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킴 장애
침을 자주 흘리는 아이, 씹는 것을 힘들어 하는 아이, 밥 먹기를 거부하는 아이, 식사 후에도 입 안에 음식이 남아있는 아이…
이러한 증상들은 삼킴 장애의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삼킴 장애란, 음식을 외부로부터 위장에까지 전달하는 과정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말합니다.
삼킴 장애를 가진 아이는 영양을 골고루 섭취할 수 없어 체중이 감소하게 됩니다.
삼킴 장애는 이와 같은 삼킴의 기능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부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반복적인 삼킴 실패 경험은 두려움으로 자리잡게 됩니다. 침을 삼키거나 음식을 삼키는 일은 일상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행위이며, 이에 어려움을 겪는삼킴 장애 아이는 일상생활의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기도 합니다. 삼킴 장애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감소와 자존감의 상실 위험을 높입니다.
삼킴장애의 원인으로는 뇌 기능 손상, 심리적 문제, 소화기 계통 이상 등이 있습니다.
음식 삼키기를 어려워하는 아이,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삼킴 장애 도움 tip!
1. 바른 자세
식사할 때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아이가 음식을 삼키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삼키는 것이 어려운 아이들은, 자신만의 음식을 삼키기 가장 편한 자세를 찾습니다. 음식을 삼킬 때마다 고개를 젖히기도 하고, 몸을 꼬아 앉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자세는 장이 올바르게 위치하는 것을 방해하고, 장기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줍니다.
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식사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2. 편안한 분위기
음식을 삼키기 어려워 하는 아이들은 식사를 할 때마다 부담 또는 두려움을 느끼기도 합니다.
이러한 심리적 상태는 아이가 음식을 삼키는 데에 방해가 됩니다.
아이가 편하게 식사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주고 적절한 대화를 이어가 주세요. 삼키지 못하는 것에 대한 지적보다는, 삼키기를 성공한 것에 대한 칭찬을해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3. 방해물 제거
식사 시간에는 식사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밥을 먹으면서 영상을 보거나, 놀이와 식사를 번갈아 하게 되면 아이는 음식을 씹고 삼키는 일에 집중하지 못합니다. 필요하다면 적절한 분위기의 음악을 틀어 두는 정도가 좋습니다.
아이가 식사 시간에는 음식을 입에 넣는 감각, 씹는 동작, 삼키는 감각과 동작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가족 행복학 개론 "밥상머리에서 얻는 작은행복“
[상담 후기] >> 음식 삼키기 힘들고, 친구에게 맞춰주는 아동 단기치료후기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참고문헌
신미경,최현주,전혜진,and 김연정. "삼킴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삼킴기능 증진 프로그램 적용 효과: 예비연구." 言語治療硏究 28.1 (2019): 1-10.
문종훈(Jong-Hoon Moon),김희진(Hee-Jin Kim),강민규(Min-Kyu Kang),and 원영식(Young-Sik Won). "혀 근력 및 정확도 훈련이 삼킴장애가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혀 근력, 삼킴기능,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1 (2016): 605-613.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과 [소아환자의 삼킴장애]: https://rm.amc.seoul.kr/asan/depts/rm/K/bbsDetail.do?menuId=432&contentId=204259
*사진첨부: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정수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