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흐음.. 고가의 편백나무 솔직히 보기싫네요.. 유럽에서는 실내에서 삼나무 사용이 금지일정도로, 피톤치트도 일정농도 이상은 오히려 유해한데, 이게 한국에서 만병통치약으로 둔갑해서.. 저렴한 스프러스도 있는데 일본산 편백나무로 외화만 낭비되고.. 바닥이 소프트우드에 가격까지 비싼 편백나무에 광택마감이라..게다가 실내화도 없이 다니고.. 하드우드로 해도 금방 기스나는데...유지보수도 만만치 않아 보일뿐더러, 틈새나 마룻바닥 아래에 먼지가 쌓이기 시작하면 역효과가 일어날듯..옛날에 마룻바닥 뉴스한번 탄 기억이.. 정작 책걸상은 유해한 본드덩어리 합판을 그대로 쓰고있고... 벽과 천장사이 몰딩은 mdf 소재같아 보이고;;
초등학교 건물 어차피 콘크리트라 유해물질 방출도 없는데, 편백나무 덧대는것도 아무의미없고, 유해한 MDF 벽체라고 가정해도 편백나무 덧대는건 아무의미없고.. 그냥 벽체는 수성페인트에 도끼다시 바닥해도 아무 문제없는데 , 유해물질 감소라는 측면에서 기존 학교에비해 아무런 차별점을 느낄수가 없네요.
이공계통 전문가와 아토피 전문 의사에게 아토피에 필요한 환경을 의뢰한뒤. 공기 오염농도를 선진국기준 이하로 낮추고 일정습도,온도를 유지하라고 주문하면, 훨씬 나은 환경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전열교환기, 가습기, 냉난방기, 대용량 공기제균청정기, 급식요리에 사용하는 물의 질산염농도관리, 수돗물대신 역삼투압 정수기물 공급, 주요 알러지 유발 급식재료(달걀,밀 등) 사용금지 등..
첫댓글 흐음.. 고가의 편백나무 솔직히 보기싫네요.. 유럽에서는 실내에서 삼나무 사용이 금지일정도로, 피톤치트도 일정농도 이상은 오히려 유해한데, 이게 한국에서 만병통치약으로 둔갑해서.. 저렴한 스프러스도 있는데 일본산 편백나무로 외화만 낭비되고..
바닥이 소프트우드에 가격까지 비싼 편백나무에 광택마감이라..게다가 실내화도 없이 다니고.. 하드우드로 해도 금방 기스나는데...유지보수도 만만치 않아 보일뿐더러, 틈새나 마룻바닥 아래에 먼지가 쌓이기 시작하면 역효과가 일어날듯..옛날에 마룻바닥 뉴스한번 탄 기억이..
정작 책걸상은 유해한 본드덩어리 합판을 그대로 쓰고있고... 벽과 천장사이 몰딩은 mdf 소재같아 보이고;;
초등학교 건물 어차피 콘크리트라 유해물질 방출도 없는데, 편백나무 덧대는것도 아무의미없고, 유해한 MDF 벽체라고 가정해도 편백나무 덧대는건 아무의미없고.. 그냥 벽체는 수성페인트에 도끼다시 바닥해도 아무 문제없는데 , 유해물질 감소라는 측면에서 기존 학교에비해 아무런 차별점을 느낄수가 없네요.
이공계통 전문가와 아토피 전문 의사에게 아토피에 필요한 환경을 의뢰한뒤.
공기 오염농도를 선진국기준 이하로 낮추고 일정습도,온도를 유지하라고 주문하면, 훨씬 나은 환경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전열교환기, 가습기, 냉난방기, 대용량 공기제균청정기, 급식요리에 사용하는 물의 질산염농도관리, 수돗물대신 역삼투압 정수기물 공급, 주요 알러지 유발 급식재료(달걀,밀 등) 사용금지 등..
맞아요 그놈의 편백나무타령좀 까페에서 그만보고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