하고 그에 대한 결과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을
국민들은 공직자들에게 주문하고 있다.
6. 공직자가 가져야할 자세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공무원의 의무와 유사)?
(예) 국민
누구에게나 친절과 봉사, 불법과 불의에 타협하지 않는 의리, 양심에 따라 공정하게 업무수행, 맡은 일을 근면 성실하게 수행, 규범을 지키며
청렴하고 검소하게 살아야 한다.
7. 직업공무원 제도란 무엇인가? 업무 능력에 따라 승진 기회 부여 등
● 국가관
1. 우리나라가 처해 있는 현실을 어떻게 보는가? 과도기적 현상으로 보는 것이 무난함
(예) 저는 현 사회가 완전하게
좋아졌다고는 볼 수는 없지만, 이전보다는 모든 면에서 개선되어 가고 있다고 본다. 예를 들면 정부를 중심으로 국민 각자가 개혁에 동참하고 있고,
지역감정도 완전히 개선된 것은 아니지만 예전에 비한다면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고 봅니다. 그러나 아직도 공직자들은 무사안일적인 경향을 버리지
못하고 있고, 사회 일각에서는 집단이기주의나 비행 학생들이 늘고 있고, 범죄 또한 줄어들지 않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가 이전 보다는 좀 더 나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2. 오늘날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사회적 문제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3. 국가 발전을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4. 공무원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은 무엇이라 보는가?
(예)
공무원의 신분을 적정하게 보장하고 공무원의 조직 내외의 부당한 압력으로부터 보호해야 하고, 보수와 연금을 적정화해야 하고, 공무원의 내핍 정신을
기르고 직업윤리를 향상시키며 직무수행 능력을 기르기 위해 교육훈련을 강화해야 하고, 상벌제도를 개선하여 신상필벌의 실질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5. 행정책임이란 구체적으로 어떤 개념인가?
(예) 행정책임은 공무원이 공익과 국민의 기대 및 희망 그리고 행정 관계법령이 규정한
행동 기준에 따라 행동할 의무를 지고 그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을 말하는데, 민주국가에 있어서 행정책임은, 첫째 수임자로서 지는 도의적이고
규범적인 책임, 둘째 법령에 따라야 하는 법적 책임, 셋째 국민과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에 대한 민주적이고 정치적인 책임, 넷째 민의 및 여론에
따를 응답적 책임등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이다.
● 윤리관
1. 특히 공무원에게 강조되어지는 공직 윤리는 무엇인가?
2. 우리가 유지․계승해야 할 전통윤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예) 겸허․성실․신의 등을 통해 인간관계를 존중하는 전통윤리,
친애와 구성원간의 융화를 강조하는 전통윤리, 검소와 인간․자연의 조화를 강조하는 전통윤리, 민주정치 발전의 정신적 기반을 제공하는 민본주의의
전통윤리, 대립과 분열을 조정․통합하는 융화정신의 전통윤리 등이 있다.
3. 우리사회의 윤리 확립과 도덕성 회복을 위한 지름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인생관
1. 면접에 임하는 지금의 심정은 어떻습니까?
2. 자기소개를 간단히
해보세요(자기 PR).
3. 귀하가 흥미 있었던 과목은 무엇이었습니까?
4.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가장 힘들었던 일을 말해보세요.
● 기 타
1. 필기시험에 합격한 소감은?
(예) 최종 관문인 면접시험이 남았지만 무엇보다도 먼저 신입
공직자의 길로 이끌어 주신 국가의 부르심에 감사드리며 제가 치열한 경쟁률을 뚫고 필기시험에 합격한 것에 대해 자부심을 느낍니다. 어쨌든 겸손한
마음으로 처음부터 배운다는 자세로 최선을 다하여 면접에 임하겠습니다.
2. 가족상황은?
3. 장래포부는 무엇입니까?
4.
자신의 생활신조(좌우명 내지 인생관)는?
5. 취미 또는 특기는 무엇인가?
6. 최근에 읽은 책 중 감명 깊게 읽은 책이 있다면?
그 이유는?
7. 발령이 날 때까지 계획하고 있는 일이 있다면?
8. 역사상 존경하는 인물이 있다면 누구인가? 그 이유는?
9. 우리나라 역사 중 가장 바로잡고 싶은 사건은?
