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부 1(한국사연구회: 인문대 8동 002호)
-->주제: 바다에서 본 한국사(해양사관)
◇오전 사회 : 최광식(고려대)
▶10 : 00 ~ 11 : 00 윤명철(동국대)/해양사관으로 본 고대국가의 발전
▶11 : 00 ~ 12 : 00 이영(방통대)/전환기의 동아시아 사회와 왜구
◇오후 사회 : 이영춘(국사편찬위원회)
▶13 : 30 ~ 14 : 30 이훈(국편위)/‘漂流’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의 한일관계
▶14 : 30 ~ 15 : 30 고동환(KAIST)/조선시대의 商船의 航行條件 - 서남해안을 중심으로
▶15 : 30 ~ 16 : 30 노대환(동양대)/기회 혹은 공포의 바다-서양세력의 도래와 해양에 대한 인식의 변화
~~~~~~~~~~~~~~~
◎한국사부 2(한국역사연구회: 인문대 7동 706호)
-->주제 : 한국사상 전쟁기억과 기억전쟁―전쟁의 사회사
◇오전 사회 : 임경석(성균관대)
▶10 : 00 ~ 10 : 25 노영구(서울대)/공신선정과 문학작품을 통한 임진왜란 기억의 형성과정
▶10 : 25 ~ 10 : 50 박맹수(원광대)/19세기말 동아시아의 전쟁과 기억-동학농민전쟁과 청일전쟁을 중심으로
▶10 : 50 ~ 11 : 15 변은진(고려대)/‘2차대전’시기 조선 민중의 계층별‧세대별 전쟁인식 비교
~~~~~~~~~~~~~~~
◎동양사 부문(인문대 5동 101호)
◇ 오전 사회 : 이윤화(안동대)
▶10 : 00 ~ 10 : 40 홍승현(서강대)/<<後漢書>> <五行志>를 통해 본 後漢 士大夫들의 政治意識
▶10 : 40 ~ 11 : 20 최진열(서울대)/北魏의 지역지배와 그 性格
▶11 : 20 ~ 12 : 00 김성수(남개대)/1세 제브준단바호톡토와 17세기 할하 몽골
◇ 오후 사회 : 김홍길(강릉대)
▶13 : 30 ~ 14 : 10 신동규(강원대)/明淸交替期 明의 원군요청에 대한 德川幕府의 외교정책
▶14 : 10 ~ 14 : 50 정혜중(이화여대)/淸末 天津에서의 山西票號
▶14 : 50 ~ 15 : 30 차경애(경기대)/한국인의 의화단운동 인식 및 이를 통해본 세계인식
~~~~~~~~~~~~~~~
◎서양사 부문(인문대 7동 101호)
◇ 오전 사회 : 윤승준(인하대)
▶10 : 00 ~ 11 : 00 안희돈(서울산업대)/기원전 2-1세기 헬레니즘 교육의 확산과 로마 정부의 대응
▶11 : 00 ~ 12 : 00 성백용(서울대)/14세기 말~15세기 초 프랑스 왕국의 재정 수입을 둘러싼 갈등과 카보쉬엥 칙령(1413)
▶12 : 00 ~ 13 : 00 최성철(서강대)/구원을 향한 파국 : 발터 벤야민의 탈역사주의적 역사철학
◇ 오후 사회 : 이진모(한남대)
▶14 : 00 ~ 15 : 00 한해정(고려대)/용수 및 가스공급을 통해 본 19세기 후반 독일 루르지역(Ruhrgebiet) 도시의 지역자치 : 에센과 도르트문트의 사례
▶15 : 00 ~ 16 : 00 이진일(성균관대)/바이마르시대의 노동자교육: 독일 자유노동조합 베를린지부와 Fritz Fricke의 활동을 중심으로
▶16 : 00 ~ 17 : 00 정영주(부산대)/애틀리정부와 말라야, 1945-1951: 정책 결정자들의 갈등과 이해
~~~~~~~~~~~~~~~
◎과학사 부문(인문대 6동 103호)
◇오전 사회 : 이은경(과학기술정책연구원)
▶10 : 00 ~ 10 : 40 최진아(서울대)/모건(Thomas Hunt Morgan)의 재생 연구의 성격:1901년 Regeneration
▶10 : 40 ~ 11 : 20 박형욱(서울대)/자기, 관용, 그리고 세포질 유전설: 프랭크 맥팔레인 버넷의 면역 개념들, 1940-1949
▶11 : 20 ~ 12 : 00 구자현(서울대)/레일리의 음향학 연구에 미친 헬름홀츠와 틴들의 영향
◇오후 사회: 이면우 (춘천교육대학교)
▶13 : 30 ~ 14 : 10 김일권(한국정신문화연구원)/海南 綠雨堂 소장의 新法天文圖 - ꡔ方星圖ꡕ(1711)의 자료 발굴과 천문학사적 분석
▶14 : 10 ~ 14 : 50 이문규(전북대)/현대 천문학을 이용한 역사 해석에서 나타나는 문제: 박창범 교수의 고대 천문학사 연구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