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2024. 6. 1. 토요일.
맑음.
<한국국보문학카페> '등단 시인방'에는 김병환 시인의 시 '출세'가 올랐다.
이미지 사진에서 '방하착(放下着)'이란 용어를 보았다.
방하착(放下着) '무소유'를 의미하는 불교 용어이다.
방하착(放下着)은 '손을 내려 밑에 둔다'는 뜻이다.
흔히 ‘내려놓아라’, ‘놓아 버려라’라는 의미로 불교 선종에서 화두로 삼는 용어이다.
중국 송대의 불교서적인 오등회원 세존장의 일화에 방화착이라는 용어가 나온다.
단순히 손을 내려놓으라는 의미가 아닌 꽃을 공양했다는 '집착된 마음마저 내려놓으라'는 뜻을 담고 있다.
이는 인간의 마음속 깊이 자리하고 있는 탐욕을 버림으로써 '무소유를 통한 인간의 자기회복'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역사 이래로 모든 국가, 모든 사회와 모든 조직, 모든 개인들도 더 가지려고 애를 쓴다.
그런데도 아무것도 갖지 않으려고 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인생 그 자체를 완전히 포기한 자살자도 있다.
방하착(放下着)의 반대인 방상착(放上着)은 있을까?
있다면 나는 방상착(放上着)을 선택해야겠다.
두 손 번쩍 쳐들고는 '나요. 나' 하면서 크게 소리쳐야겠다.
가진 게 많으니 밑으로 내려놓으려고 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기사 손에 들고 있으면 무거우니까.
가뜩이나 등허리 굽은 내가 무거운 짐을 운반하려면 수시로 땅에 물건을 내려놓고 잠시나마 쉬어야 한다.
방하착(放下着)과 방상착(放上着)의 중간인 방중착(放中着)도 있을 것이다.
결언한다.
'나도 이기고, 너도 이긴다'라는 윈윈(win-win)협상전략'을 떠올린다.
어려운 중국 한자말보다는 쉬운 우리말로 언어생활을 했으면 싶다.
2024. 6. 1. 토요일.
첫댓글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행복한 하루가 되세요.
댓글 고맙습니다.
방하착.... 우리 국내 현실에 꼭 필요하겠지요.
요즘 남한북한간의 긴장상태가 자꾸만 짙어지대요.
북한 탈출민 박상학 집단이 이북으로 풍선을 날리고, 북한에는 오물쓰레기를 담은 풍선을 이남으로 날리지요.
서로가 서로를 자극하는 짓거리를 하기 시작하대요.
남북한의 문제는 어느 한편이 이겨서는 안 되는 게 현실이지요.
한민족 한핏줄이었다가 남북한으로 분단된 조국인데도...
요즘 정치행태의 꼬라지가 답답하게만 보이대요.
서로가 서로를 인정하는 윈윈협상이었으면 합니다.
일방적인 승리보다는 서로가 조금씩 양보해서 얻는 승리였으면 합니다
혼자 더 많이 가지려고 꽉 움켜쥔 것보다는 나눠서 함께 갖고, 함께 배려하는 그런 관계였으면 합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방하착' 논리를 직접 실천했으면 합니다.
오래전 정치학을 전공했던 사람의 눈으로 보면 요즘 남북한의 행태는 이해하기 어렵더군요.ㅇ
모두 잘 아는 내용이기에 이만 줄입니다.
우선 나부터 손바닥을 펴서 상애방한테 내보여야겠습니다.