10. 결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 전문지식
(영어)
1. 다음 낱말을 영어로 표현하면?
- 공무원 : civil servant, public official,
public servant, public officer
- 행정 : public administration
- 경영 :
business administration
- 총리 : prime minister
- 장관 : minister
- 차관 :
vice minister
- 대사 : ambassador
- 밀수 : smuggling
- 응급처치 : first aid
- 정책 : public policy
- 외환 : foreign exchange
- 벌금 : fine
- 신참 :
rookie
- 여당 : ruling party, governing party
2. 다음 약어의 원어와 그 의미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 Korean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on
-국제표준화기구(ISO) :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비정부기구(NGO) :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한미행정협정(SOFA) : Status of Forces Agreement
-세계무역기구(WTO) : World Trade Organization
-국제통화기금(IMF) : International
Monetary Fund
-아시아와 유럽간의 정상회의(ASEM) : ASia Europe Meeting
-대한올림픽위원회(KOC)
: Korea Olympic Committee
-광고 선전용 텔레비전 영화(CF) : Commercial Film
-유엔개발계획(UNDP) :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최고경영자(CEO) : Chief
Executive Officer
-님비(NIMBY) : Not In My Back Yard
-핌피(PIMPY) : Please
In My Front Yard
-미확인 비행물체(UFO) : Unidentified Flying Object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 Palestine Liberation Organization
-석유수출국기구(OPEC) : Organization
of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국제올림픽위원회(IOC) :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신흥공업국가(NICs) :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
: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World Bank)
-국민총생산(GNP) : Gross National Product
-국내총생산(GDP) : Gross Domestic Product
-지역 내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 Wide Area Network
-중앙처리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
-임의접근 기억장치(RAM) : Random-Access Memory
-종합정보통신망(ISDN) :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정보담당책임자(CIO) : Chief Information Officer
-WWW
: World Wide Web
-국제원자력기구(IAEA) :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핵확산금지조약(NPT) : Non-Proliferation Treaty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
Asian-Pacific Economic Cooperation Conference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유럽연합(EU) : European Union
-인수․합병(M&A) : Mergers and Acquisitions
-유도복사에 의한 광의 증폭-레이저(LASER)
: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파일전송
프로토콜(FTP) : File Transfer Protocol
-TELNET : TELe NETwork
-MODEM :
MOdulator DEModulator
-자유무역협정(FTA) : Free Trade Agreement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 전문지식 (교정학)
1. 중간처벌제도의 종류는?
- 전환, 벌금, 집중감시 보호관찰, 보상제도, 사회봉사, 가택구금, 전자감시, 전자감시
가택구금, 충격구금, 주말구금
2. 자기노작(自己勞作)이란?
- 수형자분류처우규칙상 누진처우 2등급 이상인 자에게 허용하는 것으로
교도소 내에서 공식적 작업 시간 이외에 1일 2시간 한도에서 개인 작업을 하는 행위로, 그 수익은 개인이 소유가 된다. 자기노작을 위한
개인작업용구 사용도 허가되며, 재료구입비는 자기부담원칙이다.
3. 오번제(Aubum System)란?
- 침묵, 주간혼거,
야간독거, 완화독거, 절충, 교담금지제라고 불리는 것으로, 1823년 미국의 엘람 린즈가 실시한 것으로, 펜실베니아제의 폐단을 극복하고 복종적인
시민을 양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싱싱 교도소가 이 제도를 대표적으로 채택했다.
4. 사회봉사명령제도의 의의는?
- 사회봉사명령은
범죄나 비행 소년을 교정 기관 등에 수용하는 대신 일정 기간 무보수로 근로에 종사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이의 기능은 처벌적 성격, 배상적
성격, 범죄자와 사회의 화해라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5. 펜실베니아 제도란 무엇인가?
- 엄정독거제, 분방제, 필라델피아제도라고
칭하는 펜실베니아 제도는 1818년 미국의 퀘이커교인 윌리암 펜에 의해 실시된 것으로, 범죄의 근원은 범죄자의 마음에 있으므로 이의 개선을 위한
최선의 방법은 독거구금이며 절대침묵과 정숙 속에서 자신의 과오를 반성하게 하고 속죄함으로써 정신적 개선을 촉구하려는 범죄자의 정신적 개선에
중점을 둔 행형제도이다.
6. 엘마이라제(Elmira System)란?
