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생님.
해당 파트에서 전체 수입을 극대화하는 경우의 문제를 풀 때 답안 기술적 측면에서 왜 양 측의 한계수입이 일치해야 하는지 설명해야
한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마인드 교재의 사례를 예시로 적용할 경우 다음과 같이 답안에 기술해도 될까요? 제가 개념적으로 더 기술해야 할 부분이
있을는지요?
"양 연못의 한계수입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한계수입이 높은 연못으로 생산요소 (낚시꾼)이 이동하여 생산하게 되므로 아직 전체 수입이 극대화되었다고
할 수 없다. 양 연못의 한계수입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생산요소의 이동이 멈추고 비로소 전체 수입이 극대화된다."
첫댓글 틀렸습니다.
낚시꾼들이 이동하는 이유는 한계수입이 아니라 평균수입으로 결정됩니다.
전체 수입 극대화는 한계수입이 한쪽이 더 높으면 (낚시꾼들이 스스로 이동하지 않으니) 억지로 한계수입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시켜 전체 수입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인 것이지요.
그렇다면 "정부에서 생산요소를 재배치한다"가 더 정확한 표현일까요?
@호두과자 재배치해야 한다입니다. 위의 제 댓글 그대로 적으면 되지 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