- 마코노키의 잉글랜드제, 크로프톤의 아일랜드제, 부정기형
제도를 결합한 것으로 상대적 부정기형 아래에서 행형성적에 따라 진급하는 누진제를 채택하여 수형자의 노력에 의한 개선에 중점을 두었다. 이는
누진처우, 부정기형, 가석방 제도를 결합한 행형사상의 결정체이다.
7. 선시제도(Good Time System)란?
-
선행감형제, 선행보상제, 자기형기단축제라고도 하며, 자기 노력에 따라서 일정한 법률적 기준에 의해 석방 시기가 단축된다. 우리나라도 미군정
하에서 1948년 우량수형자석방형의 형태로 시행하다가, 6․25 전쟁이 끝난 후 1953년 형법이 제정되면서 폐지되었다.
8. 소년의
경우 보호관찰 대상자가 되기 위한 현행법상의 요건은?
- 보호관찰을 조건으로 형의 선고유예나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자
-
보호관찰심사위원회의 심사에 의하여 가석방이나 가퇴원된 자
- 소년법에 의하여 보호처분을 받는 자(소년법 제32조 제2~3호)
-
사회보호법에 의해 가출소된 보호감호자 (현재 사회보호법 폐지)
9. 초범 예방을 위한 대책은?
- 지역사회의 조직화, 형벌,
협력회의의 활동, 그룹워크, 여가지도 등
10. 독거제의 장점과 단점은?
- 장점 : 수용자간의 통모 방지, 악습감염방지,
회오․반성 등 속죄의 기회부여, 개별처우에 편리, 감시감독 및 질서유지에 편리
- 단점 : 사회 훈련에 부적합, 자살사고의 위험성, 많은
비용 및 인력
11. 카티지제(cottage system)란?
- 대형화된 집단을 전제로 한 기존제도의 획일성과 폐해들을
개선하고자 소집단적인 제도의 운영으로 교정효과를 추구하는 소집단화 처우제도이다.
12. 개방처우의 기본 목표는?
- 개방적 환경
속에서 올바른 규율 생활 유도, 수용자의 심신의 건강 유지, 자주성, 자율성의 향상 및 체득, 정상적인 사회인으로 복귀
13. 수형자
자치제의 장점과 단점은?
- 장점 : 자발적인 질서 확립, 공동체 정신, 책임 정신 함양, 계호 부담 경감, 수형자의 명예심과 경쟁심을
자극하여 희망적 의지 함양에 고무적
- 단점 : 형벌의 위하력 약화, 힘 있는 수형자가 힘없는 수형자를 괴롭힐 우려
14.
귀휴제도란?
- 행형성적이 양호하고 도주의 우려가 없는 수형자에게 일정한 조건 하에 가사를 돌보게 하거나 사회복귀의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귀가를 허가하는 제도이다. 이는 석방 전에 일정기간 사회복귀를 준비하게 하는 형벌휴가제라고도 한다.
15.
우리나라에서 활용되고 있는 중간처우제도는?
- 귀휴, 외부통근, 개방시설에 의한 개방처우, 전문가의 초빙이나 위촉
16.
선고유예와 집행유예의 刑事政策的 의의 및 그 효과는?
- 刑事政策的 의의 : 범죄인의 사회복귀의 곤란성 제거, 교정시설의 수용밀도를
완화하여 적극적인 교정정책의 시행가능, 합법적 생활의 기회 가능, 형 집행으로부터 오는 폐해를 방지하는 대용조치로 활용 가능
-
선고유예의 효과 : 2년경과 후 면소된 것으로 간주, 전과자X
- 집행유예의 효과 : 기간 경과 시 형 선고의 효력 상실, 전과자X
17. 혼거제의 장점과 단점은?
- 장점 : 수형자 사회 훈련 가능, 경비 및 인력 절감, 자살 방지
- 단점 : 개별처우
곤란, 출소 후 공범 범죄 가능성, 계호의 어려움
18. 우리나라에서 특수하게 운영되는 교정 시설은?
- 개방교도소, 소년교도소,
여자교도소, 직업훈련교도소 등
19. 수용자가 교도소 등으로부터 받은 처분에 불복이 있을 때 제기할 수 있는 구제 제도는? 청원,
소장면담,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행정심판, 행정소송
20. 보안처분의 종류는? 치료감호, 보호관찰 cf) 사회보호법 → 치료감호법
21. 행형법상 징벌의 종류 및 요건, 절차는? - 종류 : 경고, 1월 이내의 신문 및 도서열람 제한, 2월 이내의 신청에 의한 작업의
정지, 작업상여금의 일부 또는 전부 삭감, 2월 이내의 금치
- 요건 : 형벌규정에 저촉되는 행위, 자해행위, 작업이나 교육을 거부하거나
태만히 하는 행위, 허가되지 않는 물건을 소지 등을 하는 행위, 법무부장관이 정하는 행위(수용자규율및징벌에관한규칙 제3조)
- 절차 :
징벌위원회의 의결 (위원의 과반수 출석에 과반수 찬성)
22. 현행법상 계구의 종류 및 사용 요건은?
- 종류 : 포승, 수갑,
사슬, 안면보호구
- 요건 : 포승과 수갑은 소요, 폭행, 도주, 자살의 우려가 있는 자와 호송 중인 수용자에게 사용하고, 안면보호구는
고성을 발하거나 자해의 우려가 있는 자에게 사용한다. 사슬을 포승과 수갑으로 수용자를 제지할 수 없거나 기타 필요한 경우에 사용한다.
안면보호구는 6시간이 한도이며, 특별한 경우가 있을 때 3시간 이내에서 연장이 가능하다.
23. 행형법 제1조의 조문을 말하고 그에 대해
설명하라.
- 조문 : 이 법은 수형자를 격리하여 교정교화하며 건전한 국민사상과 근로정신을 함양하고 기술교육을 실시하여 사회에 복귀하게
하며 아울러 미결수용자의 수용에 관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설명 : 수형자는 징역, 금고, 구류 등을 선고받아 그 형이 확정된 자
또는 벌금을 완납하지 아니하여 노역장 유치명령을 받은 자를 말한다. 미결수용자는 구속 영장이 집행 중인 형사피의자나 형사피고인을 말하고,
수용자는 수형자, 미결수용자, 사형수를 모두 포함한다.
24. 현행법상 수용을 거절할 수 있는 사유에 해당하는 것을 나열하라.
-
수용요건의 결함(필요적 : 문서불비 등), 전염병, 과잉수용
25. 우리나라의 경우 갱생보호를 위하여 설립된 국가적인 조직은?
-
한국갱생보호공단
26. 민영교도소 도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 경제성이 높음, 산업교도소화 우려, 지역주민과의 갈등
27. 죄형법정주의의 파생원칙은?
- 관습형법 금지의 원칙, 형벌불소급의 원칙, 유추해석 금지의 원칙, 절대적 부정기형 금지의
원칙
28. 보호관찰제도의 유형은?
- probation․parole․shock․집중감독․음주운전․교통사범 보호관찰
29.
갱생보호의 의의에 대해서 설명하라.
- 출소자들의 사회재적응을 보다 용이하게 함으로써 범죄의 위협으로부터 사회를 보호하고 재범을 방지하며
범죄자 개인의 복리도 증진시키는 사회 내에서의 보호활동
30. 소년보호를 위한 원칙을 설명하라.
- 보도금지 : 보호사건이나
형사사건 모두 언론 매체에 보도 불가
- 연령의 허위진술 금지
- 조회응답금지 : 소년보호사건과 관련 있는 기관은 재판․수사 또는
군사상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조회에 응해서는 안 됨
31. 현행 형법상 형벌의 종류를 말하라.
- 생명형 : 사형
- 자유형 : 징역(무기․유기), 금고(무기․유기), 구류
- 명예형 : 자격상실, 자격정지(당연․선고)
- 재산형 :
벌금, 과료, 몰수
32. 다음을 영어 또는 한자로 옮겨라.
- 법무부 : 法務部, the Ministry of Justice
- 교도관 : 矯導官, jailor
- 교정직 : 矯正職
- 교정국 : 矯正局, the Corrections Bureau
- 교정학 : 矯正學
- 교도소 : 矯導所, jail, prison
- 구치소 : 拘置所, jail, prison
- 행형법 : 行刑法
- 치료감호소 : 治療監護所
- 보호감호소 : 保護監護所
- 소년원 : 少年院
33.
법무부 직제에 대해서 설명하라.
- 법무부장관 직속으로 법무연수원이 있고, 그 속에 교정직 공무원의 교육훈련을 담당하는 교정연수부가
있으며, 법무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가석방심사위원회, 치료감호심의위원회, 보안관찰처분심의위원회가 있다. 법무부 산하기관은 1청(검찰청)
4국(교정국, 보호국, 출입국관리국, 인권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정국 직제는
교정기획과․보안관리과․보안경비과․교육교화과․작업훈련과․복지지원과로 구성되어 있다. 교정국 산하 지방교정청은 서울․대전․대구․광주 등 4곳에
있다. 지방교정청의 직제는 총무과․보안관리과․보건분류과․교육교화과․작업훈련과로 구성되어 있다.
- 서울지방교정청 산하 교정기관 수 :
교도소 7개, 구치소 5개, 지소 1개 (14개)
- 대전지방교정청 산하 교정기관 수 : 교도소 7개, 구치소 1개, 지소 3개
(11개)
- 대구지방교정청 산하 교정기관 수 : 교도소 11개, 구치소 4개 (15개)
- 광주지방교정청 산하 교정기관 수 :
교도소 7개
34. 현직 법무부장관과 교정국장의 존함을 말하라.
- 법무부장관 : 천정배
- 교정국장 : 이사관 승성신
교정국, 지방교정청 및 교정기관
1. 교정국 : Corrections Bureau
2. 지방교정청 :
Regional Corrections Headquarters
3. 구치소 : Detention Center
4. 교도소 :
Correctional Institution
5. 개방교도소 : Open Correctional Institution
6.
소년교도소 : Juvenile Correctional Institution
7. 여자교도소 : Women's Correctional
Institution
8. 직업훈련교도소 : Correctional Institution for Vocational Training
9. 지소 : Branch
법무부 교정국 내 행정조직
1. 교정심의관실 : Office of Correctional
Counsel Officer
2. 교정기획과 : General Affairs & Planning Division
3.
보안관리과 : Security Management Division
4. 보안경비과 : Security Safeguard Division
5. 교육교화과 : Education & Rehabilitation Division
6. 작업훈련과 : Industries
& Vocational Training Division
7. 복지지원과 : Welfare Support Division
지방교정청내 행정조직
1. 총무과 : General Affairs Division
2. 보안과 : Security
Division
3. 작업훈련과 : Industries & Vocational Training Division
4.
보건분류과 : Health & Classification Division
5. 교육교화과 : Education &
Rehabilitation Division
일선교정기관내 행정조직
1. 총무과 : General Affairs
Division
2. 보안관리과 : Security Management Division
3. 출정사무과 : Court
Affairs Division
4. 분류심사과 : Classification Division
5. 작업훈련과 :
Industries & Vocational Training Division
6. 수용기록과 : Inmate Records
Division
7. 민원사무과 : Civil Affairs Division
8. 교육교화과 : Education &
Rehabilitation Division
9. 복지지원과 : Welfare Support Division
10. 보건의료과 :
Health Care Division
11. 경비교도대(대대) : Defence Guard Battalion
12.
경비교도대(중대) : Defence Guard Company
법무부 교정국 내 직위
1. 국 장 :
Director-General
2. 심의관 : Deputy Director-General
3. 과 장 : Director
4. 계장(4~5급) : Deputy Director
5. 담당(6급) : Assistant Director
6.
담당(7급이하) : Manager
지방교정청 내 직위
1. 청 장 : Commissioner
2. 과 장 :
Director
3. 계장(5급) : Deputy Director
4. 담당(6급) : Assistant Director
5. 담당(7급이하) : Manager
교정기관 내 직위
1. 소 장 : Warden
2. 부소장 :
Vice Warden
3. 과 장 : Director
4. 대대장 : Battalion Commander
5. 계 장 :
Assistant Director
6. 부대대장 : Vice Battalion Commander
7. 중대장 : Company
Commander
8. 소대장 : Platoon Commander
정복교도관 직급
1. 관리관 : Chief
Superintendent General
2. 이사관 : Senior Superintendent General
3. 부이사관 :
Superintendent General
4. 서기관 : Chief Superintendent
5. 교정관 :
Superintendent
6. 교 감 : Chief Inspector
7. 교 위 : Inspector
8. 교 사 :
Senior Corrections Officer
9. 교 도 : Corrections Officer
사복교도관의 직렬 및
직급
1. 교회관 : Chief Correctional Education Officer
2. 교회사 : Senior
Correctional Education Officer
3. 교회사보 : Correctional Education Officer
직업훈련교사 계급
1. 5급 상당 : Chief Vocational Training Officer
2. 6급 상당 :
Senior Vocational Training Officer
3. 7급 상당 : Vocational Training Officer
분류직 공무원 계급
1. 분류관 : Chief Classification Officer
2. 분류사 : Senior
Classification Officer
3. 분류사보 : Classification Officer
9급 공무원 면접시험
평정표<예시>
※ 본 평정표는 실제평정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응시지역응시직렬 직응시번호성 명한 글한 자생 년
월 일 년 월 일최 종
출신학교 년 월 일 (졸업)
학교 과 년 (수료)주 민
등록번호 -채
점 평
정 요 소평정기준위원평정 가. 공무원으로서의 정신자세상(우수), 중(보통), 하(미흡) 나. 전문지식과 응용능력″ 다. 의사발표의 정확성과
논리성″ 라. 예의, 품행 및 성실성″ 마. 창의력, 의지력, 기타 발전가능성″ 합 격 위 원 서 명 타위원 평점합 계판 정합 격평
균집계인불합격
※필기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당해 직무수행에 필요한 능력 및 적격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면접시험이 실시되며, 면접시험
평가요소는
1. 공무원으로서의 정신자세
2. 전문지식과 그 응용력
3. 의사발표의 정확성과 논리성
4. 예의․품행
및 성실성
5. 창의력․의지력 기타 발전가능성 등 5개 항목이며,
※평정은 각 평정요소별로 다음과 같이 결정합니다.
1. “우수”하다고 평가되는 경우 : 상
2. “보통”이라고 평가되는 경우 : 중
1. “미흡”하다고 평가되는 경우 :
하로 면접위원이 평정합니다.
※ 위원의 과반수가 평정요소 다섯 가지 항목 중 두 가지 항목 이상을 “하(미흡)”으로 평가하였거나,
다섯 가지 평정요소 중 어느 하나의 동일 평정요소에 대해 시험위원 과반수 모두 “하(미흡)”로 평정한 경우는 불합격됩니다. 최종합격자는
선발예정인원에 맞추어 결정합니다만, 면접시험에 불합격 및 응시를 포기한 자가 많을 경우, 선발예정인원보다 적게 선발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면접관이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유형】
● 면접관이 좋아하는 유형 10가지
① 자기 나름대로의
가치관⋅인생관⋅직업관이 뚜렷한 사람
② 조직구성원으로서의 목표달성에 협조성을 지닌 사람
③ 난관을 헤쳐 나갈 수 있는 진취적인
사람
④ 성실하며 예의범절이 바른 사람
⑤ 장점을 살리고, 단점은 솔직하게 인정하고 개선하려고 노력하는 사람
⑥ 첫 인상이
좋고 명랑한 사람
⑦ 자신의 감정을 적당히 자제할 수 있는 사람
⑧ 질문의 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대답하는 사람
⑨ 논리
전개가 정연하며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는 사람
⑩ 질문에는 반드시 “네.”라는 대답으로 받고, 모르면 “모르겠습니다.”라고 당당하게
말하는 사람
● 면접관이 싫어하는 유형 10가지
①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고 능동적이지 못한 사람
②
자기중심적이며 단체행동에 어울리지 않는 사람
③ 지원동기에 대한 주관이 뚜렷하지 않은 사람
④ 창조성, 투지, 솔선수범하는 태도로
답변을 하지 않는 사람
⑤ 용모(특히 두발)⋅복장이 단정하지 못한 사람
⑥ 외견상으로도 건강해 보이지 않는 사람
⑦
발전가능성이 없고 발랄한 패기가 없는 사람
⑧ 발을 포개거나 팔짱을 끼는 등의 태도나 건방진 말투를 쓰는 사람
⑨ 질문하지도 않은
말을 꺼낸다거나 한 말에 사족(蛇足)을 다는 사람
⑩ 유행어, 외래어, 전문용어를 연발 사용하는 사람
교정직 수험생을 위한
면접시험 대비 기초자료
○ 교정직은 남다른 책임감과 성실한 자세를 가진 전인적으로 성숙한 인성을 가진 인재를 요구한다. 면접은 필기시험에
관계없이 수험생에 대해서 교정공무원으로서의 자세를 면밀히 검토할 것이다. 그러므로 교정직의 경우 타 직렬에 비해 면접의 비중이 훨씬 크다고 할
수 있다. 끝까지 긴장을 풀지 말고 최선을 다하는 자세를 보여주기 바란다.
○ 아래 내용은 교정공무원이기에 물을 수 있는 질문들만 모아
보았다. 기타 일반적 내용은 면접대비용 교재를 통해 준비하기 바란다. 여러분의 최종합격을 간절히 기원드린다.
- 2006, written
by adam -
♣ 면접이란 무엇인가?
○ 필기가
양이라면 면접은 질에 해당한다.
○ 필기가 형식적인 평가라면 면접은 실질적이고 내면적 가치를 보고자 한다.
○ 필기시험이 답이
있다면, 면접은 정답이 없다.
○ 면접에서는 무엇을 보는가?
- 정신자세를 본다.
- 전문지식과 응용능력을 본다
-
의사표현의 정확성,논리성을 본다
- 용모․예의․품행 및 성실성을 본다.
- 창의력․의지력 기타 발전가능성을 본다.
♣ 면접시 일반적 유의사항
○ 첫인사를 위한 준비
- 복장 : 가능한 단정한 양복을 입는다. 머리에 브릿지는
지운다.
- 자세 : /인사/어투/그리고...
- 답변시 유의할 점 : 질문을 충분히 듣고 답하기/ 꾸미지 말 것 ☞낭패의 원인
♣ 교도관 면접에 있어 예상되는 질문모음
○ 성장과정/ 학교/ 직업력/
○ 교정직은 어떻게/왜???지원하게
되었는가?
/ 솔직하게 그러나 긍정적으로 풀어나간다.
○ 필기시험 합격 후 무엇하고 지내는가?
○ 주위에 교도관이 있는가?
○ 이번 시험이 몇번째인가?/ 처음부터 교정직 시험을 봤나?
○ 과거 좋지않은 성적, 기록에 남은 전과사실, 잊고 싶은 추억...
○ 교정에 대한 이해
- 전국시설과 조직
- 교도관수 : 13000여명, 경비교도 4000여명
- 수용자수 :
47,000여명,
- 교정의 현안 : 수용자의 권리신장에 따른 인적, 물적 계호력의 증대/ 대국민 교정에 대한 의식 개선 등
-
봉급의 의미/ 첫 봉급
○ 교도관이 하는 일은 무엇인가?
/ 범죄인의 격리를 통한 사회방위와 재사회화를 위한 교정교화
○
수용자는 격리대상인가 아니면 교정교화의 대상인가?
/ 두 가지의 요소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 격리작용과 교정교화 작용중
선순위를 매긴다면?
/ 격리작용은 교정교화의 전제요건이 되므로 가장 우선적인 업무로 본다.
○ 연고지가 아닌 곳에 발령시 어떻게
할 것인가?/ 새로운 직장이 생긴다면?
○ 수용자 인권에 대하여 생각하는 바를 말해보시오.
○ 수용관리중 수용자로부터 피소․진정의
대상이 되었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 수용자가 담배를 달라고 유혹한다면 어떻게 대처하겠는가?
○기 타
- 법무부장관이름
- 자기소개를 영어로 해보시오.
- 교정공무원을 영어로 말해보시오.
- 교도소를 영어로, 구치소를 영어로 말해보시오
- 교정을 한자로 써보시오.
- 개인신상(가족관계, 군대생활, 본관 등)
- 가훈과 학교생활?
- 본적 또는 주소를
한자로 써보시오.
- 면접 당일 신문은 꼭 읽어볼 것.
첫댓글 감사합니다~~
대박이에요!!!감사합니다*_*
면접 기초자료부터 예상질문까지 다양하네요! 감사합니다!
최고의자료네요 감사합니다
대박입니다. 면접자료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면접 참고사항 감사합니다.
굿
면접자료
정말 감사합니다!!
면접자료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잘볼게요
ㄷㄱ
ㄷㅅㅂㄱ
ㄷㅅㅂㄷㄱ
면접자료 굿
감사합니다
good
면접ㅈㅏ료
면접시참고사항
면접참고자료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와~ 정말 유용한 자료네요!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네요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